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영어 공부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이 블로그에 영어 관련 포스팅을 많이 했는데, 당시에 “영어 좀 한다고 영어 못하는 사람들 너무 무시하는 게 아니냐?”라는 비판과 이메일을 많이 받아서 몇 년 동안 영어 관련 잔소리를 중단했는데, 오늘 다시 한번 시작해 볼까 한다.

어떤 자리에서 회사가 성장할수록 가장 중요한 대표의 자질에 대해 대화했는데, 나는 이 자리에서 영어의 중요성에 대해서 강조했다. 스타트업 대표가 영어를 해야 하는 가장 큰 이유는 대규모 펀딩 때문이다. 초기 투자와 시리즈 A 정도까지는 국내 VC들로부터 받을 수 있고, 우리 같이 해외 VC이지만 한국 인력들이 풍부한 곳으로부터 받을 수 있다. 어느 정도 규모의 자금까진 대화가 가능한 국내 VC들이 충분히 투자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회사가 계속 성장을 해서 수백억 원~수천억 원 규모의 대규모 투자가 필요하다면, 그리고 이 자금을 수십 개의 VC가 쪼개서 투자하는 구조가 아니고, 전체 라운드의 50% 이상을 부담할 수 있는 큰 투자자가 필요하다면, 한국 보단 해외 쪽으로 눈을 돌리는 게 더 적합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렇게 한국계가 아닌 해외 투자자들과 비즈니스에 대해서 자세하고 진지한 이야기를 하기 위해서는 유창한 영어가 필수다.

실은 나는 이런 이야기를 11년 전부터 창업가 분들에게 했는데, 당시의 버전은 지금의 버전과 약간 달랐다. 대규모의 투자를 받아야 하고, 이 투자를 여러 개의 VC로부터 나눠서 받는 것 보다 소수의 VC에게 받고 싶다면 아무래도 펀드가 더 크고, 미래의 가능성에 더 용감하게 대규모 자금을 커밋할 수 있고, 한 번 들어간 이후에 계속 후속 투자를 할 수 있는 해외 VC로부터 투자를 받는 게 좋다는 버전은 동일하다. 그런데 당시에는, 혹시 대표이사가 영어에 자신이 없다면, 영어를 유창하게 하고, 회사의 역사와 비즈니스에 대해서 A부터 Z까지 속속들이 잘 알고 있는 다른 직원을 동반해서 해외 투자자와 미팅을 하는 것도 괜찮다고 했다. 그래서 대표가 영어를 못 하면, 영어를 잘 하는 경영진을 채용하라고 했는데, 이제 이 버전을 좀 바꿀 때가 된 것 같다.

회사를 책임지고, 사업을 하고, 재무를 책임지고, 직원을 채용해야 하는 대표이사가 직접 영어를 잘해야 한다. 창업자/대표이사만큼 우리가 하는 비즈니스와 시장에 대해서 잘 아는 사람이 회사에 없고, 투자자는 본인들의 돈이 투입될 사업을 총괄하는 대표는 어떤 사람인지, 어떤 생각을 하는지, 어떻게 미래를 보는지, 어떻게 전략을 만들고 있는지, 어떻게 사람을 채용하고 있는지, 뭐 이런 걸 아주 자세히 알고 싶어 한다. 특히나, 해외 VC에 투자받아야 하는 단계까지 온 회사라면, 수백 원 원 ~ 수천억 원의 자금이 필요할 텐데, 이렇게 큰돈을 투자하면서 내가 누구에게 투자하는지 안 궁금해할 수 없지 않은가.

투자자가 궁금해하는 이런 구체적인 이야기는 회사의 다른 사람이 전달할 수 없다. 회사를 직접 만들어서 처음부터 경영하고, 지금의 회사를 만든 창업가와 대표만이 제대로 전달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대화를 대표가 아닌 영어를 잘하는 다른 임원, 다른 직원, 또는 통역사가 할 수도 없고, 설령 하더라도 그 임팩트는 크지 않다. 이런 이야기를 제대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대표가 한글만큼 영어를 잘해야 한다.

