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코빗에서 비트코인 ETF까지

1월 10일 미국 SEC가 비트코인 ETF를 승인했다. 우리가 한국 최초의 비트코인 거래소 코빗에 첫 투자를 했던 게 2013년 8월인데, 내 기억으론 이 시점에 미국에서 윙클보스 형제가 최초로 비트코인 ETF를 신청했다. 이후 계속 거절, 반려, 그리고 보류를 계속 당하다가 거의 10년 만에 승인받은 건데, 솔직히 나는 이번에도 거절당할 줄 알았다. 그래서인지, 여러 ETF가 승인받았다는 소식을 접했을 땐 약간 비현실적인 느낌까지 들었다.

우린 2013년도에 코빗에 투자했고, 코빗이 넥슨의 지주회사 NXC에 인수되면서 좋은 훈장(=엑싯)을 얻었기 때문에 코빗과 코빗의 창업팀에 매우 고마운 감정을 평생 갖고 살 것이다. 하지만, 이 엑싯 외에도 코빗에 항상 고마운 생각을 하고 있는데, 그건 바로 완전히 새로운 세상으로 우릴 인도했다는 점이다. 2013년이면 한국에서 비트코인 자체가 거의 안 알려졌을 때이고, 일반인은커녕, 투자자들도 암호화폐나 비트코인이 뭔지 전혀 모를 적이다. 우린 코빗 덕분에 이 흥미롭고 새로운 기술을 알게 됐고, 이후에 비트코인이 암호화폐, ICO, NFT, DAO, Web3로 진화하는 걸 아주 가까이 관찰할 수 있었다. 이 중 많은 것들이 거품같이 꺼졌고, 우리도 이 거품에 투자하기도 했지만, 개인적으론 모든 게 배움의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인지 비트코인 ETF가 승인됐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 감회가 남달랐고, 코빗에 처음 투자할 땐 상상도 못 했던 시장이 10년 만에 왔다는 생각까지 했다. 이젠 나보다 이 시장에 대해서 훨씬 많이 알고, 훨씬 더 투자를 많이 하는 분들이 한국에도 상당히 많기 때문에 비트코인 ETF에 대해서 여러 말은 하지 않겠지만, 어쨌든 그동안 비트코인에 직접 투자하길 꺼렸던 많은 기관 투자자들의 암호화폐에 대한 접근이 대폭 확대될 것이고, 비트코인을 비롯한 암호화폐 전반에 대한 제도화가 진행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벌써부터 이더리움 ETF에 대한 이야기까지 나오고 있긴 하지만, 이건 또 다른 이야기이다.

ETF가 승인된 지 이제 한 달이 넘어 가는데, 왜 비트코인 가격이 1억 원으로 상승하지 않는지 불만인 사람들이 내 주변에 상당히 많다. 오히려 승인받은 후에 가격이 떨어진 것 같은데, 나는 오히려 이게 좋다. 이제 암호화폐가 서서히 제도권 안으로 들어오기 시작했는데, 비트코인 가격이 미친 듯이 요동치면 또다시 여론의 공격 받을 것이고, 법과 정책은 여론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에 이후에 생길 수 있는 다른 암호화폐 ETF와 같은 금융 상품 승인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기 때문에 오히려 비트코인 가격에 큰 변화가 없는 게 다행인 것 같다. 물론, 장기적으론 더 올라갈 것으로 생각하는데, 과거와 같이 수직상승 하거나 수직하강 하지 않길 바란다.

많은 분들이 비트코인 ETF 승인에 10년이라는 세월이 필요했다는 걸 매우 오래 걸렸다고 하는데, 나는 그렇지 않다고 생각한다. 오히려 매우 빨리 승인됐다고 생각한다. 참고로, AI가 처음 시장에 등장한 게 거의 30년 전이다. 최근에 Gen AI와 ChatGPT의 등장으로 AI가 메인스트림 시장으로 진입했는데, 실은 이게 하룻밤에 일어난 건 아니고 30년이라는 긴 시간이 걸렸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비트코인 ETF가 승인받는 데 10년 걸린 건 어쩌면 굉장히 빨리 진행된 거라고 볼 수 있다.

