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유명인 두 명의 자살로 인해 세계가 충격을 받았다. 디자이너 케이트스페이드와 셰프/작가/방송인 앤소니 보데인이 며칠 사이 연이어 자신의 목숨을 빼앗아 갔다. 정확한 원인은 조금씩 다르지만, 둘 다 오랫동안 우울증과 조울증에 시달렸다고 한다. 나는 케이트 스페이드는 잘 모르고, 큰 관심이 없었지만 앤소니 보데인의 프로그램 Parts Unknown은 즐겨 시청했었고, 남의 나라의 문화와 음식에 대해서 그 나라 사람보다 더 재미있고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는 보데인씨의 능력에는 항상 놀라곤 했는데, 이 분을 다시 못 본다는 생각을 하니까 좀 슬프긴 하다. 겉으로는 세상에서 가장 행복하고, 모든 걸 다 가진 것처럼 보인 이 두 유명인의 자살 소식을 접하니, 유명인 못지않게 정신적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창업가 커뮤니티에 다시 한번 눈을 돌리게 됐다.

실은 공황장애나 우울증은 이제 ‘병’이라기 보단, 지치고 스트레스받는 현대인이면 누구나 한 번 정도는 – 그 정도는 다르지만 – 겪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흔하다. 나 같은 VC도 스트레스를 받지만, 항상 어려운 상황에서도 전진해야 하는 미션이 있는 창업가가 경험하는 스트레스는 상상을 초월할 정도다. 나도 미국에서 뮤직쉐이크를 힘들게 운영하면서 정신적으로 아주 힘들었던 기억이 아직도 생생하기 때문에, 우리 투자사 대표들한테 괜찮냐는 질문을 한다. 비즈니스에 대한 질문이기도 하지만, 본인의 정신건강에 대한 질문이기도 하다. 아쉬운 건, 아직도 한국에서는 공황장애나 우울증을 병으로 간주하기 때문에, 힘들어도 남한테 잘 내색하지 않는데, 이건 정말 좋지 않다. 정신적으로 힘들면, 가족이나 친구 또는 주위 동료한테 적극적으로 도움을 구해야 한다. 왜냐하면, 도와달라고 하지 않으면 남들은 절대로 모르고, 이런 스트레스는 계속 속으로 가져가다 보면 정말로 몸과 마음이 크게 고장 날 수 있기 때문이다.

요새 나는 ‘불평하라’라는 책을 읽고 있다. 이 책에는 ‘학습된 무력감(learned helplessness)’에 대한 내용이 많은데, 창업가가 경험하는 우울증과 공황장애는 이 학습된 무력감 때문에 올 수 있을 거 같다는 생각을 많이 하고 있다. 간단히 말해서 학습된 무력감은 피할 수 없는 힘든 상황을 반복적으로 겪게 되면, 그 상황을 피할 수 있는 상황이 와도 극복하려는 시도조차 없이 자포자기하는 현상이다. 실은 스타트업을 운영하다 보면, 피할 수 없거나 내 힘으로 극복하기 힘든 상황이 매일 반복되고, 인생이 거절의 연속이기 때문에, 이런 학습된 무력감에 빠지기 쉽고, 무력감에 빠지면, “아, 나는 뭘 해도 안 되는구나.”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이게 지속되면 거의 100% 우울증으로 이어진다.

이런 학습된 무력감을 극복하는데 좋은 방법 2가지가 책에서 소개된다.
첫째는 내가 경험하는 연속되는 거절이나 시련이 내 능력 밖이 아닌, 내가 어떠한 방법으로든 통제가 가능하다는 마인드를 갖는 것이다. 실은, 나는 이와 반대로 생각을 했었다. 내가 통제할 수 있는데도 일이 잘 안 풀리면 스트레스를 더 받을 것이니, 그냥 상황을 탓하거나 내가 어떻게 할 수 없으니 스트레스받지 말자고 하면서 넘어가는 게 덜 힘들 거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심리적으로는 내가 통제할 수 없기 때문에 결과가 좋지 않으면 더 스트레스를 받고 이거야말로 즉시 무력감을 생성하기 때문에, 모든 일은 내가 통제할 수 있고, 다만 그 방법을 찾는 시도를 해야 한다고 한다.
두 번째는, 이 상황은 영구적이 아니라 일시적이라고 생각하는 마인드를 갖는 것이다. 이 또한 시간이 해결해주고, 오늘 거절 당한 건 그냥 오늘 거절 당한 거지, 내일이 오면 상황이 긍정적으로 바뀔 것이라고 스스로 주문을 걸어야 한다.

이렇게, 힘든 일은 일시적이고, 그 상황 또한 내가 어떤 방법으로든 해결할 수 있다고 믿는 마인드가 강한 사람들은 좀처럼 학습된 무력감에 빠지지 않고, 계속 건강한 정신으로 인생을 살 수 있다고 한다.

오늘도 어디선가 거절당하고, 좌절하고, 스스로 “난 역시 안되나 봐”라고 하는 창업가들, 모두 힘내세요. 계속 지다 보면, 가끔 이길 때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