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적으로, 한국에서 대기업 공채 준비하는데 드는 평균 비용은 4,300만 원이라고 한다. 이 비용에는 취업을 위한 9가지 스펙이 – 학교, 학점, (각종) 영어점수, 어학연수, 자격증, 공모전 입상, 인턴십, 동아리 활동(자원봉사), 그리고 성형수술 – 포함된다고 한다. 문재인 정부의 최대과제 중 하나는 취업문제 해결이고, 여기에 앞으로 한국의 미래가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TV만 켜면, 학교 졸업하고 취직 못 해서 방황하는 청년들과 위에서 언급한 9개의 스펙을 갈고 닦는 졸업반 학생과 취준생들이 나오고, 바늘구멍보다 더 좁은 취업 지옥에 대한 다큐멘터리들이 날이 갈수록 더 많이 제작되고 있는 거 같다. 이런 프로만 보면 한국에서 젊은이들이 취직하는 건 이제 불가능하다는 생각마저 들게 된다.

그런데 조금은 다른 각도에서는, 젊은이들을 필요로 하는 벤처기업이나 중소기업들은 사람을 못 뽑아서 쩔쩔매고 있는 현상도 보인다. 직원 4명인 스타트업을 운영하는 내 친구랑 얼마 전에 식사하다가 들었는데, 사람 좀 뽑으려고 면접 약속까지 잡았는데, 아무런 사전 통보 없이 ‘노쇼’하는 면접생들이 너무 많다고 한다. 그렇다고 회사가 열정페이를 강요하는 것도 아니고, 평균 연봉에 4대 보험까지 제공하는데, 이렇게 나타나지도 않는 일이 자주 일어난다고 한다. 왜 그럴까 물어보니, 뭐 개인적인 사정이 있을 수도 있겠지만, 대부분의 졸업생이 작은 벤처나 중소기업보다는 남들이 들으면 알만한 대기업을 선호하기 때문에, 만약에 대기업 면접 약속이랑 중첩되면, 무조건 그쪽으로 가거나, 아니면 면접 날짜가 다가올수록, “나는 삼성이나 현대에 취업을 해야 하는데, 무슨 벤처기업은….”라는 생각을 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내가 아는 경기도에 위치한 꽤 건실한 중소기업 오너도 비슷한 말을 하는 걸 들었다. 아무리 회사가 건실하고, 대기업보다 성장 가능성이 높아도, 2년제든 4년제든 대학 졸업생들을 채용하는 게 너무나 어렵다고 한다. 연봉도 나쁘지 않고, 혜택도 나쁘지 않지만, 지방에 위치한 회사고, 남들이 잘 모르는 회사라는 이유가 가장 크다고 한다. 물론, 대우나 혜택이 대기업만큼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취업을 해야 하는 사람이 거들떠 보지 않을 정도로 택도 없는 건 절대 아니다.

나 자신보다는 남이 나를 어떻게 보느냐가 더 중요한 사회, 그리고 직업에는 귀천이 있다고 생각하는 우리 문화가 이런 현상의 원인 중 하나인 거 같다. 직업에는 귀천이 없다. 아니, 없어야 한다. 내 생각에 직업은 그냥 직업이다. 좋은 직업도 없고, 나쁜 직업도 없다. 그냥 내가 열심히 일해서, 일한 만큼의 보람을 얻고, 이에 대한 보상을 받아가는 곳이 직장이다. 서울 한복판 대기업에서 양복 입고 일하는 게 지방의 중소기업에서 작업복을 입고 일하는 것보다 좋다는 게 한국이 직업을 보는 일반적인 시각인데, 실은 그냥 두 개의 다른 직업일 뿐이다.

얼마 전에 서울에 있는 꽤 괜찮은 대학교에서 학생들 대상으로 강연한 적이 있는데, 아직도 대부분의 대학생이 졸업 후 현대나 삼성 취업을 목표로 한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선배인 교수한테 물어보니, “이게 참…웃긴 현실인데, 남학생들이 중소기업에 취직하지 않는 큰 이유 중 하나가, 나중에 결혼할 때 불리하거든…미래 장인, 장모가 듣도 보도 못한 중소기업이나 벤처기업에서 일하는 사람한테는 딸 시집 안 보내더라고…. 이게 한국의 현실이다…. 아직은”

연봉이 높은 직업이 있고, 낮은 직업도 있다. 사무실에서 내근하는 직업이 있고, 계속 밖에서 외근하는 직업도 있다. 출퇴근이 자유로운 직업이 있고, 그렇지 못한 직업도 있고, 야근을 밥 먹듯이 하는 직업도 있다. 하지만, 모두 다 그냥 직업일 뿐이다. 좋은 직업과 나쁜 직업을 구분하는 시각이나 편견은 서서히 없어졌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