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일하면서 가장 많이 하는 게 미팅, 대화, 토론이 아닐까 싶다. 조직에서 일하면, 리더이든 팀원이든, 아마도 가장 많이 하는 일이 미팅이고, 실은 혼자서 일하는 분이라도 고객이나 협력사와 미팅을 꽤 많이 할 것이다. 미팅하는 이유는 다양하지만, 주로 해결해야 하는 문제가 있고, 이 문제에 대한 솔루션을 집단지성으로 찾기 위해서이다.
그런데, 미팅을 실제로 진행하다 보면, 문제를 정의하는 방법도 개인마다 다르고, 그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도 개인마다 다르기 때문에, 생산적인 대화 보단, 날이 선 언쟁을 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대화가 이 방향으로 흐르다 보면, 같이 해결해야 하는 문제는 안중에도 없고 서로를 공격하면서 누가 더 옳고, 누가 더 틀렸는지를 따지는 싸움으로 번질 확률이 매우 크고, 나도 이런 상황을 상당히 많이 경험해봤다. 아마도 미팅을 많이 하는 분들은 내가 무슨 말을 하는지 정확하게 잘 알 것으로 생각한다.
우리의 미팅은 주로 창업가들과 하는 외부 미팅이 훨씬 더 많지만, 투자 결정을 하기 위해서는 일주일에 한 번 정식 내부 미팅을 하고, 비공식적인 대화나 토론을 상시 한다. 스트롱 팀원 모두 자라온 배경도 다르고, 생각하는 것도 다르고, 세상을 보는 관점도 다르기 때문에, 특정 사람/기술/시장/분야에 대해서는 각자의 생각이 다르고, 우린 이런 차이점을 리스펙트하면서 동시에 합의점을 찾기 위해서 노력한다. 하지만, 우리도 감정에 휘둘리는 사람이기 때문에 항상 생산적인 토론을 하진 않고, 가끔은 감정이 격해지면서 특정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는 생산적인 대화가 아닌 자존심의 싸움을 하기도 한다.
나는 스트롱을 시작하고 초반에 존이랑 이런 자존심 겨루기를 꽤 많이 해봤다. 둘이 극과 극의 성격의 소유자이고 – 참고로, 존은 ENFP이고 나는 ISTJ이다 – 세상을 보는 시각이 상당히 상이해서, 크고 작은 일들에 대한 각자의 생각이 너무 달랐고, 둘 다 나름 열린 마음으로 서로의 생각을 상대방에게 전달하고, 가능하면 이해시키고, 둘이 동의 할 수 있는 합의점을 찾기 위해서 노력을 많이 했다. 그런데도 우리의 생산적인 대화를 위한 노력은 두 초등학교 친구이자 비즈니스 파트너 간의 자존심 싸움으로 번지기도 했고, 감정싸움으로 끝나는 경우도 있었고, 우리 둘이서 해결해야 하는 문제와 싸워야 하는데, 결국엔 존과 내가 둘이 싸운 적이 셀 수 없을 정도로 많았다.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게 아니라, 왜 내가 너보다 똑똑하고 잘났고, 왜 내가 맞고 너는 틀렸는지를 설득하다 보니까, 서로 너무 피곤했고 생산성은 바닥을 치는 날들도 많았다.
그러다가 우리가 합의한 사항이 하나 있다. 내 기억으로는 존이 먼저 제안했는데, 바로 “let’s agree to disagree” 였다. 즉, 서로의 배경과 뇌의 구조와 세상을 보는 시각이 다르기 때문에 특정 사안들에 대해서 동의하지 않을 수 있다는 걸 서로 인정하자는 이야기다. 이 말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해석할 수 있지만, 나는 서로 생각이 달라서 동의하지 않아도 특정 문제에 대한 해결책은 같이 찾을 수 있다는 뜻으로 해석한다. 즉, 골치 아픈 문제가 있는데, 이 문제에 대한 팀원들의 생각이 달라도, 결국 우리 공공의 적은 이 문제이지 서로가 아니라는 말이다. 생각이 다른 팀원들이 열심히 토론해서 공공의 적인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것을 항상 명심하면, 언제나 매우 만족할만한 생산적인 미팅과 토론이 가능하다.
이런 상황을 꽤 유명한 작가이자 행동심리학자인 Liz Fosslien이 그린 게 있다. 나도 이분의 트위터에서 봤는데, 저작권 때문에 여기에 올리진 않겠다. 직접 가서 보시기 바란다. 나는 이 이미지를 휴대폰에 저장해놓고 좀 어려운 미팅 참석할 때마다 한 번씩 보고 대화에 임하는데 생각과 의견이 다른 사람들이 싸우지 않고, 또는 덜 싸우고, 원만한 해결책을 찾는 데 상당히 도움이 된다. 모두 다 싸우지 않는 싸움을 하는 좋은 하루가 되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