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A의 길

기고자 소개) 박은정 씨는 와튼스쿨 (Wharton School) 졸업한 후 현재 Top MBA 전문 컨설턴트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MBA 지원자들에게 도움을 준 경험을 기반으로 “미국 Top MBA 가는길(매일경제)“를 공저하였으며, 현재 자신만의 노하우와 지식을 바탕으로 최신 MBA 트렌드와 어느 학원에서도 해 주지 않는 진짜 MBA 이야기를 세상에 알리고 있습니다.
그녀는 연세대학교 상경계열 졸업 후 삼일회계법인에서 일을 했으며 현재 미국 동부 피츠버그에서 가족들과 함께 거주하고 있습니다. 박은정씨의 글에 대해 다른 의견이 있거나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mbaparkssam@gmail.com으로 연락주세요.
*박은정씨가 운영하는 MBA의 길에 가시면 MBA 관련 더 많은 정보가 있습니다.

벌써 12월 입니다. 한 해 동안 세워왔던 계획도 돌아보고, 삶의 방향들을 재정립해야 하는 시점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MBA를 삶의 단계 중 하나로 고려하고 계신 분들, 혹은 지원을 이미 결정하신 분들을 위해서 누구나 궁금해 하는 MBA M7에 대한 내용으로 준비했습니다(MBA 지원에 도움되는 정보 part 2는 2016년에 게시하도록 하겠습니다).

사실 개인적으로 MBA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면 필연적으로 등장하는 랭킹 이야기를 별로 좋아하는 편은 아닙니다. 그것만큼 쓸데없고 비생산적인 논쟁도 없습니다. 어차피 ‘M7이 아니면 못 가는 회사’에 가기 위해 MBA에 가는 지원자는 극소수이기 때문입니다. 10위권대의 학교에서도 열심히 하는 사람들은 좋은 회사에 좋은 조건으로 채용되고, 적극적으로 학교 및 구직생활을 하지 않는 이들은 M7이 아니라 top 3를 나와도 어려운게 MBA 취업시장입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도 미국에서조차 슈퍼엘리트 비즈니스 스쿨로서 인정받는 M7은 호기심을 자극합니다. 대체 어떤 곳이길래? 얼마 전에 Poets & Quants에 the M7: the Super Elite Business Schools by the numbers 라는 기사가 실렸습니다. 대부분 막연하게만 알고 있는 M7에 대해 기사에 나온 통계를 인용하여 이 글을 씁니다. 정말 M7 졸업생들은 얼마나 대단하고 얼마나 잘 나가는 걸까요?

흔히 M7은 그냥 관념적인 존재라고 생각하지만 사실 하버드, 스탠포드, 와튼, 켈로그, 부스, 컬럼비아 그리고 MIT Sloan을 포함하는 M(Magnificent)7은 오래전에 실제로 형성된 탑 비즈니스 스쿨들의 연맹입니다. 오래전, 이 7개 학교의 학장들은 비공식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일년에 두번씩 만나서 정보를 교환하기로 약속했습니다. 시간이 지났지만 이 그룹은 여전히 이 7개 학교로 제한되어 왔고요. 주기적으로 돌아가며 모임을 진행하는데, 단지 학장들만 만나는 것이 아니라 부학장들도, 애드컴 디렉터들도, 커리어 매니지먼트 디렉터들도, 심지어 PR 담당자들까지 자기들끼리 만나서 어드미션 및 학교 운영에 대해 상세히 논의합니다. 별의별 이야기가 다 돈다고 하네요. M7에 Tuck, Haas, Duke를 포함해서 Terrific 10을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도 심심찮게 들리고 있긴 하지만, 아직 M7은 M7일 뿐입니다.

일단 입학생들에 대해서 살펴볼까요?
M72014년 입학생들을 기준으로 가장 학생수가 많은 것은 하버드로 936명, 가장 적은 것은 MIT로 406명입니다. 합격률은 스탠포드가 한자릿수로 가장 낮고(7%), 시카고가 24%로 가장 높습니다. (아시겠지만 “오, 넷 중에 하나는 붙어? 별 거 아니네?”라고 생각하시면 곤란합니다.) 합격률보다 더 중요한 yield(어드미션을 받은 지원자 중 다른 곳으로 이탈하지 않고 실제로 등록한 비율)는 HBS가 제일 높은데도 89%, 스탠포드는 그 다음인데 80%니, 실제 이탈자가 굉장히 많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Wharton은 69%, 컬럼비아는 70% 입니다. 켈로그 정도만 되도 벌써 50% 아래로 떨어집니다. 그만큼 우수한 학생은 서로 데려가려고 한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M7이 우수한 학생을 attract하는 최대의 무기는 브랜드와 돈(장학금)입니다. 하버드도 붙고 스탠포드도 붙었는데 어느 한 쪽이 월등히 큰 장학금을 주겠다고 하면 그쪽으로 마음이 갈 수 있는 거죠.