우리도 큰 해외 VC와의 관계가 좋기 때문에, 스트롱 투자사들이 어느 정도 단계에 올라오면 해외 VC와 연결해 주고 싶은 마음이 크다. 그리고 해외 VC를 소개해달라고 하는 스트롱 창업가들이 상당히 많다. 하지만, 항상 두려움과 망설임이 앞서는 가장 큰 이유는 이들의 영어 실력이다. 그래서 나는 요새 대표님들에게 단도직입적으로 물어본다. “영어 잘하세요?” 그러면 대부분 “Writing은 괜찮은데 speaking은 자신이 없습니다.”라고 답을 한다. 이 말은 그냥 영어를 못한다는 것이다. 영어를 못하는 대표지만, 수치가 너무 좋다면, 내가 가끔 미팅에 동행해서 통역을 해주는데, 나도 바쁜 사람이라서 항상 이렇게 할 수도 없고, 투자자라면 기존 투자자를 통해서 듣기보단, 창업자와 대표이사로부터 직접 사업에 대해서 자세히 듣기를 원할 것이기 때문에 되도록 같이 참석하지 않는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선뜻 외국 투자자들 소개를 못 해주고 있다. 아니, 안 해주고 있다.

회사가 성장하면서 대표가 성장을 같이 해야 하고, 결국엔 대표가 회사보다 더 많이 성장해서 회사를 품든, 회사가 대표보다 더 성장해서 회사가 대표를 품는다. 회사에 뒤처지지 않기 위해선 대표이사의 영어 공부와 실력이 생각보다 훨씬 더 중요하다. 모든 스타트업 대표는 열심히 영어 공부하는 걸 적극 권장한다.

공공의 이익, 개인의 이익

소비자 동향을 잘 파악할 수 있는 설문과 보고서를 맛깔나게 잘 만드는 The New Consumer에서 2023년 상반기를 정리하는 보고서를 얼마 전에 출시했다. ‘Consumer Trends 2023 상반기 정리’라는 보고서인데 정확한 제목은 “AI, Ozempic, and the Economy” 이다. 회원 가입하면 무료로 받을 수 있는 보고서는 100장이 넘지만, 쉽게 읽히는 내용이라서 15분이면 다 볼 수 있다.

여러 가지 재미있는 내용이 많지만, 여기서 이 보고서를 요약하진 않겠다. 그런데 몇 가지 개인적으로 흥미로운 내용이 있었는데, 이 중 젊은 세대에 대한 이런 설문 결과가 있었다.

“틱톡이 중국 제품이어서 싫다고 하는 대부분의 미국인들은 틱톡을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이다. 틱톡을 활발하게 사용하는 MZ 세대는 이게 중국 제품이든 미국 제품이든 별로 신경 쓰지 않는다.”

미국의 공공의 이익을 위해서 틱톡을 미국에서 금지하고 추방하려는 움직임들이 많은데, 정작 틱톡을 활발하게 사용해서 스스로를 표현하고 친구들과 소통하고, 더 나아가서는 틱톡으로 생계를 이어가는 틱톡 사용자들은 틱톡이 중국제품이어도 본인들의 생활과 생계에 도움이 되면 별로 상관하지 않는다는 의미로 이해했다. 즉, 개인의 이익을 공공의 이익보다 우선시하는 젊은 세대의 성향을 잘 보여주는 설문이라고 나는 생각했다.

얼마 전에 스타벅스에서 들었던 모르는 사람들의 대화 내용인데, 통일에 대한 이야기였고, 위의 틱톡 관련 설문을 보고 이 대화가 갑자기 생각났다. 같은 팀에서 일하는 회사원들인 것 같았고, 직급이나 나이 차는 많이 나지만 개인적으론 아주 친한 분들 같았다. 나이 든 분은 인구절벽으로 인해서 한국의 미래가 위태롭기 때문에 통일해야지만 인구 문제가 해결되고, 본인의 자식 세대가 잘 살기 위해선 통일이 꼭 필요하다고 이야기했다. 다른 젊은 분은 완전히 반대 이야기를 했다. 통일의 과정은 복잡하고, 힘들고, 북한을 흡수하는 과정에서 남한이 경제적으로 파탄되면 본인의 삶이 너무 암울해질 게 뻔한데 통일을 옹호하는 사람들이 잘 이해되지 않는다는 주장이었다. 미래 세대도 중요하지만, 그 전에 가장 중요한 건 본인인데, 남을 위해서 왜 내가 희생해야 하는지 절대로 이해할 수 없고, 인구절벽 문제는 국가와 공공의 문제인 건 알겠지만, 더 중요한 건 개인의 이익이라는 이야기였다.

