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tcoin

대규모 업그레이드의 점진적 실행

미국의 대표적인 비트코인 업체 Coinbase가 얼마 전에 대규모 웹서비스 업데이트를 진행했다. 대시보드 스타일의 인터페이스를 도입하면서 UI 및 UX 차원에서의 큰 업그레이드였는데, 현재 나는 굉장히 쾌적하게 잘 사용하고 있다. 코인베이스의 업데이트 과정을 보면서 역시 잘 되는 서비스와 잘하는 팀은 뭔가 다르게, 그리고 제대로 하는구나 라는 생각을 다시 한 번 했다.

업데이트된 새로운 사이트는 다음과 같이 생겼다:

coinbase-renewal

다만, 코인베이스는 기존 사이트를 하루 만에 새로운 사이트로 일괄적으로 변경하지 않았다. 기존 사이트 왼쪽 아래에 약 한 달 동안 “새 베타 사이트를 사용해 보세요”라는 문구로 홍보하면서, 옛 인터페이스에 익숙한 사용자들이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사용해볼 기회를 오랫동안 제공해줬다. 만약에 새로운 사이트가 낯설면 사용자는 익숙한 기존 사이트로 다시 돌아가서 코인베이스를 사용할 수 있었다. 그리고 약 한 달 뒤에 코인베이스는 업그레이드된 새로운 사이트를 강제로 적용했다.

제품은 끊임없이 수정되고 개선되어야 한다. 이런 의미에서 지속해서 업데이트, 업그레이드되어야 하는 게 맞지만, 우리 투자사들을 비롯한 너무나 많은 회사가 특정 시간에 일괄적으로 대규모 업데이트를 강제로 실행해버린다. 이렇게 하면 아무리 좋은 업데이트라도 많은 기존 고객들을 떠나게 할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한다.

기존 제품을 경험하지 않은 신규 고객들에게는 이 업데이트가 전혀 문제가 안 되지만 – 그들에게는 이 업그레이드 된 제품이 처음으로 접하는 제품이기 때문 – 오랫동안 제품을 사용하던 기존 고객들에게 이 업데이트는 문제가 될 수 있다. 더 좋아진 제품과 기능이지만, 기존 고객들이 가장 먼저 느끼는 건 ‘변화’이기 때문이다. 이들에게는 ‘새롭다’가 ‘더 좋은 제품’으로 다가오는 게 아니라 오히려 ‘뭔가 달라진 제품’으로 다가오기 때문이다. 그리고 좋든 나쁘든 변화는 항상 부담과 스트레스를 유발하기 때문이다.

즉, 새로운 제품에 적응하는 데에는 시간이 걸린다. 만약에 내가 코인베이스에서 비트코인 가격 추세를 감시하면서 거래 기회를 찾고 있는 도중에 갑자기 대규모 업데이트를 통해서 UI와 UX가 바뀌었다면 굉장히 당황했을 것이다. 그래서 이런 노련한 웹서비스 업체들은 업그레이드하더라도 강제적으로 일괄 적용하지 않고 일단 사용자들에게 새로운 기능, UI와 UX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면서 바뀔 서비스에 적응할 수 있는 기간을 어느 정도 주는 것이다.

대규모 업데이트일수록, 대규모 혼란을 일으킬 수 있다. 기존 고객들에게 최대한 적응 기간을 많이, 그리고 유연하게 제공해야 한다.

이더리움과 forking

ethereum-forked비트코인과 같은 가상암호화 화폐에 관심 있는 분이라면 이더리움(Ethereum)에 대해서 들어봤을 것이다. 그리고 최근에 이더리움 커뮤니티에서 큰 쟁점이 되었던 포킹(forking)에 대해서도 알고 있을 것이다. 몇몇 독자들이 이더리움과 포킹에 대해서 설명을 해달라고 해서 나도 내 생각을 정리하는 차원에서 글을 써본다. 비트코인에 대해서 내가 쓰는 글들을 보면 아시겠지만, 나는 이 분야의 전문가는 아니다. 전문가들이 답글로 설명을 추가해 주면 많은 분들한테 도움이 될 거 같다.

