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BPUB/LGST 621 수업의 주제는 흔히 줄여서 IP라고 하는 “지적재산권: Intellectual Property” 이었다. 벌써 4번째 수업이지만, 항상 느끼는 점은 역시 법이란 너무 애매모호하다는 점이다. 그리고 법에다가 비즈니스라는걸 더하면, 법+비즈니스가 되는게 이건 더욱더 애매하고…모든 질문에 대한 답은 “It depends…”로 시작할만큼 경우에 따라서 다르며, 그때마다 모든게 다르다. 한국에서는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Blackberry 기기로 유명한 Research in Motion이라는 회사와 NTP, Inc.라는 회사의 2006년도 소송 사건은 지적재산권 문제가 얼마나 애매모호한지 보여주는 대표적인 케이스다. NTP라는 회사는 흔히 말하는 patent troll이라고 분류할 수 있는 회사다. 특허권을 소유만 하고 있고 실제 사용을 하지 않고 있는 회사이다. 즉, 본인들은 특허권만 가지고 있고 다른 회사들이 이 특허를 사용하여 제품을 상용화하려고 하면 꼬박꼬박 로얄티를 받거나, 특허권을 거액을 받고 파는 회사다. 악덕 patent troll 회사들은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는 사실을 교묘히 숨기고 있다가, 이 특허를 사용한 제품이나 회사가 유명해지면 특허권 침해로 바로 고소를 해버리는걸 업으로 하고 있다. 특허 침해로 항상 고소 당하는 대표적인 회사가 마이크로소프트이다. 워낙 다양한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으니, 이런 회사들의 집중 타겟이 되는게 당연하다.
무선 기기를 통해서 이메일을 주고 받을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특허권을 보유하고 있는 회사가 바로 이 NTP라는 회사였지만, RIM은 이 사실과는 전혀 무관하게 독자적으로 기술을 개발하고 Blackberry라는 기기를 보편화하여 엄청난 매출과 브랜드 인지도를 얻을 수 있었다. 아마도 NTP라는 회사가 존재하는지도 몰랐을테고, 이러한 기술에 대한 특허권에 대한 부분은 생각도 안하고 비즈니스를 시작하였을 것이다. 그런데 갑자기 생뚱맞게 NTP라는 회사가 어느날 Blackberry의 원천 기술을 본인들이 소유하고 있으니, 지금까지의 물질적/정신적 피해에 대한 보상을 RIM으로 청구하였다. 여기서 RIM이 그냥 몇십억 정도 NTP한테 주고 그냥 끝냈으면 될걸…이러한 고소를 받아들이지 못하고, 항소하고 다시 맞고소하고…하는 과정에서 소송금액은 눈덩이 같이 늘어났고 결국 RIM은 이 소송에서 졌다. 결국 2006년 RIM이 NTP에 얼마를 지급하였을까? 자그마치 한화 6,120억원!!!
