*이 포스팅은 얼마 전에 김태호씨가 블로그에 올린 글 ‘미국에서의 창업, 그 3년의 짧은 기록들‘을 보고 영감을 받아 올린다

2012년 비글로벌 – 당시에는 beLAUNCH 였다 – 최종 피칭 스타트업 20개 중 TakeTalks 라는 스타트업이 있었다. 뉴욕에 본사를 두었지만, 창업자들은 한국인들이었고 영어공부를 하고 싶어하는 한국인들과 미국 원어민 선생들을 동영상으로 연결해 주는 서비스였다. 당시 발표는 이 회사의 엔지니어 김태호씨와 사장 오현석씨가 했다. 둘은 한국외국어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선후배 사이였고, 오현석씨는 한인텔의 창업자/대표이기도 했는데, 잠시 한인텔을 떠나서 테이크톡스를 운영하고 있었다. 우리는 이 두 분 한테서 긍정적인 인상과 에너지를 받았고 계속 연락을 하면서 지냈다. 아이디어는 좋았지만, 안타깝게도 테익톡스는 활주로를 박차고 하늘로 나는데 실패했고 오현석 대표는 다시 한국으로 돌아가서 한인텔 비즈니스에 집중하기로 결심을 했다. 그러면서 김태호씨가 free agent가 되었는데, 그의 개발 능력을 대략 알고 있었던 John과 나는 태호씨를 LA로 초청했다. 한 번 와서 LA 분위기도 보고, 가족들과 살기에 좋은 곳인지 확인해 보라는 차원에서, 당시 우리도 없는 살림에 비행기 표를 보내줬다(실은 American Airlines로 부터 협찬받은 마일리지를 활용했다).

태호씨가 봤을때도 따뜻한 천사의 도시 LA가 나쁘지 않았고, LA에서 다시 창업을 하라고 우리도 계속 설득을 했다. Strong이 많이는 투자하지 못 하지만 기본 시드머니를 제공하고 사무실도 제공할테니 일단 무조건 LA로 와서 뭐를 개발할지는 그때 정하자고 계속 설득을 했고, 몇 주 후에 태호씨와 와이프 지연씨, 그리고 두 애기들 이렇게 4 가족의 LA 생활이 시작되었다. 그게 2012년도 말이었을 것이다. 태호씨에게는 모든게 낯설었지만, 오자마자 바로 일을 시작할 수 있도록 우리는 회사 설립, 취업 비자, 아파트 계약, 중고차 구입 등 ‘개발’과 관련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들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지원사격을 했다. 당시 태호씨가 하고 싶었던 분야는 추천, 개인화, 빅데이터 였고 우리는 회사이름을 Recom.io라고 지었다. 김태호 대표가 기술력은 뛰어났지만, 영어나 기획 그리고 비즈니스 스킬을 보강하기 위해서 내 어릴적 친구이자 뮤직쉐이크 동료였던 서철씨가 co-founder로 조인을 했다.

솔직히 그 이후 2년 간 레코미오의 스타트업 생활을 요약하자면 ‘투쟁’ 과 ‘살기위한 처절한 몸부림’ 이라고 하는게 맞을거 같다. 자세한 내용은 김태호 대표의 블로그를 참고하면 되지만 결론적으로 2년 동안 4개의 제품을 출시했지만 시장의 선풍적인 인기를 얻는데에는 모두 실패했다. 1년 조금 지나서 회사는 돈이 떨어졌지만, 추가 투자를 받기에는 수치가 뒷받침 해주지 못했다. 그 이후 김태호와 서철은 거의 1년을 무보수로 일했다. 서철씨는 미혼이라서 김태호씨보다는 상황이 조금은 더 나았지만, 주말마다 결혼식 같은 행사에서 피아노를 연주해주고 생활비를 벌어야 했다(서철씨는 피아노 전공자이다). 하지만, 처자식이 있는 김태호씨는 상황이 좋지 않았다. 그의 블로그에서 발췌한 이 내용이 당시의 상황을 요약해 준다.

“LA 생활을 돌아보면 일을 떠나 감정적으로 기억에 남는 장면이 두 개 있다. 하나는 딜이 진행되는 동안 가족들을 먼저 한국으로 보내고 살던 집에서 짐을 빼 스토리지로 모두 옮겼는데 그 때 크지도 않은 집 구석구석에서 많은 수의 진통제 통들을 발견했다. 집사람이 집안에 소홀한 나 대신 타지에서 어린 아이 둘을 키우며 하루하루를 진통제로 버텨왔던 것이다. 나에게 티도 내지 않고.
하나는 좀 부끄럽긴 한데 우리 부부가 돈이 없어서 2년 간 옷도 못사고 살았는데 속옷도 마찬가지였다. 나는 속옷 앞이 다 터져 나갔고 집사람은 뒤가 다 터져 나갔다. 당시 서로 이제 모든 팬티가 결국 찢어졌구나 하고 웃어넘겼지만 그 모습으로 아이를 안고 있는 집사람을 보며 내가 지금 무슨 짓을 하며 살고 있는건지 내 자신이 싸이코패스 처럼 느껴졌었다. 진통제통과 찢어진 팬티. 그 강렬한 이미지.”