이더리움은 비트코인과 같은 자체 가상화폐인 이더를 지원한다는 점에서는 블록체인과 비슷한 프로토콜이지만 한 가지 큰 차이점은 바로 스마트계약(=사전에 서로 합의된 조건들이 충족되면 자동으로 실행되는, 컴퓨터 코드로 만들어진 계약)을 지원한다는 점이다. 실은 블록체인도 이론적으로는 스마트계약서를 지원하고, 앞으로 블록체인을 활용한 스마트계약서가 큰 혁신을 가져올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말하고 있지만, 내가 보기엔 아직도 말로만 존재하고 실체는 없다. 이더리움도 마찬가지였다. 비트코인보다는 유연하고 확장성이 좋은 코드로 만들었지만, 스마트계약서는 아직은 이론에 불과했다.

그러다가 2016년 4월 30일 이더리움은 DAO(Distributed Autonomous Organization) 라는 흥미롭고 새로운 실험을 시작했다. 우리와 같은 VC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DAO의 목적은 사람의 개입이 없는 창투사(VC)를 만드는 것이었다. 투자 결정을 하는 파트너도 없고, 심사역도 없고, DAO는 오로지 코드로 만들어진 규칙을 컴퓨터 프로토콜이 실행하는, 스마트계약서를 통해서 모든 투자 결정이 되는 humanless venture capital을 지향했다. 출시한 지 한 달 만에 DAO는 11,000명의 투자자로부터 1.5억 달러를 유치했는데 아마도 역사상 가장 크고 성공적인 크라우드펀딩 프로젝트로 볼 수도 있을 것이다. Vitalik Buterin과 같은 이더리움의 메인 개발자들은 앞으로 이더리움이 세상을 바꿀 것이라고 흥분을 감추지 못했다.

그런데, 이더리움이나 DAO도 기술적으로 완벽하지는 못했다. 왜냐하면, 6월 17일, 누군가 DAO를 해킹해서 5,000만 달러에 상당하는 이더를 훔쳐갔기 때문이다. 이더리움 개발자들은 결국 이 해커를 다시 해킹해서 훔쳐간 이더를 복귀하고 나머지 펀드를 모두 다른 스마트계약서로 옮겼다. 문제는 DAO의 특성상, 이 해커가 아직도 옮겨진 펀드에 대한 소유권을 행사할 가능성이 존재했다는 점이다. 실은, 이 문제를 해결할 방법은 간단하다. DAO의 코드를 다시 프로그래밍해서 다른 규칙이 적용된 새로운 이더리움 네트워크를 형성하면 된다 – 이게 포킹(forking)이다. 그러면 투자자들이 원하는 대로 투자금을 다시 투자자들에게 돌려줄 수 있다.

그렇게 하면 되지 않나? 문제가 있긴 있다. 그리고 이건 꽤 큰 문제이다. 이렇게 개발자들의 인위적인 개입으로 네트워크를 수정하는 건 이더리움의 근본적인 사상과 개념을 위배하는 행위이기 때문이다. 이더리움은 분산적이면서 분권화된 플랫폼으로 탄생했는데, 이는 그 누구도 중앙집권적 권력을 행사하여 이더리움 네트워크를 임의로 변경하지 못한다는 의미이다. 네트워크의 권력은 네트워크상 모든 사용자에게 균등하게 분배되어 있는데, 소수집단이 개입해서 문제를 고친다는 거 자체가 이 분산적 사상을 위배하는 것이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투자된 펀드는 스마트계약에 의해 특정 조건들이 충족되면 자동으로 집행되어야 하는데, ‘변질할 수 없는’ 성격을 가져야 하는 스마트계약서를 다수의 동의를 얻어서 임의로 변경하는 게 이더리움의 원칙을 위배한다는 의미이다.

스마트계약서를 변경할 수 없다는 ‘코드 순수주의자’와 코드를 변경해서 투자자들에게 돈을 환급하자는 두 이더리움 그룹의 논쟁은 한동안 지속되다가 결국 포킹을 통해 해킹 이전의 DAO로 돌아가서 투자금을 돌려주기로 했다.

많은 분들이 포킹(forking)에 관해서 물어보는데,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의 포킹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여기를 참고하면 된다. 이번 이더리움 포킹이 특이한 점은, 여러 개발자가 같은 소스를 기반으로 개발하다가 우연히 코드의 포킹이 발생한 게 아니라, 네트워크의 규칙을 인위적으로 변경할 목적으로 – 즉, 강제적으로 포킹을 유발하기 위해서 – 새로운 버전의 소프트웨어를 만들었다는 것이다.