정말 말도 안되는거다…어찌되었던간에 미국의 법은 이 부분을 인정하고 결국 직원 5명도 안되었던 유령회사와 같았던 NTP는 이 건 하나로 엄청난 fortune을 챙기게 되었다. 아마 그 이후 바로 회사 문 닫고 지금은 모두 다 어느 섬나라에서 편하게 은퇴하지 않았을까…뮤직쉐이크도 음악이라는 분야의 비즈니스를 하기 때문에 향 후 법적 소송에 휘말릴 가능성이 없지는 않을거 같다. 이런 부분을 처음부터 단디 챙겨야될거 같다…
Posts by Kihong Bae:
FNCE602 – Maceoeconomics
거시 경제…처음 이 말을 들었을때는 개념적으로만 이해를 했었는데, 정확히 거시경제와 미시경제의 차이점에 대해서 이해를 못했다. 오늘 수업에서 Zin 교수님이 이러한 궁금증을 간단하게 해결해 주었다. 보통 기업금융학에서 회사의 가치나 돈의 가치를 산정할때 Present Value와 Net Present Value를 항상 계산하게 되어있다. 일정 기간 동안의 cash flow가 주어지며, 이 현금 흐름을 discount할 수 있는 이자율이 주어지면 아주 간단하게 특정 기간에 돈의 가치를 backward discount 또는 forward discount할 수 있다. 항상 “이자율”은 주어지는데 이자율은 어떻게 정하는걸까? 바로 여기에 대한 답을 줄 수 있는 것이 거시경제이다. 끄덕끄덕~
둘째 수업시간은 GDP와 GNP의 정의 및 GDP (요새는 GNP보다는 GDP를 압도적으로 더 많이 사용한다)를 산정하는 여러가지 방법에 대해서 배웠는데, 역시나 정답은 없는거 같다. 모든 사회/경제 현상을 하나의 공식으로 설명할 수는 없으며, 많은 가정 (assumption)이 동반되어야 하는데 대부분의 가정들이 현실성이 많이 떨어지는거 같다. 수업이 거의 끝날 즈음, 내 눈길을 끈 하나의 슬라이드가 있었다. 중국/한국/미국의 경제 성장률을 그래프로 표시한 슬라이드인데 중간의 파란 선이 한국의 성장이다. 엄청난 성장이다…98/99년 IMF 타격 당시 성장이 뚝 떨어졌지만, 금새 다시 가파른 성장을 하고 있는걸 볼 수 있다. 규모의 면에서는 미국 (초록)에 뒤지지만, 동양의 볼품없는 작은 나라가 이룩한 성장은 정말 breathtaking 하다고 할 수 있다. Zin 교수도 한국 이야기를 자주 하는데, 90%가 아주 좋은 말들이다. 나머지 10%는 재벌 위주 경제의 취약점 등인데 그래도 한국은 앞으로 큰 문제없이 성장할 국가라는 말들 많이 한다.
Interview with Kihong Bae of Musicshake
몇 일전에 TrenchMice라고 하는 블로그의 Nicholas Katers라는 기자와 간단한 인터뷰를 하였다. 뮤직쉐이크에 대한 질문 및 뮤직쉐이크라는 벤처기업의 문화에 대한 질문이 대부분이었는데, 방금 live 된거를 보니 역시 기자답게 아주 stylish하게 글을 쓴거 같다.
I recently spoke with Kihong Bae, the general manager of the burgeoning startup Musicshake based out of Seoul. The company produces software that helps musical novices and computer users create music using tools that require no formal training. I found out that Musicshake is expanding this year into the United States from Korea in an effort to expose a larger market to the company’s products.
My interest in getting some inside information on Musicshake led me to ask about Kihong’s management style. The 20 full time professionals are given plenty of freedom on a daily basis to finish their part of each project. Kihong explained that the tight schedules and budgets make specialization important. Musicians, programmers and freelancers are given a set of expectations that need to be met in order to complete projects. The effusive manager said that each employee needs to act like they are running “their own company” in order to make Musicshake projects their own.
The only way that this startup has been able to grow is by hiring the right employees. Kihong Bae says that incoming workers need to share in the “culture” of Musicshake. The creative flow inherent in creating music production software makes an immediate connection between new employees and old hands at the company a necessity. Kihong described the urgency of hiring smart, principled employees by saying: “This is a fast changing industry, you can’t spend tons of time preparing and predicting the future. You should just do it, and make modifications as you go along. We are a very horizontal organization where we talk less and do more. The rest just falls in place when you lead by executing.”
I know that questions about management style can be answered to reflect kindly on a manager’s approach. I dug further into Musicshake’s origins by asking Kihong about influences from past ventures. The lessons he learned from past businesses showed that his original contention about an efficient workplace with a casual feel were heartfelt. Kihong spoke about the need to keep ventures “lean” and bring in enough cash to keep the business on sound footing for the near future. A combination of smart borrowing and revenue generation from opening day has made Musicshake a success.
