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글의 전편 – ‘미국으로 가야하나요? Part 1‘
미국으로 오는게 더 좋다고 생각하는 두번째 이유는 바로 end-to-end user experience 때문이다. 우리말로 하면 ‘완전한 사용자 경험’ 정도?
한국에 살고 있고 미국 거주 주소랑 미국 신용 카드 (또는 해외 사용 가능 카드)가 없는 분들은 미국의 서비스를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전자상거래 사이트를 통해서 물건을 구매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물론, 정식으로 한국용 버전을 launch한 서비스는 사용 가능하다. 지금은 어떤지 모르겠는데, 전에는 Amazon.com이 대표적인 케이스였다. 몇년 전만 해도 한국에서 아마존을 통해서 물건을 구매하려면 미국 주소로 된 신용카드가 필요했다. 음악 스트리밍 사이트인 Pandora도 국가별 음악 저작권 문제 때문에 한국에서는 아예 서비스 (웹사이트, 앱) 접속이 안되는걸로 알고 있다.
사용하기 쉽고 사용자 경험이 가장 부드러운 전자상거래 서비스를 만드려면 아마존은 반드시 벤치마킹해야할 서비스이다. 전세계 전자상거래 서비스 중 절반 이상이 아마존의 UI와 UX를 벤치마킹하고 있다. 전자상거래에서 가장 중요한 순간은 고객이 물건을 주문하는 과정이다. 결제하는 프로세스가 복잡하거나 하다가 에러가 나면 짜증나서 사이트를 떠나는 고객들이 많다. 아마존은 바로 이러한 모든 일련의 과정들을 아주 아름다운 UI와 UX를 통해서 구현하고 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이 과정을 직접 경험할 수가 없었다. 물론, 디자이너들과 개발자들이 아마존 사이트에 와서 한 두 시간 정도 여기저기 다녀보면, “아, 이제 감 잡았어. 대략 이렇게 만들면 되겠구나.”라는 생각들을 하는데 가장 중요한 구매 프로세스를 처음부터 끝까지 경험을 해보지 못하면 절대로 아마존의 full user experience를 몸으로 느끼지 못한다.
브라우저에서 www.amazom.com을 치고 들어와서, 계정을 만들고, 원하는 물건을 검색하고, 물건을 구매하고, 구매한 물건을 받아보고, 받아본 물건에 대해서 리뷰를 올린다. 이 모든 과정을 직접 몸으로 경험을 했을때 비로써 우리는 end-to-end user experience를 경험했다라고 말할 수 있다. 위에서 말했듯이, 지금은 한국에서 아마존 사용이 가능한지 모르겠지만 한국에서 이런 full 유저 경험을 하지 못하는 미국 서비스들이 아직 너무 많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의 많은 사이트들을 사용해보면 미국 서비스들과 비스무리하게 만들었지만서도 뭔가 불편하고 반쪽짜리인거 같다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기획/디자인/개발자가 직접 처음부터 끝까지 사용해보지 않았으니까 그런거다.
판도라는 최고의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이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아예 서비스 접속을 못한다. 아마존과 마찬가지로 주위 친구들이 사용하는걸 어깨넘어로 보거나, 유투브에서 서비스 리뷰하는걸 시청하거나, 아니면 스크릿샷들을 본 사람들이 판도라를 벤치마킹해서 그만큼 좋은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를 만드는건 힘들다. 흉내는 낼 수 있지만, 결국 사용자들이 사용해보면 뭔가 어디선가 어색하고 사용자 경험을 방해하는 결정적인 요소들이 존재할 수 밖에 없다.
이게 미국으로 올 수 있으면 오는게 더 유리하다고 내가 생각하는 두번째 이유다. 다시 한번 공지하지만 첫번째, 두번째 이유 모두 지극히 100% 내 개인적인 생각이다.
그렇군요 ㅎㅎ 감사합니다. 이제 가기만 하면 되는군요! (하지만 이게 제일 힘들겠죠ㅜㅜ)
엔지니어 관점이라면 훨씬 더 쉬운 결정인거 같네요. 엔지니어가 king인 미국에서의 대우가 한국보다는 훨씬 더 좋으니까 (물론, quality가 좋은 엔지니어라면) 돈/환경/좋은 엔지니어는 끼리끼리 모임, 이 모든걸 생각해보면 미국이 좋을거 같습니다.
물론, 제가 한국의 엔지니어링 환경을 잘 모를 수 있지만 제가 지금까지듣고 느끼기에는 아직 한국에서 개발자들은 대우를 잘 못 받는거 같아요.
외왕 -> 이왕 ;;
창업자가 아닌 엔지니어 관점에서는 어떨까요? 스타트업에서 일하고 싶으면 외왕이면 미국으로 가야할만한 이유가 있을까요?
아참, 판도라나 넷플릭스 같은 경우 원한다면 VPN 등을 이용해서 얼마든지 사용 가능합니다. UI나 UX 는 우리나라 사람들도 정말 잘 만듭니다. 생각한 것을 적용하기가 어려워서 그렇지요 ^^; (정부정책, 한국 사람들의 습성(?)에 의한 익숙함의 문제 등..)
개인적으로 가장 큰 문제는 대규모 시장인 미국 사람들의 생활 패턴과 사고 방식을 접하지 못하기 때문에, 문화차이로 미국 시장에 진입하거나 유지하기가 어렵다는 점인 것 같습니다.
아마존의 사용자 경험은 정말 좋은 부분이지만, 몰라서 못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적용하고 싶어도 적용하지 못하는 이유가 여럿 있습니다. 게다가 대부분이 정부 정책 때문인 부분이기 때문에 해결이 불가능한 경우라는게 문제라서, 우리나라 기획자들 참 힘들죠..^_^; 음악 관련은, 우리나라의 저작권 구조가 매우 복잡해서 풀기가 정말 힘든 면도 있습니다. 아이튠즈가 아직도 들어오지 못한 이유 중 하나이기도 하다고 알고 있습니다..^^;
음…생각해본적은 없는데 이렇게 읽어보니까 많이 make sense하는 부분들이 있네요. 물론 동의하지 않는 부분들도 있지만 전반적으로는 좋은 내용입니다. 땡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