포킹을 통해서 블록체인이나 이더리움의 규칙을 바꾸는 건 기술적으로는 어려운 게 아니지만, 한 번 포킹이 되면 – 특히 하드포킹 – 네트워크의 개념과 사상 자체가 바뀌기 때문에 이런 결정은 신중히 해야 한다. 재미있는 건 이 또한 네트워크의 사용자들이 결정한다는 점인데, 이는 마치 대통령 선거와도 비슷하다. 결국엔 국민이 투표를 통해서 대통령을 뽑지만, 이 결정에 동의하지 않는 국민이 생기기 마련이고, 이들은 불평하면서 계속 한국에 살거나 아니면 이민을 가는 경우도 있다. 이더리움이나 블록체인도 마찬가지이다. 포킹이 일어나면 이 전략과 방향에 대해서 동의하지 않는 반대파들은 네트워크를 떠난다. 얼마 전에 내가 블록체인의 크기에 대한 논쟁에 관해서 쓴 적이 있는데, 본질적으로 보면 이 또한 이더리움 포킹과 크게 다르지 않다.

현재 이더의 가격은 약 11 달러이다. DAO의 해킹, 포킹 등과 같은 큰 사건들 때문에 대부분 전문가는 이더의 가격이 폭락할 것이라고 예상했지만, 이더리움 커뮤니티는 이 상황을 상당히 잘 수습하면서 과학적인 접근과 개발 방법을 통해서 네트워크를 유지하고 강화하고 있다. 비탈릭 부테린과 이더리움 커뮤니티의 앞으로의 행보가 기대된다.

<이미지 출처 = https://diginomics.com/news/forking-ethereum/>

Trust Disrupted: 비트코인과 블록체인

TechCrunch에서 ‘Trust Disrupted‘라는 비트코인 관련 동영상을 자체적으로 시리즈물로 만들었는데, 나는 개인적으로 재미있게 봤다. 비트코인에 대해서 잘 모르는 분들도 이 동영상을 보면 비트코인, 블록체인, 가상화폐 등에 대한 개념은 쉽게 잡을 수 있지 않을까 싶다.

6편의 시리즈인데, 각 6분~8분이니까 그냥 지하철이나 버스에서 캐주얼하게 보면 재미있다. 이 글 밑에 각 에피소드를 embed 했으니까 여기서 직접 봐도 된다.

이 시리즈를 보면 비트코인 분야에서 꽤 유명한 사람들이 다 등장하는데(BTCChina의 Bobby Lee, USV의 Fred Wilson, Ethereum을 만든 Vitalik Buterin, 비트코인의 메인 개발자 중 한 명인 Gavin Andresen, 그리고 R3의 Charley Cooper가 그 대표적 인물들이다), 6편까지 다 본 후에 나는 비트코인과 블록체인이 정말 뭔가 엄청난 변화를 가져올 것이고 다시 확신할 수 있었다. 특히 1편 마지막 부분에서 R3의 대표 찰리 쿠퍼가 한 말은 굉장히 인상적이었다.

“우리는 2년 후에 기술이 가져올 변화에 대해서는 과대평가하는 성향이 있지만, 10년 후에 기술이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에 대해서는 과소평가하는 성향이 있습니다”

2년 전 비트코인이 처음으로 대중에게 알려지기 시작하면서 비트코인 열풍이 불었다. 신문과 미디어에서는 비트코인이 곧 화폐를 대체할 것처럼 떠들어댔지만, 아직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 세상이 기다렸던 그런 혁신이 일어나지 않으면서, 비트코인에 대한 관심은 시들시들해졌다. 하지만, 10년 후를 본다면 나는 비트코인과 블록체인이 정말로 엄청난 변화를 일으킬 것이라고 생각한다.

비트코인에 대해서 공부를 해보면, 단순한 기술보다 훨씬 깊은 의미가 있다는 걸 알 수 있다. 기술, 문화, 사상, 시스템, 화폐, 권력, 정치, 이 모든 게 여기에 포함되어 있다. 그래서 논란도 많고, 세상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두 집단인 실리콘밸리와 월가가 열광하면서 동시에 싸우고 있는 거 같다. 이게 제대로 자리를 잡고 구현이 된다면 또 다른 새로운 세상이 열리지 않을까 싶다.

