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4일 자로 전체 가상화폐의 시가총액은 370조 원(340B USD)을 넘겼다. 370조 원 시가총액을 우리가 알만한 회사와 비교해본다면, 페이스북의 시총이 553조 원이고, 삼성전자의 시총이 394조 원이니, 엄청난 금액이다. 특히, 올해 초 가상화폐의 시총이 20조 원 정도였으니, 경이롭고 비정상적인 성장이라고 할 수도 있다. 얼마전에 내가 다음과 같은 포스팅을 페이스북에 했다.

crypto market cap fb posting

12월 14일 자 시가총액이 가장 높은 Top 10 가상화폐 순위이며, 이들의 시총은 476조 원(439B USD)이였다. 비트코인과 이더의 시가총액이 다른 화폐보다는 압도적으로 높지만, 재미있는 건 화폐의 역사가 오래되었다고 그 시총이 높은 건 아니다. 시총이 높은 이유는 이들의 유용성이 높기 때문인데, 단순히 사고파는 자산이 아니라 이 화폐의 기반 기술 위에 다른 분산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의 유용성이 높고, 그 높은 유용성이 높은 가격을 만든다고 생각한다.

흔히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을 HTTP 나 SMTP와 같은 프로토콜에 비유하는데, HTTP와 SMTP와는 달리 비트코인/이더리움은 프로토콜 단(프로토콜=비트코인과 이더)에 투자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그 프로토콜 위에 구현된 애플리케이션에도 투자할 수 있다는 건 꽤 재미있는 특성이다. HTTP에는 우리가 투자하지 못하지만, 그 위에 만들어진 쿠팡이나 토스 같은 애플리케이션에는 투자할 수 있다. 이게 지금까지의 투자모델이었다. 비트코인의 경우, 비트코인이라는 프로토콜에도 투자할 수 있고(비트코인을 구매), 그 위에 만들어진 코빗이나 모인같은 애플리케이션에도 투자할 수 있다. 이 개념을 재해석해보면, 비트코인이라는 프로토콜에 투자하는 건 땅에 투자하는 거랑 비슷하고, 그 위에 만들어진 애플리케이션에 투자하는 건 땅 위에 올라가는 집, 상가 또는 건물에 투자하는 거랑 비슷하다. 땅값이 올라가면 부동산의 가치도 올라가고, 부동산의 가치가 올라가면, 땅값도 올라가는 것이다.

실은, 이런 이유로 나는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이 가장 강력한 가상화폐라고 생각한다. 하루에도 수십 개의 가상화폐가 생겨나고 있지만, 대부분 비트코인의 프로토콜과 블록체인을 변형해서 사용하기 때문에, 이들의 가치가 높아지면, 자연스럽게 비트코인의 가치도 높아지기 때문이다. 이더리움도 마찬가지지만, 비탈린 부테릭과 그의 친구들은 계속 이를 탈피한 기술을 개발하는 노력을 하고 있기 때문에 자체적으로 크게 성장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한다.

넘쳐나는 ICO 중, 어떤 곳에 참여를 해야 할지 망설이고 있다면, 내 첫 번째 조언은 참여하지 말라는 것이다. 굳이 참여해야 한다면, 그 비즈니스 자체가 블록체인을 얼마큼 활용하고 있는지 잘 따져 본 후에 투자하라는 조언을 하고 싶다. 비즈니스의 코어가 블록체인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면, 비즈니스와 코인의 가치가 일치하기 때문에 조금 더 합리적으로 투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 않고, 햄버거를 판매하는 비즈니스가 버거코인이라는 토큰을 발행하는 ICO를 진행한다면, 비즈니스와 토큰의 상관관계가 떨어지기 때문에, 이런 ICO는 성공할 수 있는 확률이 낮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