앞으로 또 어떤 일들이 일어날지 기대된다. 엔비디아의 젠슨 황이 했던 이 말이 요새 계속 생각난다.
“If the last 20 years was amazing, the next 20 will seem nothing short of science fiction.”

Vamos Strong!

디지털 금

약 2주 전에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자산 관리 회사인 BlackRock의 대표이사 Larry Fink가 폭스비즈니스와의 인터뷰에서 비트코인 관련된 이야기를 했다. 이분이 누구냐 하면, 2017년도에 비트코인의 용도는 돈세탁밖에 없다고 공개적으로 맹렬하게 비판했던 분이고, 워낙 금융업계에서 중요한 거물이기 때문에 이 발언을 한 이후에 비트코인 가격이 떨어졌던 걸로 알고 있다. 하지만, 이번에 핑크 대표의 비트코인에 대한 생각과 태도는 180도 달랐다.

그는 비트코인은 특정 지역, 국가, 또는 통화에 대한 의존도가 없기 때문에 리스크를 분산하기 위한 금보다도 더 훌륭한 디지털 금 역할을 할 수 있다고 하면서, 블록체인에 대해선 구체적으로 이야기하진 않았지만 잘 활용하면 전통 금융을 완전히 혁신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물론, 이분의 생각과 의견이 하루 아침만에 갑자기 바뀐 건 아니다. 여러 가지 기사에 의하면 작년부터 블랙록의 고객들이 디지털 자산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최근에 ETF 상품마저 신청한 걸 보면 최근 몇 년 동안 비트코인과 디지털 자산을 계속 공부하고 연구한 거로 이해하고 있다.

비트코인이 앞으로 대단한 자산이 될 거라는 말은 너무나 많은 사람들이 하고 있고 트위터에서 비슷한 말을 하는 사람이 수백만 명 있다. 모두 다 비슷한 이유를 말하고, 비슷한 논리를 전개하지만, 비트코인이 디지털 금이라는 말을 블랙록의 대표가 공개적으로 TV에서 했다는 건 그 무게 자체가 다르다고 생각한다. 아마도 블랙록이라면 일반인들이 모르는 정보에 대한 접근성이 있을 것 같고, 특히나 디지털 자산에 대한 SEC의 부정적인 입장을 알면서도 ETF 상품을 신청한 걸 보면 분명히 뭔가 내가 모르는 게 있지 않겠냐는 의심을 해보게 된다.

최근에 이 시장이 또 재미있어지고 있다. 블랙록이 ETF를 신청했을 때 뭔가 재미있는 일들이 벌어질 거로 생각했는데, 이후에 많은 회사들이 줄줄이 ETF 상품을 신청하면서 SEC에 계속 압박을 가하고 있다. 또한, 얼마 전에 리플이 SEC를 대상으로 어느 정도의 승리를 한 것도 나는 개인적으로 예상치 못 했었는데, 완전히 승소한 건 아니지만 이로 인해 SEC와 전쟁 중인 코인베이스와 같은 많은 회사들에 다시 싸울 의지와 무기를 제공해 주는 중요한 계기가 됐다.

아직 모든 게 미지수이고, 계속 두고 볼 일이지만,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의 수장이 TV에서 공개적으로 비트코인이 디지털 금이라고 하는 걸 보니, 다시 한번 마하트마 간디의 이 말이 생각난다:

“First they ignore you, then they laugh at you, then they fight you, then you win(처음엔 사람들이 당신을 무시할 것이고, 그다음엔 당신을 비웃을 것이고, 다음엔 당신과 싸울 것이고, 그러고 나서 당신은 이길 것이다)”

