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미국을 1대1로 비교하는 건 큰 의미가 없다. 문화가 다르고, 사람들이 다르고, 교육 내용과 환경이 다르므로 살아가는 방식과 일하는 방식이 너무 다르다. 그래서 무조건 미국은 좋고, 한국은 나쁘다고 하는 건 정말 구닥다리 사고방식이다. 오히려 나는 요새 무조건 한국은 좋고, 미국은 나쁘다는 말을 많이 하는데, 물론, 이 또한 유연하지 못한 사고와 발언이다.

그래도 비즈니스 문화에서 한국이 미국보다 훨씬 못하다고 생각하는 게 바로 거절하는 문화다. 상대방이 나에게 뭔가를 간절하게 원하는데, 내가 못 하거나, 아니면 단순히 하기 싫다면, 그냥 거절하면 되는데, 이게 꽤 많은 한국 분에겐 참 어려운가 보다.

내가 못 하는 거면, 그냥 솔직히 내 능력이 안 되거나, 시간이 안 되거나, 뭐 여러 가지 합당한 이유를 – 상대방이 합당하다고 생각해서 나한테 서운하게 생각하지 않는 – 대면서 그냥 못 한다고 하면 된다. 한국에서 태어나서, 한국에서 정규 교육을 받고, 한국의 기업에서 일을 해 본 많은 분들이 실은 이것도 힘들어한다.
더 어려운 거절은 내가 할 수 있지만, 그냥 하기 싫을 때이다. 나도 이런 경우가 상당히 많다. 엄청 바쁘거나, 상대방의 부탁을 그냥 들어주기 싫거나, 아니면 그냥 굳이 내가 시간과 에너지를 쓰기 싫을 때가 있다. 상대방의 부탁을 그냥 들어주기 싫은 경우는, 그분이 미워서라기보단 그냥 잘 모르는 분이 불쑥 연락이 와서 뭔가를 해달라고 할 때다. 나한테 큰 도움이 되지도 않은데 굳이 내가 잘 모르는 분을 위해서 시간을 투자할 필요가 없고, 그냥 여기에 시간을 쓸 바에야 집에서 책을 읽거나 잠을 자는 게 더 좋을 때가 있다.

나는 거절을 꽤 잘 한다고 생각한다. 실은 과거엔 나도 남들이 부탁하면 웬만하면 다 들어줬다. 한때는 모든 사람들에게 친절해야만 한다고 생각했고, 내가 거절했을 때 상대방이 나에 대해서 나쁘게 생각하는 걸 좀 두려워할 때가 있었다. 그런데, 이렇게 해보니, 내가 원하는 삶을 살기보단 어느 순간 남이 나에게 원하는 삶을 살고 있다는 느낌을 받아서 그 이후론 의식적으로 모든 걸 거절하기 시작했다. 못 하는 건 그냥 못 하므로 못 한다고 하고, 하기 싫은 건 그냥 하기 싫어서 안 한다고 한다. 이렇게 너무 직설적으로 이야기하면 꽤 많은 분들이 내가 인성이 나쁘고, 싸가지가 없다고 생각하는데, 뭐, 그렇게 신경 쓰지 않기 때문에 상관없다. 심지어 전엔 어떤 분이 뭔가를 부탁했는데, 내가 잘할 수 있는 일이었지만, 그냥 못 한다고 했다. 그러자 이분은 일정이 안 맞는 줄 알고, 다른 여러 날짜를 제시했는데, 그냥 전부 다 못 한다고 하면서, 시간은 가능한데 내가 하기 싫다고 했다. 그 이후로 이분은 나를 사람 취급하지 않았는데, 뭐, 나는 크게 신경 쓰지 않는다.

내 경험상, 오히려 이렇게 대차게 거절하는 게 상대방이나 나를 위해서 가장 좋은 관계 유지 방법이다. 거절하는 사람으로서도 처음엔 불편하고, 거절당하는 사람으로서도 기분이 상할 수도 있지만 – 솔직히 나도 거절을 정말 많이 당하는데, 거절당하는 사람의 입장에서 기분이 상할 이유는 전혀 없다 – 결국엔 서로 깔끔하게 교통정리가 되고, 각자의 인생을 살 수 있고, 각자 그냥 move on 할 수 있다. 이런 분들은 오히려 평생 친구가 될 수도 있다.

그런데 이 거절하는 걸 너무 힘들게 생각해서, 아예 상대방의 연락을 피하고 잠수 타는 분들이 의외로 많다. 내가 세상에서 가장 싫어하는 부류의 사람들이고, 인간관계에 있어서 잠수타기는 최악의 한 수이다. 이런 분들은 본인은 ‘원래’ 상대방에게 싫은 소리를 못 한다고 하는데, 이건 개소리다. 그냥 본인들이 상대방에게 싫은 소리를 하고 싶지 않기 때문이다. 싫은 소리 하거나, 거절하면 상대방이 본인을 안 좋게 생각하는 게 걱정되는 이런 분들의 또 다른 특성은 남이 그들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지대한 관심이 많다는 점이다.

나도 가끔 이런 분들을 만난다. 잘 이야기하다가 갑자기 연락이 끊기는데, 내 성격상 이렇게 연락이 안 되면 나는 계속 연락한다. 끝까지 잠수 타는 분들도 있지만 – 참고로, 나는 이런 사람들은 인간 취급 안 한다 – 대부분 몇 달 뒤에 다시 연락된다. 그리고 왜 갑자기 잠수 탔냐고 물어보면 돌아오는 답변은 “바빴어요” , “원래 내가 싫은 소리 못 하잖아요” 또는 “내가요?” 정도이다.

하기 싫으면 그냥 하기 싫다고 해라. 못 하겠으면 그냥 못 한다고 해라. 그리고 만약 거절하는 게 내가 미안해야 할 일이라면, 아주 솔직하게 미안하다고 해라. 특히 나 같은 사람한텐 그냥 대차게 거절해야 한다. 안 그러면 나는 희망을 갖고 계속 귀찮게 하고, 계속 연락할 것이다. 어쨌든 절대로 잠수는 타지 마라.

잠수 타면서 오랫동안 마음이 불안한 것보단, 그냥 거절하고 그때 한순간만 살짝 미안함을 느끼는 게 스트레스 관리에도 훨씬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