1편: In the Beginning

2편: Mines and Miners

3편: In Search Of Itself

4편: Blockchain on the Rise

5편: Ethereum’s Blockchain

6편: Co-opt vs. Disrupt?

비트코인 가격 앞으로 어떻게 될까?

btc-chart2016년도 비트코인에는 조용한 한 해가 될 것 같지는 않다. 연초에 온갖 소문으로 인해 가격이 요동치다가 400달러 선에서 어느 정도 안정되는가 싶더니, 6월 Brexit 소식 이후 거의 800달러까지 상승했다가, 8월 Bitfinex 해킹 소식 발표 이후로 다시 500달러대로 하락했다. 그 와중에 7월에는 비트코인 채굴비용이 25 btc에서 12.5 btc로 반 토막(=halving) 나기도 해서 다양한 추측이 시장에 돌았지만, 비트코인은 여전히 탄력있게 잘 버티고 있는 거 같다. 9월 11일 자로 비트코인 가격은 약 630달러로 서서히 다시 상승하고 있고, 비트코인 소유자 및 사용자로서 나는 연말까지 이 랠리가 지속하여 1,000달러를 돌파하길 기대하고 있다.

앞으로 비트코인 가격은 어떻게 될까? 이런 질문 하는 거 자체가 우습지만, 많은 전문가의 이론, 그리고 많은 투자자와 투기꾼들의 기대심리를 종합해 보면 앞으로 큰 천재지변이나 외부 충격이 없으면 비트코인의 가격은 오를 확률이 높다.

일단 비트코인 ETF 상품들이 곧 공식적으로 승인될 움직임이 보인다. 비트코인 ETF 상품인 SolidX Bitcoin Trust와 영화 ‘소셜네트워크’로 유명해진 윙클보스 쌍둥이들의 Winklevoss Bitcoin Trust가 7월에 미 증권거래위원회에 등록 신청을 했는데, 이 2개 중 하나라도 승인이 되면 비트코인과 연관된 주식을 사고, 팔 수 있으니까 비트코인의 유동성이 크게 개선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ETF 상품이 출시되면 이와 연관된 자산들의 유동성이 확보되면서 가격이 오르는 경우가 많다고 하는데 금, 은, 천연가스 등이 좋은 예다.

블록체인 기술의 발전 또한 비트코인 가격 상승에 한몫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이와 관련해서 지난번에 최대한 이해하기 쉽게 쓴 적이 있는데, 현재 블록체인이 초당 처리할 수 있는 거래 수는 비자 네트워크에 비교하면 너무 적다. 그리고 이 용량을 확장하는 거에 대해서는 비트코인/블록체인 커뮤니티의 입장들이 너무 달라서 합의를 못 하는 상태이다. 하지만, 블록체인이 업그레이드가 필요하다는건 대부분 동의하고 있어서 다수가 합의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다면 비트코인의 유동성이 좋아지면서 가격도 오르지 않을까 예상된다.

국제 금융 시장을 예측하는 건 힘들지만 연이은 악재로 인해서 시장이 불안해지면 많은 투자자가 비트코인과 같은 safe haven 투자 상품을 선호할 것이고, 더욱더 많은 정부에서 비트코인과 같은 디지털 화폐를 인정하기 시작하면 비트코인 가격은 고속 상승할 것으로 예상한다.

그렇다고 모든 사람이 비트코인 가격 상승에 동의하는 건 아니다. 그동안 워낙 up and down이 심했고, 아직도 다양한 실험이 진행되고 있는 단계라서 외부 충격에 상당히 민감한 건 사실이다. 시간이 흐르면 자연히 알게 되겠지.

이미 와 있는 미래

“미래는 이미 와 있다. 단지 골고루 퍼져있지 않을 뿐이다.” -윌리엄 깁슨

공상과학 소설가 William Gibson의 명언이다. 안철수 씨가 대선 출마 선언문에도 인용했고, 잭도시도 인용을 해서 더욱더 유명해졌다. 요새 나는 이 말을 자주 떠올린다. 특히나 미래지향적인 기술이나 비즈니스를 검토하면서 “이거 분명히 될 텐데, 과연 언제 현실화 될 수 있을까?”라는 의문을 가질 때마다 이 말을 떠올리면서 냉정하지만, 어느 정도의 주관을 갖고 곰곰이 생각해본다(참고로, “이게 과연 될까?”라는 의문을 갖는 비즈니스들도 많지만 이런 비즈니스는 또 다른 부류이다).

