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에 열흘 정도 미국에 다녀왔다. 나는 미국 출장을 가면 동부로 들어가서 서부로 나오거나, 반대로 서부로 들어가서 동부로 나오는데, 미국은 워낙 큰 나라라서 이동하는 게 참 어렵다. 이번에도 미국 내에서만 방문한 곳이 꽤 많고, 땅덩어리가 커서 직행 비행기 노선이 없는 곳도 많아서 미국 내에서만 비행기를 8번 탔다. 이전에는 다양한 항공사를 이용했지만, 대한항공과 제휴되기도 하고 그나마 서비스가 나은 것 같아서 요샌 미국 내에서는 델타만 이용하는데, 이번에 좀 크게 짜증 나는 경험을 했다.
동부에서 출발해서 중부 테네시주 내쉬빌에 오후 1시에 착륙했다. 나는 오후 4시에 여기서 미팅이 있었고, 저녁 8시 비행기로 다시 바로 서부 LA로 가는 일정이었다. 큰 짐이 있어서 이걸 들고 이동하는 게 좀 귀찮았지만, 저녁 8시 비행기에 짐을 체크인하기엔 시간이 너무 많이 남았다. 그래도 혹시나 해서 델타에 물어보니 8시 비행기지만 2시에 짐을 체크인해도 된다고 해서 일단 가방은 체크인하고 내쉬빌 시내에서 미팅하고 6시쯤 다시 공항에 왔다. 이때부터 30분 단위로 출발이 계속 지연되면서 결국엔 밤 10시 정도에 LA로 가는 비행기가 취소됐다. 뭐, 미국 국내 항공은 여러 가지 이유로 취소되는 경우가 너무 많아서 이것까진 괜찮았다. 기상 문제로 인해서 취소돼서 자동으로 그다음 날 LA로 가는 항공편 예약이 됐는데, 가장 빠른 비행기를 타도 미팅에 늦을 예정이라서, 일단 LA 미팅도 다 취소하고, 내쉬빌에서 예정에 없던 1박을 하게 됐다.
다시 짐을 찾기 위해서 수화물 칸에서 거의 한 시간을 기다렸는데, 다른 사람들 짐은 모두 다 빙글빙글 돌면서 나왔는데, 유독 내 짐만 안 보여서 확인해 보니, 이미 내 가방은 LA 공항에 도착했다는 황당한 답변을 받았다. 좀 당황스러웠지만, 내쉬빌 공항 델타 수화물 사무소 직원분에게 LA 공항 수화물 사무소에 연락해서 내일 이 가방을 다시 내쉬빌로 보내달라고 부탁하고 맨몸으로 호텔에 체크인했다. 델타 직원분은 다음 날 오전 11시 정도에 가방이 다시 올 것이고, 도착하면 나에게 전화하라는 메모를 시스템 안에 남겨 놨다. 그런데 그다음 날 델타 앱을 통해서 확인해 보니 내 짐은 아직도 LA 공항에 그대로 있었다. 나는 델타 내쉬빌 수화물 사무소에도 전화를 해봤고, 델타 고객 서비스 번호로도 전화해 봤지만, 그 누구 와도 통화를 할 수가 없었다. 참고로 고객 서비스 번호는 최소 대기 시간이 90분이었는데, 거의 70분을 기다렸는데 전화가 끊겼다.
너무 답답해서 다시 내쉬빌 공항 수화물 사무소로 갔다. 일단 여기서도 30분 대기 후에 어제와는 다른 직원에게 그동안 있었던 자초지종을 잘 설명한 후 – 예상은 했었지만, 내부 시스템에 내 상황에 대한 그 어떤 내용도 기록되어 있지 않았음 – 내 가방 어디 있느냐고 물어보니까 본인도 어깨를 쓱 하면서 “LA에 있네요. 이게 왜 내쉬빌로 오는 비행기에 안 실렸을까요.”라는 말만 반복했다. 델타 직원들이 내부 번호로 LA 공항 수화물 사무소에도 계속 전화를 시도했지만, 아무도 안 받고, 본인들도 내부적으로 소통이 안 되는 듯했다. 어쨌든, 다음 비행기에 가방을 실어서 꼭 보내게 하겠다는 약속을 받고 다시 호텔로 돌아와서 원치 않은 일박을 내쉬빌에서 더했다.
그다음 날 일어나자마자 다시 확인해 보니, 역시나 내 가방은 LA에 그대로 있었다. 이쯤 되니 더 이상 이 병신 같은 항공사를 믿지 말고 그냥 내가 LA로 직접 날아가서 내 가방을 찾아야겠다고 생각했다. 다시 내쉬빌 공항으로 왔고, 수화물 서비스로 가서 역시나 새 담당자에게 내 상황을 다시 설명하고 내 가방을 내쉬빌로 보내지 말고, LA에 그대로 보관하라는 내부 긴급 지시를 해 달라고 세 번이나 이야기했다. LA에 갔는데 가방은 내쉬빌로 출발했으면 정말 델타 직원 싸대기를 때려야 할 판이니까. 그리고 실제로 델타 직원한테 그렇게 말했다.
