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A의 길

기고자 소개) 박은정 씨는 와튼스쿨 (Wharton School) 졸업한 후 현재 Top MBA 전문 컨설턴트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MBA 지원자들에게 도움을 준 경험을 기반으로 “미국 Top MBA 가는길(매일경제)“를 공저하였으며, 현재 자신만의 노하우와 지식을 바탕으로 최신 MBA 트렌드와 어느 학원에서도 해 주지 않는 진짜 MBA 이야기를 세상에 알리고 있습니다.
그녀는 연세대학교 상경계열 졸업 후 삼일회계법인에서 일을 했으며 현재 미국 동부 피츠버그에서 가족들과 함께 거주하고 있습니다. 박은정씨의 글에 대해 다른 의견이 있거나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mbaparkssam@gmail.com으로 연락주세요.
*박은정씨가 운영하는 MBA의 길에 가시면 MBA 관련 더 많은 정보가 있습니다.

2014 – 2015년 지원 시즌도 거의 막바지에 이르렀습니다. 이제 인터뷰도 거의 마무리되어 가고, 3월의 결과 발표를 기다리는 일만 남았습니다. 올해 지원하신 분들은 좋은 결과 있기를 바랍니다.

제가 MBA에 지원한 해가 2006년이었으니 거의 강산이 한번 변할 만한 시간이 흘렀습니다. 그 기간동안 MBA 어드미션의 트렌드에도 상당한 변화가 생겼습니다. 물론 전체적인 틀이나 과정은 크게 변하지 않았고, 트렌드라는 것이 결정적인 요소는 아니지만, 지원을 고려하시는 분이라면 염두에 둘 만한 요소들입니다. 이러한 트렌드는 어드미션 뿐 아니라 비즈니스 스쿨들이 중점을 두는 요소 혹은 발전하고자 하는 방향 또한 엿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됩니다.

우선 첫번째 트렌드 – 금융은 지고 테크는 뜨고 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말 그대로 2000년대 초중반까지는 지원자의 최소 절반은 금융계 종사자 혹은 나중에 금융계로 진출하고자 하는 이들이었습니다. 요즘은 그 숫자가 1/3 혹은 그 이하로 감소하였고, 반면 예전에는 10% 남짓 혹은 그 이하였던 테크놀로지 쪽 인원이 급증하였습니다. 이는 크게 달라진 MBA 취업시장을 반영하는데, 2008 – 2009년 금융위기로 인해 많은 투자은행들의 취업 자리가 사라지고 대신 페이스북, 구글 등이 신흥 강자로 떠올랐기 때문입니다. 또한 실리콘밸리발 스타트업 열풍이 불기 시작한 것 역시 테크 쪽 종사자들로 하여금 MBA에 지원하게 하는 큰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추세로 인해 서부 쪽 학교(스탠포드, 버클리, UCLA)들의 인기가 급증하게 되었고, 이에 맞서기 위해 동부 쪽 학교들도 테크놀로지 혹은 Entrepreneurship 부분을 크게 보강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상당 기간 이러한 추세는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단, 금융계 종사자들의 어드미션 경쟁률 자체는 과거와 크게 변화하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일자리도 감소했지만, 해당 분야의 지원자도 크게 감소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쉽게 말하면, 학교들은, 특히 금융이 강한 학교들은 여전히 금융계 종사자를 선호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일례로, CPA 자격증은 여전히 인기가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두번째 트렌드는 너무나 확고해진 스폰서 우대 현상입니다. 금융위기 때 워낙 일자리를 찾지 못한 외국인 학생들이 많아서 일종의 ‘보험’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하게 된 것인지 아니면 스폰서 기회 자체가 크게 늘었기 때문인지는 모르겠지만, 10여년전과 비교할 때 스폰서를 선호하는 학교가 많습니다. 이는 하버드같은 탑스쿨부터 공통된 트렌드입니다. 나중에 취업 경쟁에서 낙방할 일도, 미국 학생들에게 위협이 될 일도 없고, 학비를 내는 데도 문제없을(따라서 론의 연대보증도 필요하지 않은) 스폰서 지원자들의 인기가 높습니다. 물론 스폰서 지원자로 채울 수 있는 비중에는 한계가 있지만, 지금까지는 그 한계가 계속 높아져 온 느낌입니다. 이러한 트렌드 덕분에, MBA에 진학하시는 한국분들 중 10여년의 직장 경력을 가진 30대 후반들도 흔히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반면 긴 직장경력을 가졌지만 스폰서를 받지 않는 지원자들에게는 경쟁이 더 어려워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세번째 트렌드는 아예 젊거나 아니면 경력이 확실하거나 라고 볼 수 있습니다. 즉, 대체로 경력이 길고 나이가 많은 스폰서를 선호하면서 상승하게 된 학생들의 평균 나이를 다시 내리기 위해서는 젊은 학생들을 끌어들여야 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꼭 이 이유 때문은 아니겠지만 실제로 학교들은 점차 젊은 학생들에게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하버드에서는 최근 2+2라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대학 4학년인 학생들 중 ‘될성부른 떡잎’에게 미리 어드미션을 주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최소한 3년에서 5년 사이 정도의 직장경력은 있어야 된다고 생각했지만, 젊고 똑똑한 지원자들에게는 3년 이하의 경력도 문제 없다고 보는 것입니다. 같은 정도의 성취를 하는데 어떤 지원자는 5년이 걸렸고, 어떤 지원자는 3년이 걸렸다면 후자에게 더 훌륭한 잠재력이 있을 거라고 보는 거죠. 이제 직장 경력에서 오는 성숙도 대신 젊은 출신 학부의 명성과 GMAT 점수가 점차 중요해지는 것으로 보입니다.

네번째는 새로운 지원 절차의 등장입니다. 와튼이 몇년 전에 팀 토론을 도입한 후, 이제는 많은 학교들이 추가적인 방법으로 학생들의 능력을 평가하고자 하는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켈로그와 예일에서는 비디오 에세이를 도입했고, 미시건에서도 팀 토론을 시키고 있으며, LBS에서는 짧은 프리젠테이션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물론 인터뷰 자체의 비중이 높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부가 절차가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일은 드물겠지만,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지원자들에게 있어서 부담이 되는 것은 분명합니다. 그리고 앞으로 더 많은 학교들에서 이러한 추가적인 요구를 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평소 실력에 더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컬럼에서 짚어본 트렌드들은 지금 일어나고 있는 현상일 뿐, 미래에 언제까지 계속될 거라고 잘라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가까운 미래에 이러한 트렌드가 갑자기 꺾일 것으로 보이지도 않습니다. MBA 지원을 계획하고 계신 분들은 이러한 변화를 염두에 두고 진행하시는 것이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