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스타트업 분위기, 요새 매우 좋다. 좋은 창업가들이, 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기술을 이용해서 창업을 하는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기 때문에 스타트업의 절대적인 숫자가 과거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많아지고 있다. 그리고 아직까지는 미국의 스타트업들보다 한국의 스타트업들이 더 ‘저렴’ 하다. 즉, 밸류에이션이 상대적으로 더 낮다는 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밸류에이션은 계속 높아지고 있고, 과거에는 보기 힘들던 높은 밸류에이션에 투자받는 회사의 소식이 여기저기서 들려오고 있다. 배고프고, 투자도 못 받은 창업가들한테는 부러운 소식이지만 높은 밸류에이션에 투자 받은 회사와 성공적인 회사를 구분할 줄 알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솔직히 아직 상장하지 않은 회사의 가격을 정하는 건 굉장히 어려운 일이다. 상장회사면 시가총액이라는 (그나마) 객관적인 수치가 있지만, 이익은 커녕 매달 돈을 까먹고 있는 스타트업들의 밸류에이션 자체를 논한다는게 어쩌면 말이 안 된다. 수 년 동안 손실이 날 게 뻔한 회사한테 수 천억원, 심지어는 수 조원의 가치를 주는 걸 어떻게 논리적으로 설명 할 수 있을까?

많은 유니콘 스타트업들이 수 년 동안 적자가 나고 있으면서도 1조원 이상의 밸류에이션을 즐기고 있는 반면, 탄탄한 비즈니스모델을 기반으로 수익을 만들고 있지만 스케일이나 성장 포텐이 ‘상대적으로’ 약한 스타트업들은 낮은 밸류에이션을 받고 있는게 현실이다. 그렇게 때문에 높은 밸류에이션에 투자를 왕창 받은 스타트업들을 성공한 회사라고 생각하면서 이를 부러워 할 필요는 없다. 이 회사들은 오히려 높은 밸류에이션과 시장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서 무리수를 두면서 망가질 수 있는 가능성도 그만큼 높을수도 있다.

밸류에이션은 비즈니스의 현실을 정확하게 반영하는 숫자라기 보다는 사람들의 기대와 예상이 반영된 숫자라고 하는게 더 정확하다. 이는 상장회사의 시가총액에도 비슷하게 적용된다. 잘 나가던 회사의 분기 실적이 시장의 기대에 못 미치면 주가가 떨어지면서 시가총액이 무섭게 빠진다. 시가총액이 떨어졌다고 그 비즈니스나 회사가 정말로 예전과 달리 갑자기 3개월만에 위기에 처한걸까? 그건 아니다. 회사는 여전히 탄탄하고 잘 하고 있지만, 시장의 기대와 예상이 시가총액을 깎아버린 것이다.

성공하는 비즈니스는 제대로 된 제품을 만들어서 이 제품을 기꺼이 돈을 내고 사용하는 고객들을 유치하고, 유지할 수 있는 기본기를 강화해야한다. 모든 창업가들은 여기에 초점을 맞춰야지 어떻게 하면 우리가 높은 밸류에이션을 받을 수 있을까에 대해서 너무 고민하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