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에 뉴욕의 큰 헤지펀드 회사에서 근무하는 친구랑 잠깐 통화 하다가 암호화 화폐 이야기로 대화가 흘렀다. 아직 큰 기관들은 비트코인이나 다른 코인에 본격적인 투자를 시작하지 않고 있지만, 모두 다 이 분야를 예의주시하고 있고, 규제와 법이 조금 제도화되고, 정부의 정책이 구체화되면 꽤 큰 기관들의 돈이 암호화 화폐 시장에 투자될 거라는 이야기를 이 친구가 해줬다. 그래서 나는 이 친구한테 그러면 남들이 다 기다리고 있을 때 너희 회사에서 먼저 대량 투자하면 남들보다 훨씬 더 좋은 실적을 낼 수 있지 않냐고 물어봤다.

이 친구는 그렇게도 할 수 있고, 잘 되면 좋지만, 잘 안 될 수도 있기 때문에, 굳이 본인이 그런 리스크를 질 필요는 없다고 했다. 그리고 이런 큰 조직에서 잘 살아남고, 승진하기 위해서는 홈런을 치기보다는 그냥 삼진 아웃만 안 되면 된다고 하면서, 본인의 생존 전략은 잘 하는 거 보다는 실수만 안 하는 거라고 했다. 어차피 자기 회사도 아니고, 월급 받는데, 잘 하면 회사 오너가 부자 되는 거고, 못 하면 본인이 욕먹거나 짤리니까, 그냥 튀는 행동 하지 않고, 적당히 눈치 보면서, 실수만 안 하면서 회사 생활하다가 적당한 시기에 다른 회사로 더 높은 연봉 받고 이직하면 된다는 생각을 하는 거 같다.

뭐, 남의 회사 생활과 생각에 대해서 내가 왈가왈부할 수도 없고, 하기도 싫다. 그리고 나도 월급쟁이 생활을 하면 어쩌면 이런 생각을 하고, 이렇게 직장 생활을 하고 있을 수도 있다. 그래도 나는 짧은 시간 동안 직장 생활을 했지만, 이런 태도를 갖고 일하진 않았다. 마치 내 회사라고 생각하면서, 조용히 실수하지 않으면서 살기보다는, 가능하면 홈런을 칠 방법을 찾으면서 새로운 시도를 많이 했다. 실은 위에서 말한 내 친구의 생각과 태도에서 나는 왜 오너와 월급쟁이 사이에서 갈등이 발생하는지, 그 이유를 찾을 수 있었다. 그리고 한국 공무원들이 모두 이런 태도로 일하니까, 제대로 진행되는 일이 없다는 생각도 해봤다.

VC에도 이런 게 적용될까? 어떤 VC는 투자금 손실을 최소화하는 전략으로 투자를 하고, 어떤 VC는 손실은 당연히 발생하니, 모든 손실을 커버할 수 있는 홈런의 확률을 극대화하는 전략으로 투자를 한다. 맞고 틀린 건 없지만, 내 경험에 의하면, 실수하지 않고 손실을 최소화하는 전략은 VC 투자랑 잘 맞지 않는 거 같다. 오히려 PE나 전통적인 주식 투자에 맞는 전략이 아닐까 싶다. 이래서 그런지 대부분의 성공한 VC의 포트폴리오를 보면, 성공한 투자사보다는 실패한 투자사가 수적으로 훨씬 많다. 하지만, 잘 된 회사들의 성공 배수가 어마무시하기 때문에 다수의 실패한 투자사의 손실은 재무제표에서는 소수점으로 보인다.

인생에도 이런 원칙이 적용되는 거 같다. 그냥 실수하지 않고 사는 사람은 대부분 뭔가 새로운 걸 잘 시도하지 않지만, 항상 새로운 걸 시도하는 사람들은 많이 실수한다. 하지만, 운이 따르면 엄청나게 성공하는 것도 이런 실수를 많이 하는 사람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