My favorite question to ask a business owner is how they balance industry news with their own intuition. I asked Kihong Bae the industry sources used by Musicshake to get a read on the online music industry. Kihong responded with several publications from business schools including the Harvard Business Review that would make this manager seem conventional in his approach to business. His use of blogs like VentureBeat and TechCrunch gives him a nudge outside of the box.
The final line of questioning involved the sales pitch of Musicshake to skeptical investors and customers. Creation of software and widgets, after all, can be a difficult thing for the average consumer to wrap his head around. Kihong Bae responded by stating that the lack of language and geographical barriers to music along with the company’s proprietary program make Musicshake a company with unlimited potential. The success of this venture in the 2007 Crunchies and its place as a finalist in the TechCrunch40 seems to be the closing number for Kihong Bae in making his appeal to potential business partners.
I have a favorable projection for Musicshake in the future. The success of a startup trickles from the top down and Kihong Bae has a clear vision for the company’s future. It is difficult to project the success of electronic products but the employment of musicians lends credibility to the company’s software. The only roadblock I see for Musicshake comes with the saturated market for software development in the United States. If Kihong Bae can lead Musicshake through 2008 and 2009 successfully, watch out for this company as “Guitar Hero” fans get their hands on new software to make real music.
My classes in Q3
Q3는 상당히 짧다. 2008년 1월7일 부터 3월 첫째 주까지가 2학기의 Q3인데 이번 학기 동안 가장 중요한 이벤트가 DIP이라는 기간이다. DIP은 Dedicated Interview Period의 약자인데, 말 그대로 집중적으로 인터뷰를 하는 기간이다. 1학년들은 2008년 summer internship을 위한 인터뷰를 캠퍼스에서 진행하고, 2학년은 졸업 후 full-time job을 위한 인터뷰를 캠퍼스에서 한다. DIP은 100% 캠퍼스에서 진행된다. 즉, 회사 담당자 들이 직접 캠퍼스에 와서 학생들을 인터뷰 하고, 쓸만하다 싶으면 2차/3차 인터뷰를 다시 학교에서 또는 회사에서 한다. 물론, 이 기간 동안에는 수업이 없다. 그렇기 때문에 이미 job을 구한 학생들은 또 한번 놀 수 있는 좋은 기회이다 ㅎㅎ.
인터뷰는 그렇고..그래도 수업은 진행하니까, Q3에 내가 듣는 수업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을 해본다.
- FNCE602: Macroeconomics and Global Economic Environment – 거창하게 들리지만 경제학에서 말하는 거시경제학이다. 모든 학생들이 들어야하는 core 과목인데 내가 블로그를 통해서 몇 번 언급하였던 와튼의 간판 스타 Jeremy Siegel 교수가 가르치는 대표적인 과목이기도 하다. 하지만, 너무 많은 학생들이 Siegel 교수 과목을 신청한 관계로 bidding을 이길 수가 없었다. 와튼 교수가 아닌 CMU에서 방문 중인 Stanley Zin이라는 교수 과목을 신청하였는데 생각보다 괜찮은 분이다.
- ACCT622: Fundamentals of Managerial Accounting – 내가 제일 싫어하는 회계의 또다른 variation이다. 물론 1학기때 하였던 기초 회계학 보다는 약간 더 dynamic한 과목이라고는 하는데 왠지 이름만 봐서도 질린다. 기초 회계학이 기업 외부에 보여지는 재무제표와 관련된 과목이면, ACCT622는 internal planning을 위하여 회계 정보를 바탕으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방법을 배우는 과목이란다.
- LGST/BPUB621: The Governmental and Legal Environment of Business – 이 과목은 재미있을거 같다. 선배들로부터 들은 바에 의하면, 크게 공부할 필요는 없으며 내용은 재미있고 많은 interaction이 있는 과목이라고 한다. 비즈니스 전략과 관련된 법이나 정책적인 면에 대해서 배우는 과목인데 Kevin Werbach이라는 멋쟁이 교수님 (법학박사)이 가르쳐서 여자들한테 인기가 많은 과목이기도 하다.