공공의 이익이 먼저냐, 개인의 이익이 먼저냐, 이건 실은 아주 오래된 논쟁이다. 이 문제에 대해선 그 누구도 맞고 틀렸다고 할 수 없다고 나는 생각하고, 위에서 이야기한 틱톡이나 통일에 대해서는 그냥 모두 다 개인적인 생각이 있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나한테 지극히 개인적인 의견을 누군가 묻는다면, 그리고 굳이 딱 한 표만 있다면, 나는 개인의 이익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긴 한다.

위에서 이야기했던 회사원분들은 어쩌면 큰 싸움으로 번질 수 있는 내용을 아주 차분하고 어른스럽게 이야기했지만, 우리 모두 한 번쯤은 이 공공의 이익과 개인의 이익에 대해서 생각하고 갈등한 적이 있을 것 같다. 정답은 없고, 그냥 개인의 생각과 취향의 문제일 듯 싶다.

국산 소프트웨어의 강점

아마도 많은 한국의 스타트업이 만들고 있는 제품이나 서비스가 미국이나 해외에 이미 존재하는 제품의 한국 버전일 것이다. 우리가 만나는 스타트업도 이런 플레이를 하는 곳들이 엄청 많다. 쿠팡은 한국의 아마존이고, 토스는 한국의 Venmo이고, 실은 많은 한국의 유니콘이 이미 미국에서 잘되고 있는 회사들의 제품을 카피해서 시작했고, 시작은 이렇게 했지만, 사업을 뾰족하게 만들어 가는 과정에서 원래 버전과는 상당히 다르게 성장한다. 어떤 차이가 나는지 조금 더 자세히 보면, 한국 시장에서는 아예 작동하지 않는 모델임이 밝혀지면서 완전히 방향을 바꾸는 경우가 있고, 한국 시장에서는 작동하지만, 원제품과는 상당히 다른 현지화(=localization) 작업이 동반되는 경우가 있다.

실은, 자세히 생각해 보면, 우리가 투자한 많은 스타트업이 “한국의 xyz”라고 간략하게 설명할 수가 있는데, 껍데기를 보면 해외 제품과 비슷하지만, 자세히 보면 현지화가 상당히 많이 됐기 때문에 “한국의 xyz”라고 하기보단 그냥 별개의 제품이라고 하는 게 맞다고 생각한다.

현지화라는 단어는 애매모호한 단어이다. 어떤 회사는 외국 소프트웨어를 그대로 카피하고, 인터페이스만 한글로 제공하는 걸 현지화한 국산 소프트웨어라고 하고, 어떤 회사는 위에서 말한 대로 별개의 제품이라고 할 정도로 한국의 시장만을 위한 제품을 만들고 이걸 현지화한 국산 소프트웨어라고 한다. 나는 외국 소프트웨어를 번역만 해도, 번역을 잘하면, 이 또한 훌륭한 현지화 작업이라고 생각한다.

그 어떤 제품을 보더라도 거의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는 국산과 외산 제품이 있다. 요새 우리가 관심을 두고 보는 분야가 ERP와 CRM인데, “국산” , “현지화”라는 말을 자주 들을 수 있는 대표적인 B2B 소프트웨어 제품들이다. 누구나 다 알고 있는 글로벌 제품인 SAP와 Oracle과 같은 외산 소프트웨어도 한국 시장에 많이 깔려 있는데, 이 제품들을 벤치마킹한 매우 유사한 인터페이스와 기능을 제공하는 국산 ERP와 CRM 솔루션도 꽤 많다. 내가 전에 일했던 자이오넥스라는 회사에서는 국산 SCM 솔루션을 개발하고 판매하는데, 이미 이 분야에는 엄청나게 큰 글로벌 기업들이 존재하고, 이들이 한국에서 제품을 잘 판매하고 있다.

역사도 오래됐고, 회사의 규모도 훨씬 크고, 브랜딩이 더 잘 된 글로벌 기업의 제품을 도입하지 않고 국산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한국 기업 또는 소비자들은 왜 메이드인코리아 제품을 사용할까? 몇 가지 명확한 이유가 있는 것 같다. 가장 기본적이고, 너무 당연하지만, 일단 국산 제품은 기본 언어가 한글이다. 별거 아닌 것 같지만, 상당히 중요하다. 솔직히 소프트웨어가 영어로 되어봤자, 어려운 영어도 아니고, 그냥 기본적인 영어 단어 위주라서 웬만한 한국 분들은 다 읽을 줄 알고 이해한다. 하지만, 그래도 한글 UI보단 어렵고, 머릿속에서 영어를 한국어로 번역하는 작업 자체가 번거롭다. 혹시 마이크로소프트 제품을 영문버전으로 사용해 본 분이 있는지 모르겠지만, 전부 다 쉬운 영어지만, 한글 버전보단 사용하기가 불편하고 어렵다.