비트코인 백서를 다시 읽다

2008년도 3월에 월가의 5대 투자 은행이었던 Bear Stearns가 파산했다. 아무도 예측하지 못했던 일은 아니었지만, “우량은행”이라고 불리던 은행이 망한 건 엄청난 충격이었다. 그리고 6개월 후에 Lehman Brothers 또한 파산했다. 리만이 불안불안하다는 이야기가 시장에 돌긴 했지만, 설마 망할 줄은 대부분 예측 못 했고, 그 충격은 글로벌 경제 시스템의 붕괴로 이어지면서 상당히 오래갔다. 그때의 기억을 더듬어보면, 이런 대형 은행들이 절대로 파산할 수 없다고 주장했던 믿음은 “Too Big to Fail”이라는 말 때문이기도 했다. 워낙 커서 망할 수가 없다는 의미인데, 이 말은 보기 좋게 틀렸다. 아무리 규모가 크고, 아무리 우량이라고 평가받아도, 그 어떤 은행도 망할 수 있다는 냉혹한 현실을 전 세계가 직접 경험했던 시간이었다.

2023년도 3월에 미국에서 16번째로 큰 은행인 Silicon Valley Bank가 망했다. 우리도 이 은행과 거래를 많이 했는데, 솔직히 나는 전혀 예측하지 못했던 충격적인 일이었다. 바로 이 전에 암호화폐 관련 법인들이 많이 사용하던 Silvergate Bank가 망했고, 곧 뉴욕의 Signature Bank 또한 문을 닫았다. 그리고 얼마 후에 전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투자은행 중 하나였던 Credit Suisse가 어려워지면서 같은 스위스의 은행 UBS에 인수됐다. 내 개인적인 우려는, 이게 단지 시작이며, 앞으로 세계 경기는 더 어려워질 수도 있을 것 같다는 것이다. 더 많은 ‘우량’ 은행들이 문을 닫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하지만, 이들을 모두 구제하는 건 쉽지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이젠 많은 은행들이 “Too Big to Save”이기 때문이다. 너무 커서 망하면 구제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할 것 같다.

이런 혼돈 속에서, 비트코인이 재조명되고 있다. 실은 나도 얼마 전에 사토시 나카모토가 쓴 비트코인 백서 Bitcoin: A Peer-to-Peer Electronic Cash System를 다시 읽어봤다. 여전히 100% 모두 다 이해하진 못하지만, 나 또한 경험과 연륜이 생기면서 이 백서를 다르게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긴 것 같다. 중앙화된 은행들의 파산, 그리고 이들에 대한 불신 속에서 생긴 비트코인 기술의 진가가 발휘되는 때가 바로 지금과 같은 순간이 아닐까 생각한다.

“내 돈은 은행에 있기 때문에 안전하다.”라는 말을 우린 과연 앞으로 계속할 수 있을까? 은행같이 중앙화된 조직에 전 재산을 맡기는 게 정말로 최선일까? 지금 일어나고 있는 일련의 사태를 보면 가장 멍청한 행동이 아닐까?

중앙화된 은행은 더 이상 믿지 못하고, 가장 안전하다고 알려진 스위스 은행도 이젠 못 믿는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스스로 은행이 되고 싶어 하고, 여기에 비트코인의 개념이 딱 맞는다고 생각한다. 그렇다고 내가 전 재산을 비트코인으로 가진 건 절대 아니다. 나도 은행에 돈을 보관하고 있다. 하지만, 이젠 서서히 다른 시각으로 이 모든 걸 봐야 하지 않겠냐는 생각을 요새 정말 많이 한다. 그리고 이런 생각을 하면서 비트코인 백서를 읽을 때마다, 너무나 기가 막히게 미래를 예측하고 적절하게 잘 만든 기술과 개념이라는 감탄을 한다.

비트코인의 죽음

비트코인은 이제 정말로 죽었다는 이야기를 주변에서 다시 많이 듣기 시작했다. 실은 과거에도 비트코인은 죽었고, 다시는 예전같이 가격이 오르지 않을 것이라는 이야기를 여러 번 들었다. 다 세어보진 않았지만, 이 말이 모두 다 사실이었다면 비트코인은 최소 5번은 죽었을 것이다. 나도 전에는 이런 말을 들을 때마다 정말로 이번엔 비트코인이 끝났다는 의심을 한 적도 있는데, 이젠 그렇게 신경 쓰진 않는다.