뭐, 돈 없는 스타트업들의 창업 이야기는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일반인들은 평생 경험할 수 없는 개고생을 하는 면에서 보면 레코미오 또한 다른 고생하는 스타트업들과 비슷하다. 하지만, 미국에서 살아본 적도 없고, 영어도 유창하지 않은, 한국에서 교육받고 코딩 기술을 익힌 개발자 출신의 창업가가 미국에서 창업을 하면서 부딪히는 현실의 벽과 물가가 싸지 않은 캘리포니아에서 없는 살림으로 4 가족을 동시에 꾸려 나가야 하는 생활은 한국에서 창업해서 고생하는 회사들과는 확실하게 다르고, 더 어렵다고 생각한다(나 또한 11개월 이상을 미국에서 무급으로 일해 본 경험이 있기 때문에 더욱 더 잘 알고 있다).

언젠가는 그 2년 동안의 에피소드들을 웃으면서 자세히 공개할 수 있는 날이 올 거라고 생각하지만, 결론부터 말하자면 레코미오는 결국 아슬아슬하게 벼랑 끝에 몰렸다. 옆에서 이 안타까운 상황을 지켜보던 우리가 먼저 이들에게 회사 문 닫고 일단 다른 곳에 취직하라고 제안했다. 서철, 김태호 실력 정도면 모두 실리콘밸리나 LA의 왠만한 스타트업이나 대기업에 취직해서 억대 연봉을 받는 건 솔직히 어려운 일이 아니였기 때문이다. “아뇨, 조금만 더 해보죠. 우리야 그냥 다른 곳에 취직하면 되지만 그래도 투자자분들(스트롱이 유일한 투자자)에게 최소한 투자금은 돌려드려야죠.” – 먹고 살 돈이 없어서 와이프와 두 애들을 한국으로 보내고, 스트롱벤처스 사무실에서 6개월 동안 먹고 자고 있던 김태호 대표의 입에서 나온 말이다. 내가 이 일을 하면서 보람을 느꼈던 순간들이 많았는데, 이 때 나는 정말 이런 사람들과 우리가 함께 할 수 있다는 사실 자체가 감사했다. 너무 보람찼다. 그리고 반드시 이 상황을 역전 시켜야 겠다는 다짐을 했다. 하지만, 우리에겐 시간이 많지 않았다.

착하게 살고, 열심히 살고, 연예인처럼 자기 PR을 하지 않아도 능력이 있다면 하늘이 한 번은 도와 준다는 말이 정말 맞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오랜만에 했다. 정확하게 3개월 후, 몇 몇 기업들이 레코미오 인수에 관심을 보였고 2014년 말에 레코미오는 아주 좋은 회사에 인수되었다. 스트롱벤처스한테는 첫번째 exit 이라는 훈장을 선물해준 너무나 고마운 인수였다. 이렇게 김태호, 서철은 LA의 생활을 정리하고 실리콘 밸리로 이사를 갔다. 둘 다 너무 열심히, 그리고 즐겁게 새 보금자리에서 일하고 있고 나랑은 아직도 자주 연락하면서 지낸다. 큰 일을 할 친구들이다. 우리가 exit을 시킨것도 아니지만, 어쨋든 이런 좋은 팀을 초기에 알아보고, 투자하고, 같이 고생하면서 좋은 결실을 맺게 되어 즐거운 연말을 보냈던 기억이 난다.

우리는 모두 미약한 존재이기 때문에 굴곡없는 성공 스토리 보다는 누군가 밑바닥에서 부터 성장하는 그런 growth story들을 더 좋아하고 공감을 한다. 이런 각도에서 봤을때 레코미오 이야기는 내가 아는 그 어떤 스토리 보다 극적이고 감동적이다. 어떻게 아냐고? 2년 동안의 그 생생한 현장의 이야기들을 바로 옆에서 한 순간도 놓치지 않고 직접 목격했기 때문이다.

2년 밖에 안 되었지만, (워낙 빠르게 변하는 동네라서)기억을 조금씩 더듬으면서 이 글을 쓰다가 혼자서 웃고 울곤 했다. 힘들어서 지금 포기하고 싶지만, 조금 더 버티고 있는 창업가들한테 조금이나마 영감이 되었으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