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새 우리가 투자 검토하고 있는 회사의 대표와 얼마 전에 이런저런 이야기를 하다가 차별점이라는 주제가 튀어나와서, 내가 다음과 같은 질문을 했다. 실은, 정답도 없고, 어떻게 보면 참 멍청한 질문이라서, 내가 잘 하지 않는 질문이긴 하지만, 답을 떠나서 이분의 생각과 답변이 좀 궁금했다. 또한, 대부분의 투자자가 습관처럼 물어보는 질문이긴 하다. 이 회사의 기술, 제품, 서비스, 그리고 비즈니스 모델이 내가 보기에는 그렇게 특별하지 않고, 실은 누구나 다 마음먹으면 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왜 우리가 남들보다 더 잘 할 수 있다고 생각하냐고 물어봤다.
이분의 대답은 내가 기대하던 답변이고, 대표가 시장을 이렇게 보고 있다는 건 나한테는 상당히 긍정적인 시그널이었다. 본인도 항상 생각하고 있는 부분이고, 내가 한 말에 100% 공감한다고 하면서, 창업팀이 하고 있는 게 실은 어느 정도의 기술장벽도 있고, 서비스 장벽도 있고, 비즈니스모델 장벽도 있긴 하지만, 그렇다고 절대로 남들이 못 하는 건 아니라고 했다. 그리고, 대기업에서 돈과 사람을 대거 투입하면, 본인이 2년 이상 했던 이 비즈니스와 비슷한 걸 훨씬 짧은 시간 안에 만들 수도 있다고 했다.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건, 남들이 할 수 있는 건 자신의 비즈니스와 “똑같은”게 아니라 “비슷한”걸 만들 수 있다는 점인데, 실은 비즈니스의 핵심은 비슷하다와 똑같다 사이에 존재하는 10%라고 하면서, 이 10%를 따라 하는 건 정말 쉽지 않고, 아주 오랜 경험과 굉장히 특별한 능력과 팀워크가 필요하다고 했다. 물론, 이분도 100% 완벽한 제품을 만들 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90%에서 100%까지 비즈니스를 완성하는 게 이 팀의 미션이고, 이건 돈이나 사람의 수라는 정량적인 자원보다는, 얼마나 오랜 기간 동안 시행착오를 반복하면서눈에 보이지 않는 경험과 디테일을 몸으로 직접 배웠냐는 정성적인 부분에 의해서 결정되는데, 이걸 세상에서 가장 잘하는 팀이 이 회사이기 때문에 남들보다 잘 할 수 있다고 자신 있게 말했다.
이 말에 나는 매우 동의한다. 나도 실은 우리 투자사 대표들에게 항상 비슷한 말을 하는데, 겉으로 보면 같아 보이는 두 개의 비슷한 서비스 중, 하나는 사용자들이 좋아하지만, 다른 하나는 사용자들이 사랑하는 이유는 눈에 잘 안 보이는 작은 차이 때문이고, 이 작은 차이는 위에서 강조하는 디테일에서 나온다는 말을 자주 한다.
솔직히 우리가 자주 접하고 사용하는 배달앱, 쇼핑앱, 맛집앱, 중고거래앱, 음악 서비스, 자산관리서비스만 보더라도 비슷한 제품이 각각 최소 5개는 있지만, 대부분 이 중 하나만 사용한다. 처음엔, 여러 서비스를 동시에 사용하지만, 결국 그중 나한테 가장 유용한 한 개의 서비스를 선택하고, 이후에는 그 제품만 사용하게 된다. 그 이유는 결국엔 완벽을 추구하면서 더 견고해지는 디테일에 있는 거 같다. 눈으로 봤을 때는 잘 모르지만, 깊게 사용하다 보면 느낄 수 있는 그런 세심한 디테일 말이다. 누구나 다 90%까지는 상당히 빨리 만들 수 있지만, 매출의 99%를 만드는 건 마지막 10%이고, 이 10%를 완성하는 데에는 평생이 걸릴지도 모른다. 이 마지막 10%를 완성하는 게 팀의 경험과 열정, 그리고 수많은 반복과 시행착오인데, 이걸 잘하는 팀이 결국엔 성공하는 것 같다.
얼마 전에 본 다큐멘터리에서 인류는 대형 유인원과 97% 이상 유전자를 공유하지만, 다른 3%가 인간을 유인원과 99.99% 다르게 만든다는 내용이 있었다. 겉으로 보면 모두 다 비슷한 제품 같지만, 이기는 제품과 지는 제품이 명확하게 구분되는 논리도 똑같다고 생각한다. 모든 건 마지막 3%에 달려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