최근에 이 말이 다시 나온 이유를 자세히 보면, 정말로 이번엔 비트코인뿐만 아니라 모든 디지털자산에 큰 위기가 온 것 같고, 비트코인 사망설이 안 나오면 이상할 정도로 시장은 바닥을 향해서 가고 있다. 권도형 씨의 테라-루나 참사를 시작으로 암호화폐 대출 서비스인 Celsius Network가 파산했고, 이후에 암호화폐 헤지펀드 3 Arrows Capital도 파산했다. 모두 다 깊게 연관된 사업이라서 줄줄이 파산했는데, 그 정확한 원인은 아직도 파악 중이지만, 그냥 사업을 잘 못해서 파산한 것 이상의 이유가 있는 것 같다. 결정적인 파산 원인은 투명성의 부재, 창의적인 회계(=회계 부정), 그리고 경영진의 탐욕이다. 작은 거짓말이 큰 거짓말이 되고, 작은 실수가 큰 사기가 된, 전형적인 폰지 스킴의 냄새가 나는 사기성이 짙은 경영진의 부도덕성이 가장 큰 문제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 사태를 수습하기도 전에 세계 3대 거래소인 FTX가 파산했는데, 이건 타격이 큰 사고다. FTX의 대표 SBF(Sam Bankman-Fried)가 이 분야에서 워낙 영향력이 있었고, 재계와 정계의 네트워크를 이용해서 제2의 JP Morgan이 되려는 꿈을 하나씩 실행하는 걸 보면 정말로 그렇게 될 수 있을 것 같다고 나를 비롯한 많은 분들이 믿고 있었기 때문이다. 아직 이 사건도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고 있는데, 불투명하게 얽히고 설킨 관계를 하나씩 풀어야하기 때문에 시간이 꽤 많이 걸릴 것 같다. 다만, SBF는 언론에 비쳤던 그런 인류의 구세주가 아니라 세기의 사기꾼으로 점점 더 몰리고 있고, 정황을 대략 보면 그의 FTX 왕국에서는 일어나선 안 될 말도 안 되는 부정, 부패와 사기가 판을 쳤던 것 같다.

그리고 이 여파는 계속 커질 것이다. 이미 암호화폐 대출 서비스의 큰 손 Genesis가 파산할 것이라는 소문이 돌고 있고, 더 끔찍한 건 Genesis를 소유하고 있는 DCG(Digital Currency Group) 또한 위험하다는 소문이다. DCG가 만약에 망하면, 암호화폐 시장은 겨울에서 빙하기로 바뀔 것이고, 다시 봄이 오기까진 시간이 상당히 많이 걸릴 것이라고 생각한다.

여기까지 이 글을 읽어보면, 이제 정말로 비트코인은 끝났고 곧 죽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지만, 내 생각은 실은 그 반대이다. 위에서 나열한 사건, 사고들은 암호화폐의 문제라기보단, 특정 회사와 그 회사를 운영하는 경영진들의 문제라고 하는 게 정확할 것 같다. 중앙화/탈중앙화된 새로운 형태의 금융 비즈니스 모델의 실패이자, 비즈니스 투명성의 실패이고, 극단적으로 말하면 금융 사기의 문제이다. 최근에 워낙 큰 사고들이 많이 터져서, 이렇게 비트코인과 이런 사고들을 분리해서 보는 게 쉽진 않지만, 명확하게 분리해서 볼 수 있는 냉정함과 인내심이 필요하다. 맞는 비유인지 모르겠지만, 누가 음주운전으로 사고를 내면 음주하고 운전한 드라이버를 탓해야지, 자동차 자체를 탓하면서 자동차는 이제 없어져야 한다고 주장하진 않는다.

물론, 누군가 나에게 “그건 이해가 가는데, 왜 맨날 암호화폐 쪽에서만 이런 대형 사고가 터지나요? 과거에도 비슷한 일이 발생했는데, 왜 이 바닥에서만 이런 말도 안 되는 사기가 반복되나요?”라고 물어보면, 나도 할 말은 없다.

