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을 자주 타는 사람들이라면, 좌석마다 배치된 기내지 Morning Calm을 보거나, 읽어봤을 것이다. 이 잡지의 이름의 유래는 한국을 영어로 Land of Morning Calm이라고 설명해서인데, 이 설명은 ‘조선’을 영어로 풀어 해석한 것이다. 여기에다가 조금 더 해석을 붙여보자면, 한국은 경치가 좋고, 아름다운 산과 강이 많아서, 아침에 보면 이 풍경이 아주 고요하고 평화로워서 Morning Calm이라는 설명이 한국의 이미지와 잘 어울린다는 것이다. 지금까지는.
나는 이제 이 Morning Calm은 한국을 제대로 설명할 수 있는 좋은 명사가 아니라고 생각한다. 조용하다고 하기에 한국은 이제 너무 역동적이고 강렬한 나라가 되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2년 동안 우리는 상당히 많은 외국 투자자를 한국에서 만났고, 미국, 동남아, 일본, 유럽 등의 나라에서도 수많은 외국인과 이야기할 수 있었는데, 내가 전에 포스팅했듯이 한국이라는 나라의 이미지와 위상이 너무 좋아졌다는 걸 매번 느낄 수 있었다.
이들과 이야기해 보면, 대부분의 외국인들이 한국에 대해 갖고 있는 이미지는 가지각색이지만, 대화 중에 항상 한두 번 튀어나오는 단어가 있었는데, 그 단어가 바로 “intense”와 “intensity”였다. 외국인들이 본 한국은 아주 강렬한 나라인 것 같다.
일단 한국의 관문인 공항에 내려서 숙소로 오는 길에서 경험하는 한국의 교통체증은 정말 강렬하다. 그 교통체증의 한가운데에서 길에 있는 다른 차를 보는데, 좋은 차들 또한 너무 많다. 단위 면적 당 비싼 차들이 가장 많은 나라 중 하나가 한국일 것이다. 우리 외국 투자자 한 분이 서울에 삼일 있었는데, 평생 70년 동안 전 세계에서 봤던 벤츠 마이바흐 숫자보다 더 많은 마이바흐를 사흘 동안 서울에서 봤다면서 정말 강렬한(=뭔가 미친) 도시라고 했던 기억이 난다.
한국 음식에 대한 인상도 비슷하다. 김치나 찌개와 같은 음식은 양념이 세고 자극적이라서 강렬하고, 갈비나 불고기 같은 고기류는 맛 있어서 강렬하다. 특히 깨알 같은 반찬에 감탄하지 않는 사람들이 없다. 한국인들과 술을 한 번이라도 먹어본 외국인들은 한국의 술 문화를 완전 증오하거나, 완전히 사랑하게 된다. 다양한 술과 이 술을 먹는 다양한 방법, 여기에 매우 강렬한 인상은 받은 외국인들이 상당히 많다.
케이팝과 케이드라마를 자주 접하는 외국인들도 다양한 의견을 우리와 공유하는데, 한 단어로 이들의 느낌을 요약하면, 한국의 콘텐츠가 매우 강렬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오징어게임과 기생충을 봤던 평론가들의 평을 보면, 이들이 강렬하다는 표현을 자주 사용하는 걸 볼 수 있다.
한국 사람들과 일을 해 본 외국인들도 이 “intense”라는 말을 자주 사용하는데, 주로 좋은 의미로 사용된다고 나는 생각한다. 일단 전반적으로 한국인들은 정말 일을 잘하고, 일머리가 있고, 그리고 (아직까진) 대부분 정말 열심히 일한다는 피드백이 지배적이다. 일을 잘하는데, 일을 열심히 까지 하면, 이건 굉장히 강렬하게 일을 하는 것이다. 작년에 유럽에서 가는 곳마다 한국 사람들이 너무 늦게까지 일해서, 본인들이 페이스 맞춰서 같이 일하는 게 너무 힘들다는 불평 아닌 불평을 자주 들었는데, 역시 이분들도 한국인들은 정말 강렬하게 일한다고 했다. 뭐, 워낙 게으른 유럽 사람들이라서 한국이 너무 열심히 일한다고 했을 수도 있다.
추운 겨울에도 이렇게 많은 한국인들이 아이스 아메리카노를 시켜서 춥다면서 그 차가운 커피를 벌컥벌컥 먹는 게 매우 인상적이었다는 이야기도 최근에 들었다. 아주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는 이야기를 하면서. 그리고 성형수술을 하고 퉁퉁 부은 얼굴에 붕대를 칭칭 감고 시내를 아무렇지도 않게 돌아다니는 사람들도 매우 강렬했고, 그런 사람을 보고도 아무렇지도 않은 듯이 걸어 다니는 한국인들에 대한 인상도 참으로 강렬했다는 이야기도 들었다. 어쨌든 이런 한국의 강렬함에 대한 에피소드는 끊임없이 많다.
왜 한국의 모든 게 이렇게 강렬할까? 나에게 개인적으로 물어본다면, 이 모든 걸 만들고, 이 모든 걸 가능케 하는 한국인들 자체가 강렬한 민족이기 때문이다. 우린 뭘 하나 하면, 정말 끝을 보는 성격을 가진 사람들이고, 한 번 하려고 마음먹은 건 정말 잘 한다.(시작하고 끝을 못 보는 것들도 많긴 하지만).
나는 이런 한국의 강렬함은 계속 우리가 유지하고, 이어 나가야 하는 좋은 습관이자 특징이라고 생각한다. 이걸 나쁘게 이야기하면, 우린 너무 바쁘게 살고 있고, 앞뒤 가리지 않는 냄비근성이고, 스스로 자제하지 못하는 민족이라고 할 수도 있지만, 나는 오히려 이런 DNA를 우리가 계속 잘 다듬고, 좋은 쪽으로 계속 발전시켜야 한다고 생각한다.
Korea, the Land of Inten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