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도 많이 회자되는 용어라서 공유경제가 정확히 뭔지 시간을 들여서 생각해본 사람이 몇 안될거 같다. 요새 내가 우버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했는데 오늘도 조금 하려고 한다. 아니, 오늘은 공유경제에 대한 내용이다. 공유경제(sharing economy)는 뭔가를 – 운전, 청소, 배달 등 – 필요로 하는 사람들과 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사람들을 기술을(주로 앱) 이용해 연결해 주면서 소비자들이 재화나 서비스를 구매하는 방식을 완전히 바꾸면서 disrupt 하고있다.
난 우버라는 회사의 미래에 대해서는 굉장히 긍정적이다. 솔직히 우버가 더 커지지 못할 이유는 전혀 없는거 같다. 하지만 우버가 대표하는 공유경제가 과연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람들에게 먹고살만한 수입을 제공할 수 있을까? 이들에게 안정적인 고용을 제공할 수 있을까? 내가 만난 대부분의 우버 기사분들은 다른 일을 하지 않고 우버만을 통해서 먹고 살 정도의 돈을 벌지만 그렇지 못 하는 기사들도 많이 있다.
아직은 걸음마 단계이지만 공유경제에 종사하는 인력을 크게 4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는 통상적인 근무시간인 월-금, 9시에서 5시까지 일을 하지 못하는 주부, 은퇴한 사람, 학생 또는 장애가 있는 사람이다. 공유경제의 특징인 시간의 유연성과 자율성은 이런 사람들에게도 일 할 수 있는 권리를 제공한다. 두번째는 노력하지만 취업을 못하는 사람들이다. 공유경제가 실업을 완전히 해결해 줄 수는 없지만 정규취업을 시도하는 동안 먹고살기 위한 수입 또는 용돈을 조금이나마 제공해 줄 수 있다. 세번째는 공유경제에 full-time 으로 종사하는 사람들이다. 모든 사람들은 아니지만 공유경제를 통해서 꽤 짭짤한 수입을 버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
그런데 아마도 가장 재미있는 부류는 – 그리고 공유경제가 탄생시킨 새로운 직업군이다 – 직장을 다니면서 사이드로 공유경제를 통해서 부수입을 버는 사람들이다. 낮에는 일반 회사에서 일하지만 Airbnb를 통해 남는 방 하나를 단기 임대하고, 여기서 버는 수입을 가지고 Etsy.com에서 작은 직물공예 비즈니스를 시작한 여성분이 있다. 원래는 은행대출을 받아서 비즈니스를 해보려고 했지만, 신용등급 때문에 거절당했고 에어비앤비만이 유일한 방법이었다. 에어비앤비에서 자체적으로 조사한 결과에 의하면 1 만명 이상이 매출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 창업초기의 어려운 시기를 에어비앤비 임대로 발생하는 수입으로 버텼다고 한다. 물론 이렇게 창업한 사람들이 앞으로 어떤 경제적 효과를 발생시킬지는 아직 두고봐야 한다.
공유경제에 대해 찬성하는 사람들의 전반적인 의견은 공유경제를 단순히 full-time 채용과 비교할게 아니라 본인이 잘 할 수 있는 일을, 본인이 원하는 시간에, 본인이 원하는 장소에서, 본인이 하고 싶은만큼만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새로운 직업 카테고리로 생각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말은 상당히 공감이 간다.
하지만 반대의견도 만만치 않다. 반대하는 사람들의 대표적인 입장은 바로 공유경제는 고용창출을 하는게 아니라 공유경제 플랫폼을 운영하는 회사와 이 플랫폼에서 뭔가를 팔고 있는 제공자들간에 엄청나게 큰 불평등을 만든다는 것이다. 완전히 틀린 말은 아니다. 실제로 우버만 보더라도 가장 많은 돈을 벌고 있는 건 플랫폼을 제공하는 우버이고, 기사들은 우버가 버는 돈에 비하면 재미를 많이 못 본다. 우버의 40조원, 그리고 에어비앤비의 20조원 밸류에이션은 결국 전통적인 관점에서의 직업이 제공하는 경제적 ‘권리’를 누리지 못하는 자율 계약직들의 피와 땀으로 만들어진 기업가치라는 욕을 먹을만하다.
