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롱은 투자 보도 자료를 별도로 내진 않는다. 어떤 VC는 투자 마무리한 후, 각 투자 건에 대한 보도자료를 직접 배포하는데, 우린 투자를 너무 많이 하기도 하고, 내부 PR 담당자도 없어서 별도로 보도자료를 만들어서 배포하지 않는다. 또 다른 이유는 그냥 회사가 조용히 사업하는 게 중요하지, 굳이 투자 받았다고 공개하는 건 좋은 점도 있지만, 반대로 회사가 더 귀찮아지고, 사업에 집중하지 못하게 하는 단점도 있기 때문이다. 그래도 우리가 투자한 회사 보도자료가 많이 보이긴 하는데, 이건 우리가 배포한 게 아니라 우리 투자사에서 만들어서 배포한 기사다.

투자사는 여러 가지 이유로 이런 기사를 보도하는 게 회사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일단 좋은 사람들을 채용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투자 유치 소식이 발표되면, 전국/전 세계에서 이 회사를 전혀 몰랐던 다양한 분들이 기사를 읽게 되고, 운 좋으면 이 중 이직을 고려하고 있는 좋은 개발자, 마케팅 인력, 영업 담당자 등이 있을 수 있다. 그래서 더 많은 잠재 구직자들에게 회사가 노출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 하나는, 워낙 많은 스타트업이 생겼다가 망하는걸 반복하기 때문에, 조금이라도 고용안정을 원하는 구직자들에게는 이 회사가 최근에 투자를 받았다는 건, 최소한 앞으로 12개월은 매출이 없어도 월급은 보장된다는 뜻으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에, 투자 유치를 받았다는 보도자료는 여러모로 채용에 도움이 된다. 또한, 후속 투자에도 도움이 된다. 우리도 투자사들이 투자유치 자료를 낸 후에, 다양한 VC한테 연락 오는걸 목격했고, 이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다 후속 투자를 잘 받은 사례가 많이 있다.

주로 이런 보도자료는 회사에서 초안을 만들어서 기자들에게 배포하면, 기자들이 여기에 살을 더 붙이고, 필요하다면 회사와 인터뷰를 한 후에, 최종 보도자료가 완성되면, 서로 합의한 날짜와 시간에 공개 배포한다. 나는 한국과 미국의 여러 매체를 읽는데, 한국 매체의 이런 기사를 보면 항상 아쉬운 점이 많다. 기사의 내용이나 완성도 면에서 한국 기사는 비슷한 미국 매체의 기사와 비교해보면 너무나 빈약하기 때문이다.

한국의 경우, 회사가 만든 초안을 기자들이 수정하거나, 여기에 본인들의 생각을 추가하는 과정 자체가 아예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즉, 회사에서 자료를 보내주면, 이걸 그냥 대부분의 매체에서 그대로 발행하기 때문에 초안 자체를 최종본과 비슷하게 아주 높은 완성도로 작성해야 한다. 미국의 경우, 특정 스타트업이 투자받은 기사를 자세히 보면, 놀라울 정도로 세세하고, 기자들의 통찰력까지 가미된 내용이 자주 눈에 보인다. 얼마 투자를 받았는지, 밸류에이션이 주로 비공개인데 과거 펀딩 이력이나 비슷한 회사의 현황을 기반으로 산정한 추정 밸류에이션, 그리고 이 외 회사와 창업가에 대한 자세한 내용까지 다 들어간다. 그냥 단순히 “이런 회사가 있는데, 최근에 누구한테 얼마 투자를 받았다” 수준의 1차원적인 기사가 아닌, 굉장히 포괄적인 다차원적인 기사를 자주 읽을 수 있다.

그래서, 우리 투자사에서 투자유치 자료를 배포한다고 하면, 나는 다음의 가이드라인을 주로 주고 있다:
1/ 이왕 자료를 만들 거면, 아주 길게, 아주 자세히, 그리고 자랑질을 아주 많이 해라.
2/ 흐지부지하게 대충 보도자료를 작성할 거면, 아예 만들지 않는 게 더 좋다.
3/ 단순히 누구한테 투자받았다가 아닌, 어떤 VC가 이번 라운드를 리드했고, 새로 참여한 VC는 누구이며, 기존 VC 중 재참여는 누가 했는지 자세히 설명.
4/ 회사는 어떤 회사이고, 제품은 어떤 제품인지, 아주 자세히 설명.
5/ 지금까지 달성한 핵심 지표도 공개.
6/ 창업팀은 어떤 팀인지, 창업가들은 어떤 백그라운드가 있고, 수많은 서비스 중 왜 이 서비스를 시작했는지 설명.
7/ 경쟁사가 있다면, 경쟁사에 대한 설명도 포함.
8/ 해외에서 유사 서비스를 잘 하는 회사가 있다면, 이 회사에 대한 설명도 포함.
9/ 리드 투자자의 의견과 멘트. “너무 좋은 회사고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와 같은 의미 없는 멘트 말고, 진지하고 제대로 된 멘트는 필수(실은 투자자의 멘트 또한 회사에서 작성하는데, 나는 이런 접근은 반대다. 이 부분은 투자자가 직접 작성을 하는 게 더 좋다고 생각한다).

실은 이렇게 정성스럽게 쓴 초안을 기자가 다시 수정하고, 직접 서비스를 사용해보고 느낀 좋은 점과 불편한 점도 설명하고, 필요하면 본인이 회사와 다시 인터뷰하고, 여기에 기자의 통찰력도 더해지면 정말 파워풀 한 기사가 완성되긴 하는데, 아직 한국은 이렇게 하는 미디어가 거의 없을뿐더러, 이 정도의 인사이트를 가진 기자도 내가 보기엔 없다. 그래서 회사에서 초안을 작성할 때 신경 써서 아주 잘 작성하는 걸 나는 항상 강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