우리가 굳게 믿는 비트코인도 이 카테고리에 속한다. 아예 안 될 거라는 투자자들도 많지만 나는 비트코인이나 블록체인은 대량 상용화가 될 것이라고 믿는다. 하지만, 그 시기에 대해서는 확실치 않다. 가상현실 또한 마찬가지이다. 대부분 전문가나 투자자들은 앞으로 VR의 시대가 활짝 열릴 거라고 하지만, 선뜻 투자는 하지 않고 있다. 5년 후가 될지, 50년 후가 될지 그 시기에 대해서는 각각 의견이 다르기 때문이다. 얼마 전에 챗봇에(bot) 대해서 공부를 좀 해봤는데, 이 또한 비슷한 느낌을 받았다. 페이스북이 챗봇에 대해서 발표했을 당시만 해도 앞으로 봇이 사람을 대체하고, 이게 미래이기 때문에, 모든 개발자가 이 분야로 뛰어들 거 같았지만, 아직 봇의 현실은 걸음마 단계를 벗어나지 못한 거 같다. 봇과 인간이 정상적인 대화를 할 수 있을 거라는 많은 스타트업의 약속이 일상생활 일부가 되려면 아주 오랜 시간이 걸릴지도 모른다.

이 분야 많은 사람이 참고하는 가트너 그룹의 Technology Curve에 의하면 모든 새로운 기술은 비슷한 진화 과정을 거친다고 한다. 새로운 기술이 시장에 나오고, 믿을만한 전문가들이나 기업들이 이 기술을 밀어주고 홍보를 하면 거품이 끼면서 엄청난 hype가 생긴다. 하지만 이런 기술들이 초기에 한 약속들을 지키지 못하고, 대중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서 곧이어 실망의 과정이 시작된다. 대량 투자가 중단되고, 신기술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던 많은 프로젝트가 종료되고, 개발을 진행하던 회사들이 문을 닫는 이 시기에는 “이거 사기 아냐”라는 의심까지도 나온다. 물론, 사기라면 거기서 끝나지만 그렇지 않고 정말로 뭔가 있는 기술이라면 바닥을 찍은 바로 이 시점부터 본격적인 개발과 가속이 붙으면서 대중의 동의를 받을 수 있는 상용화 과정이 시작된다. 위에서 언급한 기술들이 모두 이 단계에 와 있지 않을까 싶다.

이런 미래의 기술들을 현실로 만들기 위한 조건들에 대해서도 각각 의견들이 다르지만, 기본적으로 대기업들의 장기적인 투자, 좋은 인력들로 구성된 개발자 네트워크의 활성화, 다양한 실험을 진행하기 위한 개방된 코드 베이스의 발전, 기술의 발전을 가능케 하는 하드웨어와 클라우드 인프라의 발전 등이다. 그리고 소위 말하는 killer app의 등장이다 – 마치 포케몬고가 지난 수년 동안 되니 안 되니 말이 많던 AR을 대중 속으로 끌고 들어왔던 거와 같이. 어떻게 보면 우리 같은 투자자들은 굉장히 운이 좋고 특권을 누리고 있는 소수집단이라고 생각을 하는 게, 이런 미래의 기술들을 남들보다 훨씬 더 먼저 접하기 때문이다. 큰 힘과 자본이 있는 투자자들은 미래를 현실로 만들 수 있는 능력까지 갖추고 있다.

1997년 뉴욕 타임스지에는 다음과 같은 기사가 실렸다. “컴퓨터가 바둑에서 인간을 이기려면 100년이 걸릴 것이다. 어쩌면 이보다 더 오래 걸릴 것이다.” 당시만 해도 우리는 인공지능은 먼 미래의 이야기라고 생각을 했다. 그런데, 19년 후인 2016년도에 컴퓨터는 세계 최고의 바둑기사들을 이겼다.

어쩌면 우리는 이미 미래에 살고 있을지도 모른다. 다만 아직 소수만 미래에 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