- HCMG863: Management & Economics of Pharmaceutical & Biotechnology Industry Description – 수업 이름이 굉장히 거창하다. 보통 와튼에서 healthcare 전공을 하는 학생들이 주로 듣는 과목인데 나는 개인적인 관심 때문에 신청하게 되었다. 제약산업, 생명공학 및 의료기기 산업의 전반적인 economics, 그리고 현재 동향, 정책적인 문제점들 등에 대해서 다양한 면을 공부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거 같다. 이 수업, 매우 기대된다.
- BIOT700: Biotechnology Seminar – 역시 남들이 잘 듣지 않는 수업이다. Biotechnology 관련하여 수업시간 마다 다른 speaker를 초대하여 생명공학의 다양한 분야에 대한 세미나를 듣고 토론하는 수업인데 매주 수요일 저녁 5시부터 8시까지 장장 3시간 동안 진행되는 빡센 수업이다.
- MGMT891: Advanced Study Project, Topics in Microfinance – 난 이 수업에 많은 기대를 걸고 있다. 와튼의 소문난 괴짜 교수 Keith Weigelt의 지휘하에 진행되는 수업인데, 솔직히 수업이라기 보다는 혼자서 진행하는 연구 프로젝트라고 보면 된다. 소액의 돈을 빌려주는 microfinance와 관련된 세미나와 수업을 통하여 microfinance라는 분야에 대해서 기초 지식을 익힌 후, 스스로 이 분야와 관련된 프로젝트를 만들어서 한하기 동안 (Q3&Q4;) 보고서를 작성하는 수업인데 일종의 미니 논문을 만들면 된다.
- SPAN208: Business Spanish – 스페인어를 내가 하지만, 비즈니스를 위한 서반아어는 너무 약한거 같아서 이번 기회에 비즈니스 스패니쉬를 들어보기로 했다. 아마 대학원생 보다는 학부생 위주로 수업이 진행될거 같은데, 재미있을거 같다. 한국에 사는 동안은 서반아어를 쓸 기회가 없어서 그냥 잊고 살았지만, 미국 특히 서부에서 사려면 서반아어를 반드시 해야한다. (특히 맥도날드에서 french fry 하나라도 더 얻어 먹으려면 스페인어 하면 좋다 🙂
하여튼 이게 제 Q3 스케줄 입니다.
Back in school – 2학기 (Q3) 시작
오늘 다시 학교가 시작했다. 미국애들은 보통 방학 후 첫 주까지 자체 방학을 하는지, 학교에 학생들이 거의 없었다. 수업 들어가도 우리 cohort 동료들의 반도 없는거 같았는데 우리 learning team은 Courtney를 제외하고는 다 출석했다. 멀리 고향인 우간다까지 갔다온 David이 역시 가장 반가워하면서 악수를 했다. 우간다에 있는 여동생 (몇번째 동생인지는 아직도 잘 모르겠다. 아프리카라서 그런지 David은 형제가 엄청나게 많다)이 결혼을 해서 겸사겸사 집에 다녀왔는데 푹 쉬었는지 얼굴이 좋아보인다. Julia 역시 여동생 결혼식 때문에 학기 중에 항상 바빴었는데 방학동안 멋진 결혼식을 잘 치루었다고 했다. Sujit는 계속 필라델피에서 잠자고 먹었을테고, Brian은 집인 미네소타에서 와튼 스키 클럽에서 주최한 ski trip 참석, 그리고 친구 결혼식 때문에 Puerto Rico까지 다녀왔단다. 2주 정도 밖에 안된 짧은 방학이었지만 그래도 다시 보니 다덜 너무 반가웠다. Courtney는 크로스 컨트리 스키 여행을 간다고 하였는데, 아직 안 온건지 그냥 학교에 나오기 싫어서 집에 있는건지 잘 모르겠다.
그래도 다시 공부하는건 좀 피곤하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