UI와 UX에서도 꽤 차이가 크게 나는 경우를 나는 봤다. 위에서 말한 ERP나 CRM은 기업용 소프트웨어인데, 같은 사업을 하는 회사라도 한국 회사와 미국 회사의 사내 프로세스는 상당히 다르다. 아주 오랜 세월 동안 축적된 그 나라의 독특한 업무 문화가 반영됐기 때문인데, 이런 미묘한 특성을 잘 살린 국산 소프트웨어가 한국 회사엔 훨씬 더 편리할 수 있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국산 제품이 가질 수 있는 가장 강력한 장점이 바로 고객 지원이라고 생각한다. 같은 시간대에, 같은 언어로, 언제든지 고객지원을 할 수 있는 능력은 아무리 작은 한국의 스타트업이 개발하는 제품이라도 엄청난 글로벌 제품을 이길 수 있는 강력한 무기라고 난 생각한다. 우리가 투자한 상당히 많은 한국 스타트업의 제품은 이미 이들보다 훨씬 더 잘하는 글로벌 벤치마크 제품이 존재하고, 이런 글로벌 제품들이 이미 한국에서 판매가 되고 있다. 그런데도, 우리 투자사의 제품을 사용하는 고객들에게 가끔 물어보면, CS가 잘 된다는 이유 하나 때문에 우리 투자사의 열혈 고객이 된 경우가 많다.

한국어로 된 인터페이스, 한국 문화와 프로세스에 특화된 UI/UX, 그리고 현지화된 고객지원 서비스, 이게 바로 국산 소프트웨어의 강점이라고 생각하고, 이 분야를 계속 더 파고 들어가면 한국에서 꽤 규모가 나올 수 있는 제품을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한국의 외국인 창업가들

한국 시장을 오랫동안 관찰하고 이 시장에 투자하다 보면 여러 가지 재미있는 사실들을 발견하고, 몰랐던 배움을 얻게 되는데, 오늘은 그 발견과 배움에 관한 이야기다.

우리는 최근에 패커티브라는 한국의 스타트업에 투자했다. B2B SaaS 회사라서 더욱더 우리에게 매력적으로 다가왔었고, 오랜 세월 동안 기술이 적용되지 않고 있던 박스와 포장재 시장이라는 점도 굉장히 매력적이었다. 그런데 가장 마음에 들었던 건 바로 이 회사의 창업자이자 대표이사가 외국인이라는 점이다. 도미니크라는 분인데, 교포도 아니고 유럽 오스트리아 출신의 완전한 외국인이다. 도미니크는 약 10년 전에 일 때문에 한국에 왔고, 그 이후에 한국이 좋았고, 한국에 매료돼서 여기서 계속 일을 하고 창업했다.

우리 투자사 중 AI 이력서 제작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Rezi라는 스타트업이 있는데, 이 회사의 창업가도 제이콥이라는 미국인(백인)이다. 제이콥도 한국이라는 나라가 궁금해서 영어 선생님으로 왔다가 한국의 창업 생태계가 꽤 괜찮은 걸 경험하고 프랑스인 CTO와 함께 Rezi를 창업했고 한국에서 글로벌 소프트웨어 비즈니스를 만들고 있다. 패커티브와 Rezi 두 회사 모두 한국인, 중국인, 프랑스인 직원을 채용하고 있는데, 우리도 이 두 회사에 투자하면서 알게 된 사실인데,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외국 엔지니어와 PM 급 인력이 우리가 알던 것보다 꽤 많다는 것이다.