여기서 이 불행한 상황이 종료됐으면 얼마나 좋았을까. LA로 가는 직항을 못 타고 미네소타를 경유해서 미네소타에서 LA로 날아가는 동안 하늘에서 와이파이 접속을 한 후에 델타 앱을 확인해 봤다. 앱을 누르면서도 왠지 불안했는데, 앱을 리프레시 하자마자 뭔가 상태가 바뀌었고, 내 가방이 LA에서 내쉬빌로 가는 비행기에 priority booking이 되어 있다는 업데이트가 떴다. 와,,,왜 이런 일이 나한테…항공법상 하늘에서 통화는 금지되어 있어서, 온갖 델타 관련 사이트를 다 뒤지다가 결국엔 델타의 페이스북 페이지 메신저와 연결됐다. 그리고 내가 가장 처음 물어봤던 질문은, “Are you a bot?” 이었다. 다행히도 사람이었고, 다시 한번 내 상황을 최대한 짧게 설명했고, 이 가방 절대로 비행기에 탑승하면 안 되니까 당신이 가진 모든 힘을 동원해서 막아달라고 부탁했다. 가방이 이미 비행기에 들어갔으면 본인이 할 수 있는 게 아무것도 없지만, 그렇지 않다면 모든 방법을 동원해서 처리하겠다는 약속을 두 번이나 받은 후, 나는 그냥 비행기 안에서 초조하게 아름다운 구름만 보면서 기다릴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LA에 도착하자마자 수화물 서비스 지역으로 달려갔는데, 다행히도 꿈에 그리던 내 가방을 찾을 수 있었다. 가방을 찾자마자 다시 델타 고객 서비스 사무실에 들어가서 다시 내 상황을 설명하면서 LA까지의 항공비, 그리고 이 상황 때문에 내가 취소했던 미팅에 대해 보상해달라고 요청했다. 하지만, 본인들은 창구에서는 해줄 수 있는 게 아무것도 없고, 90분 이상을 기다려야 하는 고객서비스로 전화해서 시도해 보라는 아주 성의 없는 답변만 받았다. 성질 같아서는 난리를 치고 싶었지만, 여기서 지랄하면 경찰을 부를 것이라는 걸 과거의 경험으로부터 알기 때문에 그냥 화를 꾹 참고 그다음 행선지인 샌프란시스코행 비행기를 탔다. 이번에는 내 가방이 내가 타는 비행기에 실린다는 걸 확인한 후에.
이런 더러운 고객 경험은 항공사뿐만 아니라 미국에서는 너무 자주 경험하는 흔한 일상이다. 고객 서비스는 정말 좋아질 수 없을까? 힘들게 번 돈을 이렇게 날렸는데, 그 어디에서도 제대로 된 상식적인 보상을 받을 수 없는 게 당연한 건가?
아니, 충분히 좋아질 수 있다고 나는 생각한다. 최소한 지금보단 훨씬 개선될 수 있다. 그런데 안 좋아지는 이유는 그냥 델타의 경영진에서 고객 서비스에 대해서 별로 신경을 안 쓰기 때문이다. 아마도 이 회사의 경영진들은 내가 항상 강조하는 자기 회사의 개밥 먹기를 안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나 같은 일반 고객의 비행 경험을 직접 안 하므로 뭐가 문제인지 전혀 모르고, 문제가 발생하면 본인들이 운영하는 회사의 고객서비스 직원들이 얼마나 고객들을 무시하고 거지 같은 불친절을 제공하는지 모를 것이다. 알면 이런 고객 서비스가 있을 수가 없다.
이런 거지 같은 서비스에 쓰는 비용도 아깝다고 많은 미국 회사가 요새 AI를 활용해서 고객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나는 이것도 정말 맘에 안 든다. 사람도 제대로 제공할 수 없는 고객 서비스를 과연 기계가 제공해 줄 수 있을까? 내가 최근에 경험했던 이 상황에서 AI 봇이 나를 얼마큼 도와줄 수 있었을까?
이런 경험을 하고 – 그리고 델타 뿐만 아니라, 미국 Chase 은행에서도 아주 거지 같은 고객 서비스 경험을 많이 했다 – 한국에 돌아오니, 대한항공은 전 세계에서 가장 좋은 항공사라는 생각을 했고, 하나은행도 너무 좋은 고객서비스를 제공하는 은행이라는 생각을 했다.
