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만난 스타트업들한테 가장 많이 사용했던 단어가 “존재하지 않는 문제”였던 거 같다. 세상에는 갈수록 많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스타트업들 또한 더욱더 많이 생기고 있다. 이로 인해 전반적으로는 아주 긍정적인 분위기가 만들어지고 있지만, 부작용도 보이는 거 같다. 아니, 부작용이라고 할 수는 없고 “억지 비즈니스”라고 하는 게 맞을 거 같다.

많은 스타트업들이 존재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는 거 같다. 그리고 이 존재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억지로 창업을 하는 경우도 보이는 거 같다. 창업팀의 프라이버시를 위해서 내가 만난 회사들의 특정 아이템이나 이름을 거론하고 싶지는 않지만 얼마 전에 미디어에서 본 제품 이야기는 하고 싶다. 참고로, 이건 지극히 개인적인 의견이다. 이 회사 상황이 현재 어떤지 전혀 모르고 시장에서 엄청나게 좋은 반응을 일으키고 있을지도 모른다.

스마트 물병을 만드는 회사였다. 개인의 신체 정보를 (체중, 나이 등) 입력하고, 물을 마시는 패턴 등을 물병과 앱이 기계학습을 한 후에 몸에 물이 부족하면 물을 마시라고 push 알람을 해주는 물병이다. 요새 유행하고 있는 IoT, 빅데이터, 하드웨어 등 모든 키워드가 적용될 수 있는 비즈니스이다. 그런데 내 몸에 물이 부족하다는 걸 굳이 기계가 나한테 말을 해줘야지 알 수 있을까? 태어난 지 1살도 안 된 갓난아기도 목마르면 물 달라고 운다. 말을 못하는 우리 집 개 마일로도 목마르면 직접 물을 마신다.

이 회사가 주장하는 건 전 세계 인구 대부분이 물을 충분히 안 마셔서 탈수 상태로 살고 있다고 한다. So what? 나도 물을 충분히 안 마시고 살지만, 사는 데 전혀 문제가 없다. 몸에서 목이 마른다는 신호가 오면 그냥 물을 마시면 된다. 굳이 이걸 위해서 물병을 구매하고, 새로운 앱을 설치하고, 회원가입을 하고, 정보를 입력할 필요가 있는지는 의문이다. 좋은 하드웨어/소프트웨어/머신러닝 등의 고급 기술들이 적용된 비즈니스이지만 내가 보기에는 존재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품을 만들고 있는 거 같다. 특히 IoT나 웨어러블 분야에서 이런 제품들을 많이 접하는 거 같다. 대부분 빅데이터나 머신러닝으로 포장하는 게 가능하기 때문인 거 같다.

물론, 창업팀한테는 큰 문제가 될 수도 있고 나름 큰 시장이 보이기 때문에 리스크를 감수하고 창업을 했을 것이다. 제발 그랬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 그래서 모두 성공해서 잘 되면 좋겠다. 그런데 나는 절대로 구매하지 않을 거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