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스타트업들에 투자를 하다보면 대기업 분들도 많이 만난다. 우리가 투자한 기업의 후속투자, 협업, 우리 펀드 출자 관련 일들 때문에 대기업의 투자 담당하시는 분들 또는 사업 부서 분들을 자주 만나는데 이 분들 이야기 듣는것도 은근히 재미있다. 작은 벤처기업에서는 볼 수 없는 재미있는 판들이 대기업에서 벌어지는데 최근에 만난 분도 나를 보자마자, “우리 회장님이 요새 xxx에 완전히 꽂혀있는데 혹시 그 분야 회사들 소개 좀 해주실래요?” 라고 물어봤다.

사건의 발단은 아마도 이렇다. 이 회사 회장님이 친하게 지내는 업계 분들이 몇 명 있는데 어느 날 누군가 술자리에서 이 분야에 대해서 이야기를 했고, 기술의 전망이나 시장성에 대해서 포장을 잘 했을 것이다 – 아마도 경쟁사나 비슷한 규모의 회사 회장이었을 것이다. 그리고 그 다음 주간 경영회의에서 회사 간부들한테 “우리도 이거 해야하는거 아니야?” 한 마디 던지면서 회사의 모든 자원을 이 분야에 집중하는 판이 만들어지지 않았을까 싶다.

뭐, 모든 회사들이 이렇게 돌아가는건 당연히 아니지만, 내가 아는 꽤 많은 대기업들이 은근히 이렇게 돌아간다. 이런 현상에 대해서는 나는 장단점이 있다고 생각한다. 기본적으로 회사의 오너나 그에 준하는 높으신 분이 밀어붙이면 그 기술이나 아이템의 사업성이나 미래가능성과는 상관없이 회사의 핵심 인재와 자원들이 모두 집중되기 때문에 일을 하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매우 편하다. 주로 대기업이라는게 일 보다는 줄 서기나 자기 밥그릇 챙기기에 급급한데 이런 사람들의 방해를 받지 않고 일을 할 수 있어서 좋다. 회장님이 특정 분야에 ‘꽂히면’ 이런 건 좋다.

하지만, 확실이 장점 보다는 단점이 더 많다고 생각된다. 일단 전사적 차원에서 전략적인 공부나 계획이 동반되지 않고 이루어진 일 인의 결정일 확률이 높기 때문에 이게 과연 회사가 할 수 있는 사업인지 그리고 해야 할 사업인지가 명확하지 않다. 이 상태에서는 아무리 돈과 인력 투입을 해도 단기간 안에 성과를 내기가 쉽지 않다. “우리도 해야하는거 아니야?” 란 질문 자체가 누군가 남이 하니까 우리도 따라하자 라는 의미인데, 이는 그냥 유행 따라하기에 불과하기 때문에 단기적인 성과가 나오지 않으면 그만하고 또 다른 유행을 따라갈 확률이 크다.

실은 유행을 따라가는게 나는 무조건 나쁘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현재 유행하는 비즈니스나 기술들 중 절 반 이상은 실제로 미래의 혁신을 가져올 것이다. 하지만 눈에 보이는 결실이 만들어지려면 많은 투자와 시간이 필요하다. 최소 5년, 더 길게는 20년 동안 지속적인 투자를 해야하는데 그냥 순간적으로 이 분야에 꽂히면 이게 오래 가기가 힘들다. 구체적인 고민과 계획이 없이 시작했기 때문에 단기적인 성과가 보이지 않으면 이런 분들은 또 다른 분야에 꽂혀서 관심을 완전히 바꿀 수 있는 가능성이 다분히 존재하기 때문이다.

회장님들,
“우리도 해야하는거 아니야?” 말씀하시기 전에 한 번만 더 생각해주세요. 안 해도 되는거구요, 진짜로 해야하는거라면 정말 길게 보셔야 합니다. 안 그러면 여러 사람 피해봅니다.

대통령 각하+높은신 분들,
마찬가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