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Jan 15, 11 08 24 AM며칠 전 산호세 공항 화장실에서 찍은 사진이다. 물, 비누 모두 동작센서로 작동되는데 비누가 나오는 구멍이 수도꼭지에 너무 가까이 있어서 물로 손을 씻다 보면 동작이 감지되어 비누가 자동으로 계속 나오는 문제가 있었다. 이 화장실에서 상당히 많은 사람이 손을 씻을 텐데 그럴 때마다 이렇게 비누가 나오는 건 엄청난 낭비라고 생각된다. 설계를 잘못한 것인지 아니면 시공을 잘못한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이걸 다시 고치려면 엄청난 비용과 시간이 필요할 것이다. 자동 비누 디스펜서를 물리적으로 뜯어내고 다시 공사해서 다른 위치로 옮겨야 한다.

그런데 다른 위치로 옮겼는데도 너무 가까워서 계속 비누가 낭비된다면? 또는, 비누는 낭비되지 않지만, 너무 멀리 위치해서 사용자들이 불편해한다면? 별거 아닌 거 같지만, 제대로 하려면 정확한 위치를 찾을 때까지 여러 번 뜯어내고 시행착오 과정을 거쳐야 한다. 상당히 비효율적이고 비싼 product iteration이다.

이런 면에서 볼 때 소프트웨어는 정말 아름답다고 할 수 있다. 수만 번의 product iteration을 큰 비용과 시간의 손실 없이 효율적으로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내가 아는 스타트업 중 하루에도 몇 번씩 product iteration을 하는 회사들이 있다. 개발자와 디자이너만 있으면 된다. 물론 소프트웨어를 고치는 게 말처럼 간단한 거는 아니지만, 하드웨어를 부수고 다시 만드는 거에 비하면 코드를 고치는 건 정말 간편하다. 하드웨어는 일단 출시를 하면 뜯어고치고 다시 대량생산 하는 게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이런 product iteration이 더 쉬우므로 소프트웨어 회사들은 고객의 눈높이에 맞는 제품을 상당히 높은 완성도로 만드는 게 가능하다. 그런데 내 주위의 소프트웨어 회사들이 정말로 완성도가 매우 높은 제품을 가지고 고객들을 만족하게 해주고 있는가? 그렇지 않다. 이렇게 쉬움에도 불구하고 product iteration을 제대로 하지 않기 때문이다. 소프트웨어 비즈니스가 제공하는 이런 장점을 좋은 회사들은 잘 활용해서 좋은 제품을 만들려고 노력한다. 그렇게 해도 시장이 인정해주는 제품이 만들어질 확률은 3%도 안 된다. Product iteration을 십분 활용하지 않는 게으른 회사들에 이 확률은 0%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