남의 이야기인데 이렇게 고구마 백개, 울화통 터지면서 읽어보긴 처음…
친절과 고객응대는 그래도 아시아권이 세계 탑 레벨이라해도 크게 무리가 없을 것 같습니다. 저는 스페인갔을 때 창구마다 줄이 10미터 이상 서 있는 상황에서도 태연하게 옆 창구 직원과 잡담을 하며 마냥 아무렇지도 않은 듯 일을 천천히 하는 상황을 보고 참 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물론 이런 경우도 있지만 Delta Elite였다면 전화도 바로 걸리고 좋은 서비스를 받으셨을 겁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배기홍 대표님이 먹이사슬 아래에 계셨던 것 뿐입니다.
한국의 서비스가 황당한 것은 점심 시간에 전화도 안 받습니다. 한국인들은 마치 남들 밥 먹는 시간에 밥을 먹지 않으면 큰일 나는 것처럼 행동을 합니다. 이건 어떤 한국 경영진도 못 고치는 고객 서비스의 맹점이겠지요.
엘리트이신가봐요.
네, 그럴 수도 있겠네요. Delta Elite는 아니지만 나름 비즈니스 클래스 였습니다. 한국의 CS는 점심 시간에 전화를 안 받나요? 제 경험상 전화 받는 분들이 교대로 식사를 해서 그 수는 줄지만 그래도 받았던것 같은데요. 그래도 한국의 최악의 고객서비스는 미국의 왠만한 고객서비스 보다 좋습니다.
오우, 세상에! 한국사람으로서는 생각하기도 싫은 상황인데.. 고생많으셨습니다!
승객이 다 차야 출발하는 것, 전화응대 없이 이메일로만 상황을 설명하고 답변을 들어야하는 것, 택배나 AS 서비스는 신청해놓고 잊을만할때가 되어야지만 오는 것 등등.. 이런 것들은 한국에서 정말 상상할수도 없는 일이죠.
어딜가나 한국만한 곳은 없다고 생각이 듭니다. ㅎㅎ
평소에는 익숙해서 체감 못하지만 다른 외항사 이용해보면 대한항공 서비스가 얼마나 좋은지 느낄수 있는것 같습니다. 이 외에도 미용실도 한국만큼 고객서비스가 발달한곳을 못 본 것 같습니다. 이런 고객서비스가 꽤 중요한 비즈니스들은 해외에서도 한국회사가 충분히 경쟁력이 있을 것 같습니다.
저도 작년 겨울 폭설 대란때 베트남갈때 비행기가 제 짐을 안 싣고 가서 하루동안 거지꼴로
있다가 다음날에 받은 경험이 있었네요
정말 최악이네요.. ‘병신 같은’ 표현 말고는 이 항공사를 달리 설명할 길이 없는 것 같습니다. 저도 몇 년 전에 에어캐나다 때문에 미칠 것 같은 경험을 했는데,,, 영어 실력이 부족한 게 한이었습니다^^;
미국이 참 대고객 서비스가 형편없다는 생각을 다시금 하게 되었습니다. 항공사에 전화하면 90분 대기는 기본이고, 몇시간을 통화하고 기다려야 겨우 항공편 변경했던 기억이 나네요. DMV를 가려면 하루를 날 잡고 휴가 쓰고 다녀와야 하고, 심지어 갱신한 라이센스가 만료일이 지나서 배송되는 어처구니 없는 나라였다는 것을 다시금 떠올리며 읽었습니다. 고생 많으셨습니다.
DMV의 기억이 스멀스멀 올라오면서 갑자기 화가 나네요 ㅎㅎ.
고생 많으셨습니다.
‘사필귀정’이라는 말을 저는 믿지 않습니다. “델타가 계속 이런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결국 회사가 망할거야” 라는 말은 믿지 않습니다. 다만,
제가 믿고 있는 말중에 하나가 “세상에 공짜는 없다” 입니다.
만약 델타가 허약한 고객서비스에 비해 많은 돈을 벌고 있다면, 결국 그 만큼 대가를 치룰것입니다. 세상에는 공짜가 없으니깐요.
글을 읽는데 제가 다 흥분하게 되네요…홀리몰리..고생 많으셨습니다.
비슷한 경험이 있어서 얼마나 황당하고 짜증나고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미친 상황이라는게 200% 공감이 갑니다. 여행으로, 출장으로 미국 갈때마다 드는 생각은 한국사람만큼, 한국 만큼 서비스가 좋고 빠르고 일하는 모든 직원들이 영리한 나라가 정말 없는것 같아요. 한국 사람들은 평균적으로 일 머리가 좋고 상황판단력이 뛰어난데, 미국(특히 항공사)인들 일 하는거 보면 오히려 한국의 희망이 보이더라고요. 너무 고생 많으셨습니다.
네, 저도 미국에서 한국의 가능성과 희망을 많이 봤습니다 🙂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