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 2.5라는 단어에 대한 생각을 요새 많이 하고 있는데, 막상 검색해보니 이 개념이 이미 존재하고 있고, 많은 사람이 관련해서 생각을 공유하고 있었다.

요새 Web3에 대해 다양한 글도 읽고, 사람도 가끔 만나서 공부하고 있는데, 매일 새로운 개념과 기술이 나오고 있어서 스스로 독자적인 생각을 하기보단, 따라잡기 하는 데만 급급하다. 그래서 이 분야에 대해 잘 알고 있는 우리 투자사 대표님에게 시간을 좀 할애해달라고 부탁했고, 얼마 전에 한 2시간 반 정도 Web3에 관해서 공부하는 시간을 가졌다. 실은 이 미팅 이후에 머리가 더 복잡해지긴 했지만, 기억에 남았던 건 “Web 1.0은 read, Web 2.0은 read and write, 그리고 Web 3.0은 read, write and own”이라는 정의였다. 매우 깔끔하고 직관적인 설명이라서, 나도 이 정의를 요새 자주 인용하고 있다.

그런데 아무리 생각해도 Web3가 지향하는 진정한 오너십은 너무 이상주의적이라서 현실에 적용하는 게 어렵다는 생각이 들고, 오히려 나는 Web 2.5라는 Web 2.0과 Web 3.0 중간 어딘가에 걸쳐 있는 형태가 일단 가장 실용적이고 현실적인 구조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한다.

이런 형태가 그나마 가장 잘 돌아가는 조직이 민주주의 국가라고 나는 생각한다.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모든 국민들에게 투표권이 주어진다. 개개인의 신분, 경제적 능력, 직업 등에 따라서 차등적으로 투표권이 주어지는 게 아니라 그냥 모두가 동일한 의사결정권이 있는데, 오너십이 차등적으로 주어지는 Web3 개념과는 약간 다르다. 어쨌든, 이렇게 모든 국민들에게 결정권이 있긴 하지만, 그렇다고 국가는 완벽히 탈중앙화된 조직은 아니다. 결국 사회의 구성원이자 오너인 국민들 위에 군림하는 중앙화 된 정부가 있기 때문에, decentralized는 아니라 centralized 된 형태의 조직이다. 물론, 국민이 뽑는 리더인 대통령과 참모, 그리고 정치인들이 믿을만한 중앙 정부를 만들고 있냐에 대해선 물어보는 사람마다 다른 대답을 얻을 것이지만, 만약에 모든 국민이 믿는, 국가를 위해 항상 최선의 결정을 하는 중앙화된 리더십이라는 게 존재한다면, 이런 반중앙화 된 Web 2.5 형태가 가장 바람직한 형태의 Web이 아닐까 싶다.

물론, 민주주의 국가는 문제가 많다. 어쩌면 이런 국가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블록체인과 비트코인이 발명됐을 텐데, 그렇다고 Web3로 바로 이동하기엔 아직 해결해야 할 점들이 너무 많다는 생각을 매일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