한국과 특별한 인연이나 네트워크가 없고, 우리 말을 전혀 못 하는 외국인들이 – 그것도 우리보다 잘 사는 거로 알려진 나름 선진국 출신의 – 한국에서 창업해서 좋은 비즈니스를 만들고 있는 게 우리가 최근에 느끼고 있는 새로운 트렌드이다. 어떻게 보면 유럽이나 미국이 한국보다 창업 환경이 더 좋을 수 있고, 본인이 태어나고, 교육받고, 언어를 알고, 이미 친구와 네트워크가 있는 조국에서 창업하는 게 훨씬 더 생산적이고 편할 텐데, 이 중 그 어떤 것도 없는, 서구와는 너무 다른 환경의 나라인 한국에 와서 창업하는 게 신기하기까지 했다. 그래서 한국에서 창업하는 외국인들에게 왜 한국에서 스타트업을 하는지 많이 물어봤는데, 공통적인 요소로는 높은 교육 수준으로 인한 똑똑한 인력, 아직까진 상대적으로 저렴한 인건비, (외국인이 지원하거나 받기엔 아직은 어렵고 복잡하지만)한국 정부의 적극적인 스타트업에 대한 지원, 그리고 기술적으로 앞서가고 아주 쿨한 나라라는 점을 손꼽는다. 그리고 한국에 대한 긍정적인 생각과 이미지를 갖게 된 계기는 대부분 케이팝과 케이컨텐츠이지만, 한국에서 얼마 동안 살아보니 이보다 훨씬 더 큰 매력이 가득한 나라라고 모두 말한다.

우리가 이런 외국인 창업가에게 투자하고, 이들을 계속 만나서 이야기하다 보면, 또 다른 재미있는 점은 바로 이들이 한국에서 태어나서 계속 여기서 살고 있는 한국인들이 보지 못하는 크고 작은 기회를 잘 본다는 점이다. 그냥 한국에서 쭉 살아왔으면 “원래 그런 거야” 하고 눈치채지 못했을 시장을 외국인들은 잘 보고, 이 시장에서 UI와 UX가 부러진 곳에 존재하는 기회를 잘 포착한다. 그리고 한국이 전 세계적으로 잘하지만, 한국에 살고 있는 한국인들은 잘 모르는, 그런 기회도 잘 본다. 또 좋은 점은, 한국에 살고 있는 외국인들은 대부분 영어는 기본적으로 잘하므로, 해외 VC들과 이야기할 때 전혀 불편함이 없어서, 후속 투자에 있어서도 긍정적인 면이 많다.

실은 패커티브도 이런 케이스에 속한다. 한국의 이커머스는 세계적인 수준이고, 이로 인해서 크고 작은 다양한 형태의 제품을 위한 포장재 시장이 잘 발달되어 있는데, 아직도 아주 오래되고 파편화 되어 있는 공장들이 이 시장을 점유하고 있다. 여기서 패커티브의 아이디어가 시작된 것이다.

앞으로 더욱더 많은 외국인들이 한국으로 이주할 것이고, 창업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모두 다 한국의 창업 생태계와 경제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고, 우리도 더욱더 크게 기여할 수 있으면 좋겠다.

Strong 채용

오늘 포스팅은 우리 회사 채용에 관한 내용이다.

우린 지난 11년 동안 한국과 미국 위주로 250개가 넘는 한인 창업 스타트업, 또는 한국과 관련된 사업을 하는 스타트업에 투자했다. 포트폴리오사가 250개가 넘는다고 하면, 많은 분들이 스트롱이 굉장히 큰 회사라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full-time 인력 6명 밖에 없는, 전형적으로 doing more with less를 몸소 실행하고 있는 lean 하지만 strong한 조직이다.

불경기지만, 능력 있는 창업가는 더 많아지고 있고, 이들은 꿈을 현실로 만들기 위해서 열심히 노력하고 있다. 우리는 이런 분들을 초기에 발견하고, 만나고, 그리고 계속 투자해야 하는데, 이렇게 하기 위해선 좋은 분들이 더 필요하다. 작년에 최초로 공개 채용을 진행했고, 이번에 스트롱 역사 11년 만에 두 번째 공개 채용을 진행한다. 스트롱은 국내외 초기 스타트업에 전문적으로 투자하는 미국VC이며, 한국에서 잘 알려진 우리 투자사는 당근마켓, Tapas Media, 코빗, 클래스101, 핀다, 숨고, 미소, 라엘, 세탁특공대, 설탭, 쿠팡, 코드스테이츠, 지바이크 등이 있고, 우린 이 회사들에 대부분 첫 투자 또는 초기 투자를 했다.(스트롱 포트폴리오사 full list)

이번에 우린 두 명을 채용하는데, 한 분은 6개월~12개월 동안 같이 일할 투자 애널리스트 인턴, 그리고 한 분은 풀타임 투자 관리팀원이다. 구체적인 내용은 여기서 확인할 수 있다. 본인이 우리와 fit이 맞는다고 생각하면 지원해주시고, 주변에 괜찮은 분들이 있으면 적극 소개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