암호화폐 정책자들

얼마 전에 미국정부윤리국(US Office of Government Ethics)에서 발표한 법적 권고 통지(legal advice notice)에 의하면, 개인적으로 암호화폐를 소유하는 정책자들은 앞으로 암호화폐 관련 정책과 규제를 만드는 과정에 참여할 수 없다고 했다. 이 내용은 백악관, 그리고 모든 연방 정부 직원에게 적용되는데, 암호화폐를 소유하고 있는 사람들이 자신들의 암호화폐 자산 가격에 왜곡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방향으로 정책과 규제를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문서에는 몇 가지 시나리오와 조금 더 자세한 내용이 있는데, 관심 있는 분들은 직접 여기서 읽어보면 된다(별로 길지 않다). 암호화폐 관련 정책에 전혀 영향을 못 미치는, 법을 만드는 부서의 말단 직원이 0.00005 btc(=약 $100)라도 갖고 있으면, 비트코인을 다 팔거나, 다른 부서로 옮기거나, 또는 퇴사해야 한다는 뜻이다. 다만, 뮤추얼 펀드에는 어느 정도까지 투자해도 되는데, 암호화폐나 블록체인 관련 기술이나 회사에 광범위하게 투자하는 뮤추얼 펀드에는 최대 5만 달러까지 자산을 보유할 수 있다고 이 통지 사항에는 명시되어 있다.

암호화폐와 디지털 자산은 너무나 새로운 분야라서, 관련 법을 만드는 게 쉽지 않다. 미래를 예측해야 하기도 어렵지만, 그 미래가 과거에 만들어 놓은 법과 규제와 너무나 극단적으로 대립하면서 충돌하기 때문이다. 그래도 나는 개인적으로 전 세계 그 어떤 나라보다 미국이 이 분야에 관해서는 나름대로 고민도 많이 하고, 상당히 융통성 있게 정책과 법안을 만들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이번에 발표된 이 통지사항은 아쉬움이 많이 남는다.

암호화폐 관련 법을 만드는 사람은 중립적인 입장이어야 하므로 개인적으로 암호화폐와 디지털 자산이 없어야 한다는 건 이해가 가지만, 또한, 워낙 새로운 분야이기 때문에 이 새로운 기술과 시장에 관해서 공부하고 배우기 위해선 암호화폐를 구매해서 다양한 실험을 해봐야 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법과 규제가 개인의 자산에 큰 영향을 미칠 정도 규모의 암호화폐 보유는 막아야 하겠지만, 그렇다고 이걸 원천적으로 금지하는 건 아닌 것 같다. 지갑을 만들어 보지 않고, 비트코인을 한 번도 구매해보지 않은 사람들이 제대로 된 비트코인 관련 정책을 만들 수 있을진 상당히 의문스럽다. 이런 사람들이 만드는 법은 아마도 현실과 매우 동떨어졌을 것이고, 이렇게 하면서 미국은 블록체인과 암호화폐 분야에서 도태될 게 분명하다.

정부의 입장에서는 어려운 숙제이지만, 이런 통지를 하기 전에 정말 많이 고민해야 하고, 공부를 많이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우리나라의 법들도 가끔 보면, 현실을 전혀 반영하지 못한 내용들이 너무나 많다. 이 중에서는 아주 오래전에 만들어졌기 때문에 급변하는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지만, 규제하려고 하는 분야에 대한 지식이 아예 없기 때문에 이상한 법이 만들어진 경우도 너무 많다. 공무원들이 본인들이 규제하려는 대상이 뭔지도 모르는 상태에서 그걸 규제하기 위한 법을 만드는 게 말이 안 되지만, 한국이나 미국에서 이런 일들이 벌어지고 있다는 게 가끔은 어이가 없다.

정책자들은 정책을 만들기 전에, 본인들이 만드는 정책이 뭘 규제해야 하는지, 뭘 허용해야 하는지, 그리고 단기적이 아니라 장기적인 영향에 대해서 잘 고민해보길 바란다. 그리고 이 고민의 시작은, 규제하려고 하는 대상에 대한 완전한 이해에서 출발해야 한다. 정책자들이 정책을 만들기도 하지만, 본인들이 소비자도 되어야 한다. 즉, 직접 본인들이 사용해보고, 질문해보고, 전문가들과 이야기해보고, 그리고 정책을 만들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