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ack background and gold bars 3d illustration

이미지 출처 = ezps / 크라우드픽

이번 달에도 크립토 분야에서는 흥미로운 일들이 상당히 많았다. 3월 포스팅에서 NFT 이야기도 조금 하긴 했는데, 관련해서는 언제 한번 내 생각을 정리해서 공유할 계획이다.

일단, 비트코인 가격을 한 번 짚고 넘어가야할듯. 현재 가격은 약 55,000 달러로 전반적으로 조금 하락한 상태인데, 시장에서 나온 부정적인 소식과 소문의 영향이 많이 작용했다고 생각한다(참고로, 은성수 금융위원장의 발언은 최악이었다고 생각한다). 중국과 미국 같은 강대국, 그리고 터키 같은 곳에서 디지털 자산을 계속 압박할 거라는 소식에 비트코인 가격은 내려갔고, 실은 이건 우리가 과거에 봤던 패턴과 크게 다르지 않다. 4월에도 하루 만에 가격이 20%나 일시적으로 하락했다가 다시 반등하는 과정이 반복되긴 했는데, 2017년도 불장과 비교해보면, 하락 폭이 크긴 컸지만, 곧바로 어느 정도 다시 반등했다는 점과 주변 비트코인 보유자들이 별로 패닉하지 않는다는 점이 차이점이라고 생각한다. 실은 이 정도 폭으로 가격이 하락하면, FUD(=Fear, Uncertainty, Doubt)의 작용으로 손절매가 일어나고, 그러면 정말 순식간에 가격이 바닥을 칠 텐데, 그렇지 않았다는걸 보면, 시장이 조금은 더 성숙했고, 장기적으로 보유하기로 작정한 기관투자자들이 더 많아졌고, 이제 비트코인을 단기적으로 큰 돈을 벌 수 있는 자산이라기보단 금과 같이 오랫동안 보유할 수 있는 자산이라고 생각하는 투자자들이 더 많아진 것 같다.

나도 이런저런 기사를 읽다 보니, 시중 비트코인의 60% 이상이 1년 넘게 주인이 바뀌지 않았다고 한다. 쉽게 말하면, 한 번 사면, 다시 팔지 않고 계속 보유만 하고 있다는 의미인데, 이러면 유동성이 떨어지고, 유동성이 떨어지면 공급보다 수요가 많아져서 가격은 계속 오르거나, 떨어져도 많이 떨어지지 않는 현상이 일어난다. 이 분야에서는 잘 알려진 MicroStrategy와 테슬라를 비롯한 많은 기업이 비트코인을 자산으로 인정하고 있는데, 이런 기관투자자들이 더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비트코인 유동성은 더 떨어질 것이다. 한국도 분명히 비트코인을 대량 구매하고 있는 기업이나 기관투자자가 있을 것 같은데, 아직은 알려진 게 없어서 잘 모르겠다(어제 넥슨이 1억 달러로 비트코인 1,717개를 매입했다는 기사가 있었다).

개인적으로는, 나는 이젠 정말 비트코인이 디지털 골드가 되고 있다고 생각한다. 금이라고 하면 대부분이 가치를 저장하는 수단(=SOV: Store of Value)이라고만 생각하지만, 잘 생각해보면 금은 가치를 저장하는 수단뿐만 아니라 실제 화폐의 역할을 아주 오랫동안 했다. 미국이 1970년 초반에 금 태환 제도를 폐지했는데, 그만큼 금본위 제도가 먼 과거의 일이 아녔다. 이런걸 고려해보면 비트코인도 단지 가치를 저장하는 수단이 아니라, 화폐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고 나는 생각한다.

금이 가치가 있는 이유 중 하나는 희소성인데, 솔직히 지구 어딘가에 우리가 아직 못 찾은 금덩어리가 더 존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무시할 순 없고, 우주에 돌아다니는 운석에도 금이 존재한다고 과학자들은 주장한다. 지금은 아니지만, 로봇이나 드론을 이용해서 운석의 금을 채굴할 수만 있다면 금의 희소성의 가치는 떨어질 것이다. 하지만, 디지털 골드는 발행량이 정해져 있다. 2,100만 개 라는 발행량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희소성의 면에서는 비트코인이 금보단 훨씬 더 가치가 높다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골드가 아날로그 골드보다 더 의미가 있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역사상 그 어떤 산업도 아날로그에서 디지털화 됐을 때, 시장 규모가 작아진 경우는 없다. 아날로그에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성공한 산업은 그 규모가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커졌고, 금도 다르진 않으리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