최근 무섭게 올라가는 트렌드를 보이는 GMAT의 경우 스탠포드가 732점(외국인 평균은 더 높습니다), 컬럼비아가 716점으로 개중 가장 낮습니다. 하지만 이건 2014년 입학생 기준이고 올해 발표된 2015년에는 더 오른 학교가 많습니다. 특히 평균 GMAT이 낮은 편이었던 켈로그마저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여성의 비율은 스탠포드 하버드 와튼, top 3는 40% 이상이며 외국인의 비율은 스탠포드는 44%이지만 하버드와 와튼은 오히려 35%, 31%로 낮은 편입니다. 평균 나이는 26-28세로 비슷한 분포를 보였지만 스탠포드가 제일 어리고, 하버드와 와튼이 그 다음이며 나머지는 모두 28세입니다. 몇년 전부터 top3가 어리고 똑똑한 학생들을 뽑는데 주력하더니 수치로 드러나는군요.

두번째로, MBA 과정 자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M7-1우선 MBA에 드는 비용입니다. 스탠포드가 20만불을 넘겼습니다. 개중에는 켈로그가 유일하게 18만 이하를 찍었습니다. 이것은 2년간의 학비와 기타 생활비를 모두 포함한 수치이고 학비는 두번째 줄에 별도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2015-2016에 와튼이 올린 자료에 의하면 학비가 7만을 넘겼기 때문에 지금은 이보다 더 비용이 높아졌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제가 와튼에 다니던 2007-2010년(중간에 1년 휴학) 사이에는 11만 5천불로 2년간 학교에 낸 돈이 해결되었는데 그새 정말 많이 올랐네요. 마지막 줄에는 학생대출 부담 가정치도 적어두었지만 어차피 외국인인 우리는 미국인과 대출 규모나 조건이 다르므로 신경쓰지 않으셔도 됩니다.

M7-2위의 표는 장학금을 보여줍니다. 다만 이 부분도 외국인과 내국인의 차이가 있어서 일반화 시키기는 어렵습니다. 이 표를 놓고 보면 top 3는 인당 평균3만불 이상, 나머지 4학교도 인당 평균 4만불 이상의 장학금이 돌아간 것처럼 되어 있지만 사실 맨 아래를 보면 다른 학교에 뺏기기 싫은 학생에게는 크게 몰아주고 하나도 못 받는 학생이 40-67%에 달합니다. 제가 조사를 해 본 것은 아니지만, 제 주변의 케이스를 종합해 보면 10만불 이상의 고액 장학금을 몰아서 받는 사람들이 소수 있고, 4-6만불 장학금을 offer하는 경우가 또 종종 있고, 한푼도 못 받는 사람이 절반 혹은 그 이상입니다. 미국인들의 경우 1-2만불의 비교적 소액 장학금을 받는 사람도 꽤 되긴 하고요. 무엇보다 똑똑하고 매력있다고 판단되는 지원자, 그래서 필경 다른 학교에서도 눈독을 들일 것이 분명하다고 판단되는 지원자는 장학금을 크게 걸어서라도 데려오려고 합니다. 아주 가끔, 지원자의 수완이 좋다면 여러 어드미션을 갖고 네고를 하는 경우도 있다고 들었습니다. 한국분들 중에서도 10만불 받으신 분도 계십니다.

