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투자를 가장 꺼리는 팀 중 하나가 바로 회사에 풀타임으로 일하지 않는 코파운더가 너무 많은 지분을 소유하는 경우이다. 전에도 비슷한 내용에 대해서 여러 번 글을 썼는데, 요새도 이런 팀들을 빈번하게 만나서, 어떻게 할지에 대한 고민을 많이 한 적이 있다.

마음에 드는 회사가 있고, 대표도 너무 좋은 거 같아서, 투자검토를 조금 진지하게 시작하다 보면 주주명부를 보게 된다. 그리고 대주주들이 누군지 한 명씩 물어보면, 현재 회사에 적을 두고 있지 않지만, 지분을 과도하게 많이 보유하고 있는 코파운더분들이 간혹 있다. 여기서 내가 말하는 “회사에 적을 두고 있지 않다”의 정의는, 풀타임이 아니라는 말이다. 회사에 일주일에 두 번 나오거나, 주말에만 일하거나, 원래 직장인인데 직장 업무 마치고 밤에 일하는 사람은 풀타임이 아니다. 풀타임은 말 그대로 이 스타트업에서 종일 일하고, 다른 업무에는 종사하지 않고, 이 일에 대해서만 종일 생각하는 그런 사람이다.

이렇게 회사에 풀타임으로 일하지 않는 사람이 지분을 많이 가지고 있으면, 내 안에서는 적색경보가 울린다. 실은 이건 어떻게 포장하고, 어떻게 합리화하는가에 따라서 보는 사람마다 의견은 다를 것 같은데, 필요에 의해서 풀타임과 파트타임 코파운더들이 같이 회사를 시작하고, 초반에 열심히 같이 일하다가, 원래 하는 일이 있는 코파운더는 지분을 그대로 유지한 채 자신의 직장으로 돌아간 거에 대해서 크게 신경 쓰지 않는 투자자도 있다. 시작하는 게 어려웠고, 초반에 중요한 고객을 발굴하거나, 아니면 제품의 뼈대가 되는 기술을 만드는데 지대한 기여를 했다면, 충분히 그만큼의 코파운더 지분을 받을 자격이 있다고 생각하는 VC도 있지만, 나는 스타트업은 창업 그 자체보다는 창업한 회사를 운영하고 성장시키는 게 더욱더 큰 과제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이 과정을 같이 하지 않는 사람들이 회사의 지분을 많이 가지는 건 절대적으로 반대이다.

이런 코파운더의 종류는 다양한데, 내가 자주 보는 건 의사, 교수, 변호사, 회계사, 연예인과 같은 전문직이다. 아무래도 모두 각 분야에 대한, 남들이 갖기 힘든 특수한 경험과 지식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이 분야에서 창업할 때는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런 전문직의 특성상, 전문직 자격을 가지려고 그동안 투자한 시간, 돈과 노력이 너무 커서, 이걸 당장 그만두고, 돈 못 버는, 그리고 앞으로 오랫동안 돈을 못 벌 확률이 높은 스타트업에 풀타임으로 이분들이 합류하는 건 거의 불가능하다. 하지만, 대부분 본인이 사업을 시작할 때 상당히 도움을 많이 줬기 때문에 코파운더이고, 그래서 지분을 계속 갖고 있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현재 풀타임으로 하는 일은 이미 오랫동안 해왔던 일이라서, 시간을 많이 투입하지 않아도 알아서 자동으로 돌아간다고 주장한다. 그래서 시간의 대부분을 스타트업 일하는데 쓸 거라는 말과 함께.

나는 이 말을 절대로 안 믿는다. 예를 들어 작은 중소기업을 운영하는 분이 이 회사는 이미 대표이사가 없어도 잘 돌아갈 수 있는 시스템과 팀을 만들어 놨기 때문에, 본인은 시간의 대부분을 다른 스타트업 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고 하는 경우라도, 결국 이분이 먹고 살 수 있는 돈이 나오는 건 이 중소기업이기 때문에, 항상 우선순위는 스타트업 보단 이 회사가 될 수밖에 없다. 결국, 이분한테는 파트타임 코파운더인 스타트업은 그냥 조금 열심히 하는 취미생활이라는 의미이다.

이건 형평성과 절실함의 문제라고 생각한다. 나는 스타트업의 지분에 대해서는, 이 사업을 하면서 만약에 사업이 망하면 가장 잃을 게 많은 사람들이 가장 많은 지분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많은 파트타임 코파운더들은 – 모두 그렇지는 않다 – 스타트업이 망해도, 경제적이나 정신적으로 크게 타격받지 않는다. 모두 풀타임으로 다니고 있는 직장이 있고, 여기서 월급이 꼬박꼬박 나오기 때문에, 파트타임으로 하는 스타트업이 망해도 이분은 그냥 똑같은 일상을 반복할 수 있다. 즉, 생계에는 전혀 지장이 없다. 이런 사람들은 지분을 많이 가질 필요도 없고, 가져서도 안 된다. 회사를 창업할 때는 기여를 했고, 도움을 줬겠지만, 스타트업이 잘 되려면 그 이후에 회사를 어떻게 운영하는지가 훨씬 더 중요하고, 회사의 지분은 이분들한테 줘야 한다.

약간 다른 케이스는, 코파운더들 모두/일부 직장 생활을 하면서, 시작은 파트타임으로 했고, 펀딩을 받기 전에는 업무 후 밤이랑 주말에 스타트업 일을 하지만, 제대로 펀딩받은 후에는 모두 회사를 그만두고 스타트업에 전념하는 경우인데, 이런 건 나는 오히려 현명한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만약에 이후에도 몇 명의 코파운더는 원래 다니던 직장을 계속 다니면서 시간 날 때만 스타트업 일을 하지만 지분은 그대로 갖고 있으면, 이건 나는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런 경우를 대비해서 항상 코파운더들끼리 제대로 된 주주 간 계약서를 체결해 놓으라고 권장한다.

그래서 나는 예비 창업가들한테 누구랑 회사를 창업할지에 대해서 잘 생각하고, 풀타임으로 일할 수 없는 코파운더와 창업을 해야만 한다면, 지분 구조를 어떻게 가져가고, 주주 간 계약서를 어떻게 작성할지 잘 생각하라고 충고한다. 그리고 이런 파트타임 코파운더 이슈가 있는 스타트업에 이미 몸을 담고 있다면, 위에서 말한 지분 문제는 가능하면 빨리 해결해서 글로(=계약서) 남기는 게 좋다. 스타트업이 잘 돼서, 밸류에이션이 올라가고, 본인들이 소유하고 있는 지분의 가치가 수십억 원, 또는 수백억 원이 되면, 사람의 마음이라는 게 어떻게 바뀔지 모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