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들과 미팅할 때 우리가 자주 받는 질문 중 하나가 공동창업가나 직원들에 대한 지분/스톡옵션 할당량이다. 비즈니스의 대부분 이슈와 비슷하게, 이 또한 정답이 없고, 그때그때 상황에 맞게 해결해야 하는 부분이긴 하지만, 일반적으로 – 특히 미국에서 – 다음과 같은 지분/스톡옵션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존재하고, 우리도 이 가이드와 비슷하게 창업가들에게 조언한다:
1/ C-level의 임원: 0.5%~3%
2/ 부사장급: 0.5%~2%
3/ 이사급: 0.2%~1%
4/ 매니저급: 0.1%~0.5%
5/ 일반 직원: 0.05%~0.2%
*ChatGPT에도 물어봤지만, 구체적인 가이드라인 보단, 그냥 “그때그때 회사의 상황과 전략에 따라서 결정해야 한다.”라는 조언을 받았다.
이 숫자들을 말해주면, 대부분의 창업가들은 너무 낮은 게 아니냐면서 놀라고, 이 지분을 제안받는 분들 또한 너무 낮다고 불평한다. 아마도 대기업에서의 직장 경험이 있거나, 다른 큰 스타트업에서 팀장급 이상의 경험을 했던 분들은 작은 스타트업에 오면서 연봉은 희생하지만, 회사 지분을 많이 받고 싶다고 생각할 것이고, 개인마다 이 지분의 양은 다르겠지만, 어떤 분은 15%까지 생각하는 분들도 있다.
내가 전에 관련된 포스팅을 한 적이 있는데, 지분율이 중요한 게 아니라, 그 지분의 현재의 가치와 미래의 가치가 더 중요한 것이기 때문에 코파운더가 아니고 나중에 조인하는 임원이나 직원은 너무 과한 지분을 기대하면 입사 협상 과정에서 마찰이 많이 발생할 것이다.
스타트업의 지분은 정말 소중하다. 그래서 우리도 투자사 대표님들에게 이 소중한 지분을 아껴야 한다고 조언하고, 지분을 주거나 스톡옵션을 부여할 땐, 수량에 대해서는 다시 한번 생각해보라고 한다. 일단 공동창업가가 아니라면, 무조건 최소로 조언한다. 시간이 지나면서 일을 잘하면, 이 분들에겐 그때 더 주면 된다. 그런데 너무 많이 줬다가 일을 못 하면, 나중에 다시 뺏는 건 정말 힘들다. 그래서 무조건 처음엔 적게 주고, 여러 가지 장치와 조건을 기반으로 나중에 오히려 더 많이 주는 게 좋다. 외부에서 새로운 대표이사를 영입하든, 임원을 채용하든, 일반 직원을 채용하든, 이건 공통으로 적용된다.
참고로, 공동창업가는 처음부터 리스크를 같이 지고 창업하는 사람들이다. 실제 창업은 대표이사가 혼자 했는데, 이전 회사에서 받을 상여금 다 받고, 옵션 다 행사하고, 모든 리스크를 de-risk하고 한참 후에 조인하는 사람은 진정한 공동창업가라고 할 수 없다. 이런 분도 일반 직원의 수준으로 지분을 받아야 하고, 동일하게 시간이 지나면서 일을 잘하면 더 주면 된다.
이번에 50억 밸류로 엔젤투자만 끝난 단계(MVP 나옴)의 스타트업(현재 팀원 5명)에 연봉 20% 삭감 + 2% 지분 조건으로 합류 제안을 받았는데, 그래도 이정도면 합리적으로 제안을 받았다고 봐도 될까요?
위에서 말씀하신 목록으로 보면 부사장급인데, 앞에 인원들도 이정도는 챙겨준거 같고요. 아무래도 연봉을 삭감하고 리스크를 떠안고 가는거다보니, 후회 없는 보상으로 합류해서 몰입해서 일하고 싶은 욕심이 크네요.
아 참 4년 베스팅에 2년 클리프 조건입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그런데 여기서의 지분은 할당받을 당시의 지분율인가요? 아니면 투자 받으면서 증자를 하게 될 텐데, 투자 종료 후 최종 엑싯(exit) 시점의 지분율인가요..?
안녕하세요. 할당받을 당시의 지분율입니다. 당연히 그 이후로 계속 이또한 희석되겠죠.
Pre-A단계 스타트업 초기 임직원으로 최근에 스톡옵션 비율 협상을 마무리했습니다. 처음에 0.1% 제시했다가 좀 실망스러워서 더 올려달라고 해서 0.5%로 마무리했습니다. 이후에도 계속 내가 지분이 너무 적은게 아닌가해서 속비워내지 못한 것처럼 불편했는데 윗글에서 공유해주신 내용때문에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협상하시느라 고생했습니다. 회사마다 방침이 다르고, 경영진이 생각하는게 다르겠지만, 스톡옵션은 절대적인 % 보단, 그 %가 나중에 얼마가 될 수 있을지에 focus 하시는 게 맞습니다. 고맙습니다.
시드 받으려고 투자사를 미팅햇는데 본인은 투자사 다니고 저희랑 협업하고 싶다고 투자받게 해준다규 지분을 25%달라고 하더군요 완전 미친놈인줄알앗습니다
고민중이었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도움 되셨다니 다행이예요~
저도 굉장히 보수적으로 처음에 접근했는데,
사실 “너무 적은 것이 아닌가?” 라는 고민을 하던 찰나에 이런 글을 올려주시니 잘 하고 있었다고 생각되네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다행입니다 🙂 고맙습니다.
좋은글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