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A의 길

기고자 소개) 박은정 씨는 와튼스쿨 (Wharton School) 졸업한 후 현재 Top MBA 전문 컨설턴트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MBA 지원자들에게 도움을 준 경험을 기반으로 “미국 Top MBA 가는길(매일경제)“를 공저하였으며, 현재 자신만의 노하우와 지식을 바탕으로 최신 MBA 트렌드와 어느 학원에서도 해 주지 않는 진짜 MBA 이야기를 세상에 알리고 있습니다.
그녀는 연세대학교 상경계열 졸업 후 삼일회계법인에서 일을 했으며 현재 미국 동부 피츠버그에서 가족들과 함께 거주하고 있습니다. 박은정씨의 글에 대해 다른 의견이 있거나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mbaparkssam@gmail.com으로 연락주세요.
*박은정씨가 운영하는 MBA의 길에 가시면 MBA 관련 더 많은 정보가 있습니다.

최근에 떠오르는 개념으로 EBM(Evidence-based Management)라는 것이 있습니다. 경영에 있어서 모든 의사결정은 분명한 증거를 기반으로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철저한 ‘증거기반’의 정신은 공공정책 및 의료 부문에서 처음 시작되어 이제는 경영(management) 분야로도 확산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증거기반의 의사결정 방식은 MBA 지원 및 어드미션에서도 드러납니다. 오늘은 MBA 지원자 입장에서 이러한 변화에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MBA 입학 시에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는 다양한 구성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력서에 나타나는 나의 학력과 직장경력, 내가 받아둔 GMAT과 토플 점수는 이미 과거에 이루어놓은(backward-looking)증거들입니다. 반면, 내가 작성하는 에세이에는 과거의 내용과 함께, 미래에 어떠한 직업을 가지고 어떠한 일을 하겠다는, 미래지향적(forward-looking)한 내용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때문에 많은 분들이 ‘이 부분은 아직 일어나지 않은 내용이니까, Anything is possible.’라고 생각하시고 이제까지 과거의 증거가 가리키는 것과는 무관하게 하고 싶은 일에 대해서 열심히 쓰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에세이에서도 분명, 미래지향적인 계획과 과거지향적인 증거는 균형이 맞아야 합니다. 즉, 과거에 증거가 검증되지 않은 계획은 공허한 말에 불과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MBA 지원에서 지원자가 제출하는 증거는 다양합니다. 지적 능력을 보여주기 위해서는 출신대학의 학부, 학점, GMAT 점수를 내보입니다. 외국인 지원자는 영어 실력을 보여주기 위해 토플이나 IELTS등 영어 점수를 제출하고, 그간 업무영역에서의 성공을 보여주기 위해서는 이력서를 제출합니다. 그런데 에세이에 들어가는 증거 중에서는 단기에는 준비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기 때문에 미래에 MBA에 지원할 생각이 있는 사람이라면 미리부터 해당 부분에 준비를 해야 합니다. 만일 ‘나는 사회공헌에 관심이 많다’ 라고 이야기하려면 실제로 그러한 관심을 실행에 옮겨 왔어야 합니다. 단순히 회사에서 1년에 한번씩 가는 사랑의 김장 행사나 연탄 나르기, 매월 월드비전을 통해 몇만원씩 후원하는 정도를 ‘관심’이라고 부르기에는, ‘사회공헌’이라는 단어에게 미안해질 정도입니다. 이러한 부분은 준비하는 데 시간이 걸리는 것이 당연합니다. 불과 MBA 지원하기 몇 개월 전부터 갑자기 사회공헌 활동을 시작하는 것 또한 신뢰성있게 보이지 않습니다.

따라서 2-3년 후에 MBA 에 지원할 생각이 있으신 분이라면 본인이 MBA 이후에 어떠한 진로를 잡아가고 싶은지를 잘 생각해보고 그것과 관련된 행동들을 시작하셔야 합니다. 내가 지금 있는 내 업계에 계속 있을 예정이라면 모를까, 새로운 업계로 진출하거나, 위에서 이야기한 사회공헌 혹은 사회적 기업 등과 관련된 부분을 공부하기 위한 발판으로 MBA를 생각하고 있다면 해당 부문과 맥이 닿아있는 활동을 지금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MBA 일단 가고, 그 다음에 해야지’라는 생각은 너무 안일할 뿐만 아니라, MBA 어드미션을 받는 데도 전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MBA 에세이에서는 지원자는 목표 뿐 아니라 그에 해당하는 증거도 같이 제공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면, 나는 ABC에 관심이 많아서 미래에는 그와 관련된 XYZ라는 일을 하는 것이 목표다. 그리고 그것을 위해서 지금까지는 어떠한 일을 해 왔다, 라는 식입니다.

당장 곧 MBA에 지원할 사람이라면 내가 이제까지 무엇을 해 왔는지를 차근차근 돌아보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내가 이제까지 가장 초점을 맞춰서 에너지를 쏟아온 것이 무엇인지를 파악해 보세요. 나는 보다 나은 사회를 만들 수 있는 사회적 기업에 관심이 많다고 스스로 생각했지만, 뒤돌아보니 수년간 딱히 해온 게 없다면 본인이 생각하는 열정이 진짜인지를 점검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 부분을 위해서 꼭 다니는 회사를 옮겨서 NGO에 취업해서 일했어야 하는 건 아닙니다. 하지만 주말이나 여름휴가에는 충분히 여러가지 활동에 깊이 개입하고, 다양한 포지션을 경험할 수는 있었을 겁니다. 내 과거의 증거들이 가리키는 방향에 나의 열정이 있을 가능성이 높으니, 그곳에서 MBA 이후 하고 싶은 직업 목표를 찾는 것이 에세이를 읽는 애드컴 입장에서 가장 논리적이고 이해하기 쉬운 길이 됩니다.

관심과 열정이 있다면 그 분야에서 무엇이라도 부딪혀 보세요.
몽고 사막을 뛰어도 좋고, 아프리카의 우물을 파 줘도 좋지만 당장 노숙자 식사봉사와 같은 비교적 접근이 용이한 일부터 시작해도 좋습니다. 금융권 종사자이지만 테크 쪽에 관심이 있다면 코세라(Coursera) 같은 온라인 교육 사이트에서 관련된 과목을 수강해볼 수도 있고, 기초적인 프로그래밍 지식을 쌓을 수도 있습니다. 전업은 하지 못하더라도 킥스타터에서 작은 아이템들을 만들어서 팔아볼 수도 있을 겁니다. 이렇게 비교적 ‘접근이 가능한’ 일이라고 해도 막상 시작하려면 여러가지 장애물 들이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막상 그런 일을 해보시면 분명히 해보지 않은 이들보다는 본인이 관심있다고 생각하는 해당 영역에 대해 훨씬 더 많은 것을 알게 되고 자기가 기여할 수 있는 더 넓은 길들이 보이기 시작합니다. 그런 것들이 사람의 생각의 깊이를 더해주고, 결국은 에세이에서 나의 개성을 살려주는 소재가 됩니다.

말뿐인 열정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