MBA 과정 자체를 비교해 보겠습니다.
M7-3흔히 하버드 쓰시는 분들이 케이스 스터디를 많이 해서 마음에 든다고 하시는데요, 이 표를 보면 나와 있습니다. 하버드는 기본적으로 비즈니스 스쿨의 기조가 ‘이론적 원칙은 없다, 실제만이 있을 뿐이다’입니다. 그래서 케이스가 80% 이고, 강의(lecture)는 없습니다. 반면 MIT는 경영학에도 과학처럼 법칙이 있다고 믿습니다. 하버드를 제외한 다른 모든 학교들은 케이스, 강의, 그리고 직접 참여(experiential learning+team projects)가 어느 정도 균형을 맞춘 모습을 보입니다(합계가 100%가 되지 않는 이유는 무엇 때문인지 잘 모르겠네요). Experiential learning은 시카고나 컬럼비아, Kellogg에는 없다고 되어 있는데 이것은 정확한 정보는 아닌 듯 합니다. Core 및 elective class의 규모는 강의마다 다르고 편차가 크므로 일반화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렇다면 이들은 과연 얼마나 잘 나가느냐? 졸업생 연봉을 찾아보겠습니다.
M7-4제일 첫줄에 있는 20년 연봉 합계는 총 30억이 넘거나 비슷한데, 보통 M7의 MBA 졸업생이 10만불 이상 받는 미국에서는 향후 승진을 고려하면 가능할 수도 있다고 하겠습니다. 2014년의 경우 평균 샐러리는 대략 12만에서 12만 5천불 사이에 분포되어 있고, 사이닝 보너스는 대략 2만 5천불로 통일입니다. 기타 다른 compensation은 대략 3만불 정도 되는 듯한데, 아마 비행기표(본국으로 돌아오는 경우), 이사비용, 정착비용 등일 것으로 추정됩니다. MIT는 이 부분을 집계하지 않아서 total compensation이 낮은 것으로 나왔군요.

졸업 시점의 취업률(offer를 받은 비중이 꼭 취업률은 아니지만 간편 비교를 위해 그렇게 표현하자면) 대략 80%에서 90% 사이입니다. 졸업 3개월 후에는 이 수치가 93%에서 98%까지 높아지네요. MBA에서 발표하는 그 어떤 통계 수치보다 중요한 것이 바로 이 수치입니다.

마지막으로 졸업생들이 가장 많이 진출하는 분야입니다.
M7-5켈로그와 MIT는 컨설팅에 제일 많이 갔고, 이 두 학교의 경우 컨설팅에 비해 금융권의 인기가 현저히 적었습니다. 나머지 학교들에서 가장 인기있었던 산업은 금융권입니다. 와튼이나 컬럼비아는 예상대로지만, 스탠포드도 그렇다는 점이 놀랍네요. 스탠포드에서 금융권은 29%가 진출한 반면, 테크는 24%로 이에 비해 적었습니다. 컬럼비아의 경우 컨설팅과 금융권이 34%와 35%로 거의 비슷했습니다. 기타 산업군에서는 스탠포드와 MIT가 tech 분야에 1/4에 가까운 졸업생을 안착시켰고 consumer retail 분야에서 Kellogg가 14%, MIT 가 11%로 두자리 수를 기록했습니다. 그 외에는 스탠포드에서 17%가 창업을 선택했는데, 나머지 학교들은 창업 비중이 그다지 높지 않았습니다.

마지막으로 동문의 숫자입니다.
M7-6동문 수는 하버드가 8만명으로 월등히 많고 와튼, 시카고, 콜롬비아 켈로그가 4만명대, MIT와 스탠포드는 만명대에 불과하네요. 와튼의 경우 9만명이라고 자랑하는데, 학부생과 박사까지 모두 포함한 숫자였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Fortune 500 회사의 CEO는 하버드가 40명을 배출했고, 와튼이 13명, 스탠포드는 10명을 배출한 바 있습니다. 다른 것보다 동문 부문에서는 MIT의 활약이 다른 학교에 비해 현저히 낮거나, 집계가 잘못된 것으로 보입니다.

각 학교의 웹사이트를 찾아보면 알 수 있는 자료이긴 하지만 M7을 한눈에 모아놓고 비교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한 정보가 되기를 바랍니다. 어느 학교에 지원할지 결정하거나, 이미 지원과정에 계신 분이라면 에세이 작성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스타트업바이블 독자 여러분, 한달도 채 남지 않은 2015년 마무리 잘 하시길 바랍니다. 박쌤은 2016년에 새로운 글로 찾아뵙겠습니다.

(이 글에 등장한 통계수치들은 Poets & Quants에서 가져온 것입니다. 원문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