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확히 7년 4개월 전인, 2010년 8월에 나는 ‘종이책의 종말‘ 이라는 글을 통해서 앞으로 종이책은 전자책에 시장을 빼앗기고, 더 설 곳이 없을 것이라는 주장을 했다. 지금 와서 보면, 틀린 예측이었던 거 같다. 여러 가지 자료를 보면, 종이책 시장과 전자책 시장은 제로섬 게임을 하는 게 아니라, 같이 성장하면서 오히려 전체 도서시장의 파이를 늘리고 있는 거 같다.

나도 한 10년 동안 종이책을 멀리하다가, 2년 전부터 다시 읽기 시작했는데, 우리가 책 관련 회사에 투자한 게 계기가 되었다. 요샌 지하철이나 버스에서 모두 다 핸드폰만 보고 있지만, 나는 가방에서 종이책을 꺼내서 읽는다. 젊은 세대들한테는 이게 신기한지, 가끔 쳐다보는 학생들이 있다. 솔직히 우리가 투자한 국민도서관플라이북을 직접 사용해보기 위해서 다시 종이책 독서를 시작했지만, 해보니까 확실히 전자책과는 느낌이 달랐다. 그리고, 그 이후에는 독서의 90%를 종이책으로 하고 있다.

요새 내 독서 습관은 다음과 같다. 가끔 서점에 가서 최신간을 모두 플라이북에서 검색해서 “읽고싶은책”으로 등록한다. 그리고 누가 어떤 책 좋더라 하면, 모두다 플라이북에서 등록해놓는다. 그리고 국민도서관에 가서 이 책들을 검색한다. 모두 있지는 않지만, 검색하는 책의 절반 이상은 있다. 이 책들을 위시리스트에 담아두고, 대여신청을 한다. 책이 집으로 오면, 열심히 읽은 후에, 다시 플라이북을 통해서 서평을 올리고 공유한다. 실은 2개의 앱을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지만, 대량의 종이책을 매우 저렴하게(거의 무료) 빌려보고, 책을 읽은 후에 누가 시키지도 않았는데 서평을 올리면서 내가 읽은 책에 대한 데이터를 차곡차곡 쌓는 재미가 쏠쏠하다(아직 두 서비스 모두 UI나 UX 면에서는 가야 할 길이 너무 멀긴 하다).

2017년도에 나는 총 51권의 종이책을 읽었다. 한 달에 4.25권을 읽었는데, 올해는 더 많이 읽고, 더 많은 간접경험을 쌓고 싶다. 올해 국민도서관과 플라이북 모두 큰 업그레이드가 있을 예정이다. 국민도서관에서 곧 출시하는 ‘북카우터’라는 앱으로 서점이나 외부에서 발견한 책의 ISBN 바코드를 스캔하면, 이 책의 국민도서관 보관 여부를 즉석에서 알려주고, 있다면 바로 내 국민도서관 위시리스트로 보내거나, 또는 바로 대여할 수 있다. 플라이북에서는 이제 앱을 통해서 바로 도서를 구매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한다. 과거에는 내 친구 또는 내가 팔로우하는 친구가 올린 서평을 보고, 그 책을 읽고 싶으면, 근처 도서관에서 빌리거나 다른 온라인 서점으로 연결되어 구매해야 했는데, 이젠 바로 플라이북에서 구매할 수 있다. 책마다 다르지만, 대부분 10% 정도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다. 즉, 플라이북 자체가 책 기반 소셜미디어에서 책 이커머스 플랫폼으로 확장하게 되는 것이다.

좋은 팀이 하는 좋은 비즈니스라서 투자했지만, 하여튼 나한테 다시 종이책과 독서의 습관을 가져다준 두 회사에 항상 감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