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에 제주도에서 하는 워크숍에 참석했는데, 행사 이튿날 ‘빼앗긴 문화재를 말하다’라는 특별 강연이 준비되어 있었다. 실은, 벤처와도 상관없고, 내 개인적인 관심사가 아니라서 큰 관심을 두지 않고 들었는데, 굉장히 재미있고 유익한 강연이었다. 내가 최근 몇 년 동안 처음부터 끝까지 경청해서 들은 몇 안 되는 강연이었다. 더 재미있는 건, 강사는 스님이었다. 혜문(慧門) 이라는 분인데, 현재 ‘문화재 제자리 찾기’의 대표로 해외로 반출된 한국 문화재 환수 운동에 앞장서고 있는 분이다.

나는 실은 우리나라 국보에 대해서도 잘 모르고, 문화재에 대해서는 별로 관심이 없는데, 이 분의 강연을 계기로 요샌 관심을 갖게 되었다. 아니, 엄밀히 말하면, 문화재에 대한 관심이 아니라, 해외로 반출된 한국 문화재의 반출 원인과 경로, 그리고 어떻게 하면 그런 문화재를 한국으로 다시 찾아올 수 있을까에 대한 관심이다. 서울로 돌아와 혜문스님의 책 ‘빼앗긴 문화재를 말하다’를 우리 투자사 국민도서관에서 빌려봤다. 이 책에는 내가 몰랐던 사실도 많았고 – 실은, 내가 워낙 이 분야에 대해서는 무지해서 – 한국의 국보급 문화재 중 현재 해외에 있는 것들이 상당히 많다는 사실도 알게 되었다. 실은, 국가도 못 하는 걸, 혜문 스님의 노력으로 환수한 해외 반출 문화재에 대한 뒷이야기들은 스타트업에서 일하는 분들한테도 시사하는 점이 많다고 생각한다. 특히, 동경대학이 소장하고 있던 ‘조선왕조실록 오대산 사고본’ 반환 운동과 보스턴 미술관이 소장한 고려 시대의 ‘라마탑형 사리구’ 반환 운동에 대한 내용은 흥미진진할 뿐만 아니라, 한국 정부의 무능함이 적나라하게 드러나서 답답하고 한심하기까지 했다. 마치, 벤처 하시는 분들이 정부한테 느끼는 그런 무능함 및 답답함과 비슷했다.

여기서 책 소개를 하려는 건 아니고, 나는 이 혜문 스님이 여러 가지 면에서 창업가와 비슷하다는 걸 느꼈다. 일단, 내가 전에 소개했던 히데아끼 아카이와씨와 같이, 혜문 스님은 남한테 의존하지 않고 본인이 직접 모든 걸 해결하려는 노력과 시도를 했다. 특히, 문화재청과 같은 정부 기관에 의지하다가, 역시나 되는 일이 없으니까, “원래 그런가 보다” 하고 포기하지 않고, 본인이 모든 걸 해결하려고 노력했다. 이 중 실패도 많았지만, 굵직한 성공사례도 몇 개 만들었다. 분야는 다르지만, 벤처정신으로 똘똘 뭉친 분이라는 걸 느낄 수 있었다.

이 분을 좋게 본 또 다른 이유는, 틀린 걸 바로잡으려고 노력하기 때문이다. 미국 친구들이 말하는 ‘right a wrong’ 에 대한 노력이다. 한 나라의 국보급 문화재들이 대부분 불법적인 이유로 인해 다른 나라로 반출된 건 뭔가 틀렸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그냥 아무도 지적하지 않고, 다른 나라에 아쉬운 소리 하기 싫고, 시도했다가 혹시나 거절당할까 봐 무서워서, 틀린 걸 그냥 놔두는 건 맞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전형적인 ‘좋은 게 좋은 거야’ 자세이다. 실은, 대부분의 사람은 이렇게 산다. 틀린 게 있어도, 그냥 불편을 감수하고, 참고 산다. 하지만, 창업가들은 다르다. 틀린 게 있으면, 이걸 고치려고 하고, 항상 성공하지는 않지만, 그런 시도 자체가 큰 의미가 있고, 이런 시도들이 모이면 긍정적인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고 생각한다.

구글캠퍼스가 있는 오토웨이타워 빌딩 지하 1층 옆문으로 나오면, 인도에 빨간 볼드체로 ‘금연’ , ‘NO SMOKING’이라고 큼직하게 쓰여 있다. 거기 서서 모든 직장인이 보란 듯이 담배를 피운다. 어떤 아저씨들은 ‘금연’ 글씨를 발로 밝고 담배를 피운다. 한때 나는 이 사람들한테 여기서 담배 피우지 말라고 항상 지적했는데, 최근에 포기했다. 실은, 현장에 있는 경찰한테 이 사실을 알렸는데 ‘뭐 그럴 수도 있죠’라는 민중의 지팡이의 안일한 태도를 경험한 후에 포기했다.

그런데, 이제 다시 이 지적질을 시작해야 할 때가 온 거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