그럼 공유경제의 유일한 승자는 우버나 에어비앤비같은 플랫폼일까? 아니면 전통적인 직장이 제공하는 의료보험이나 연차는 없지만 본인이 좋아하는 일을 원하는 시간에 할 수 있는 플랫폼 종사자들도 승자가 될 수 있을까?
다른 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이미지 출처 = http://www.theguardian.com/technology/appsblog/2013/aug/05/sharing-economy-uber-lyft-peers>
공유경제의 승자는? - beSUCCESS
[…] 출처 : THE STARTUP BIBLE 이미지 출처 : The […]
승호
요즘 기홍님이 쓰시는 공유경제 관련 포스팅이 정말 큰 도움이 많이 됩니다. 우버에 대한 단상도 그렇고 얼마전에 올리신 우버에 대한 이야기도 그렇고 공유경제 서비스를 준비하는 입장으로써 새로운 시각을 열어주셔서 감사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얼마전에 쓰신 포스팅에서 우버 기사가 어플을 켜놓으면 시간당 18달러의 금액을 받는다는 내용이 있는데 이것은 한국에서도 실행되었던 시책이었습니다. 아는 분이 직접 경험한 이야기었고, 한달에 약 30만원이 들어왔다고 말해주었습니다. 우버의 사용자 베네핏을 위한 노력은 어렴풋이 알고 있었으나 기홍님의 포스팅을 보고나서 다시 한 번 사용자에게 어떠한 이익을 줄 수 있을지에 대한 생각을 끊임없이 해야된다고 느꼈습니다.
그 포스팅에 댓글에선 매일 가는 거리를 돌아간 경우가 있었는데 그에 대한 손실금(?)도 우버에서 지급했다고 써 있는 것을 보고 운영에 대한 디테일이 살아있다고 생각했습니다.
다시금 좋은 포스팅 올려주셔서 감사드리고 앞으로 몇년안에 기홍님도 자연스럽게 알게 될 수 밖에 없는 서비스를 세상에 내 놓고 싶습니다 ^^ 오늘도 화이팅입니다.
Kihong Bae
그냥 끄적거리는 수준인데 이렇게 좋은 말씀 많이 해주셔서 정말 고맙습니다. 제가 쓴 글들이 도움이 되셨다니 더욱 더 감사드리구요^^
좋은 서비스 부탁드릴께요~ 저도 많이 기대하고 있겠습니다. Thanks!
장웅
플랫폼의 참여자들도 충분히 승자가 될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다만 집이나 차 뿐 아니라 사람의 욕구와 제공자를 매칭해줄 수 있는 다양한 플랫폼이 나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자신의 ‘시간’은 복제될 수 없는 가치를 갖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이 ‘시간’을 금전적인 가치로 교환할 수 있는 플랫폼이 있다는 사실은 많은 사람들에게 위로와 희망이 되어줄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우버나 에어비엔비의 실제 매출에 대해 그들이 갖게되는 수수료 비율은 과도한 것은 아니라 봅니다. (그들이 엄청난 투자를 받기 때문에 실매출과는 관계없이 거대한 회사로 보이게 하는 착시현상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자신이 제공할 수 있는 ‘시간’을 경제적인 소득으로 전환할 수 있고, 또 공유의 플랫폼을 통해 삶의 지출을 절약할 수 있게된다면 예전과는 달리 가계의 수입-지출 변동폭이 상당히 안정적이 될 것이라 봅니다. 물론 이 플랫폼에 자신의 삶을 걸치게 되면 그 선택 또한 자기의 책임이 된다는 것도 잊지 말아야 할 점이구요.
Kihong Bae
좋은 답변 고맙습니다. 직접 공유 서비스를 하고 계신 분이라서 그런지 굉장히 좋은 포인트들이 많네요^^ Tha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