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cago 대학은 공식적인 Ivy League에 속하는 학교는 아니지만, 서부의 스탠포드 대학과 더불어 많은 사람들이 Ivy League 대학들 보다 높게 평가하는 학교 중 하나이다. 특히 경제학부는 그 어떤 대학보다 우수한 강사진 (Robert Lucas와 같은 노벨 수상 경제학자)과 역사를 자랑하고 있으며, 우리가 아는 많은 경제학 이론이 시카고 대학 경제학과에서 탄생하였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시카고 대학의 경영대학원인 Chicago GSB는 하버드/스탠포드/워튼과 같은 top 3 MBA 스쿨로 객관적으로 ranking 되지는 않지만 (시카고 MBA들은 여기에 동의 하지 않을수도 있다 ㅎ) top 10에는 해마다 ranking되는 아주 우수한 경영 대학원이다. 어제부로 이 Chicago GSB가 Chicago Booth School of Business로 이름을 바꾸었다. Dimensional Fund Advisors라는 mutual fund의 CEO이자 시카고 MBA 동문 (class of 1971) David Booth가 자그마치 3,900억원이라는 거금을 한방에 이 학교에 기부를 하였으며, 역사상 전례없는 액수의 기부금과 David Booth를 honor하기 위하여 Chicago 대학도 그 동안 고수하던 GSB라는 이름을 버리고 Booth School of Business로 개명을 한 것이다. 이 액수는 2006년도에 Nike의 회장인 Phil Knight이 모교인 스탠포드 경영대학원에 기부하였던 그 당시 경영대학원에 기부한 금액치고는 최고였던 1,100억을 3배 이상이나 능가하는 금액이다. David Booth는 업계에서는 상당히 알려지지 않은 low profile한 인물이다. 27년 전에 Dimensional Fund Advisors를 설립한 이후로 한번도 공개석상에 나와서 얼굴을 비추거나 말을 한적이 없었는데, 그렇다고 실적이 low profile이었던거는 절대 아니다. 1981년에 시작된 이 mutual fund는 현재 300개의 다른 fund에 약 156조원의 자산을 관리하고 있는 상당히 탄탄한 fund이다 (나도 전혀 모르다가 최근 몇일 동안 알게된 사실이다).

Chicago Booth School of Business 웹사이트에 들어가면 이번 기부와 관련해서 다음과 같은 말이 나온다.
“In honor of David Booth’s generous financial contributions and spirited affirmation of our philosohpy, we are honored – and privileged – to add his name to our nameplate. David Booth has always credited Chicago GSB for his success. Now, with his unprecedented gift, David has ensured that we will remain not just a business school, but a business FORCE.”

미국인들을 보면 부러운 점들도 있고 “저런점은 한국 사람들이 훨 낫다”라고 생각하는 점들이 있는데, 미국인들의 기부문화를 보면 항상 나는 부러움을 금치 못한다. 그리고 언제쯤이면 우리나라 부자들은 주는것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을까라는 질문을 하기도 한다. 물론 절세와 관련하여 기부를 많이 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어찌되었던간에 피땀흘려 평생을 일해서 모은 돈을, 그것도 억단위의 거금을 선뜻 나랑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남한테 준다는거는 누가 생각해도 쉽지는 않다. Booth 선생과 같이 모교에 기부를 하는 한국 사람들은 억지로 생각을 해봐도 떠오르는 사람이 없으니 참 아쉽다. 고대앞에서 평생 떡복기를 팔아서 모은 돈 전액을 대학교에 기부하는 할머니들에 대한 이야기는 가끔씩 뉴스에서 보지만, 이렇게 어렵게 사시는 분들은 그냥 본인들한테 이 돈을 투자하고 좀 사는 기업가들이 모교에 기부하면 어디가 덧나냐? 돈 벌어서 죽을때 무덤까지 싸들고 가는것도 아닌데 도대체 이 돈으로 다 뭐하는지 모르겠다. 자식들한테 물려주더라도 많이 남을텐데…(그러면 증여세라도 제대로 내던지).

여기서 reality check를 한번 하고 넘어가자. 솔직히 나는 부자의 생각에 대해서는 잘 모른다. 한번도 이 사람들과 같은 거금의 돈을 만져본 적도 없고, 기부에 대해서 고민을 할 정도의 위치 근처까지 가본적도 없다 🙁 하지만, 나에게 사람들이 “너 같으면 그 위치에서 1,000억대의 돈을 선뜻 기부하겠냐?” 라고 묻는다면 나는 한치의 망성일 없이 “Yes”라고 대답할 수 있다. 나는 철저한 실용주의자이자 meritocracy의 강력한 지지자이다. 즉, 이 사회에서 열심히 일한 사람들은 성공해야하고 그렇지 않은 사람들은 성공하면 안된다라는 생각을 강력하게 가지고 있는 사람이다. 길거리에서 거지들을 만나면 동정의 25센트를 주기 보다는 그냥 무시하고 지나가는 스타일인데 기본적으로 “그 거지들은 스스로 노력하지 않아서 그렇게 된건데 왜 내가 개같이 일해서 벌은 돈을 저 사람들한테 줘야하냐”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나의 성격에 대해서 냉정한 이기주의자라고 욕을하는 사람들도 많지만 that’s just the way I am and I never want to change who I am. 하지만, 학교나 사회는 오늘날의 나를 인격적으로, 그리고 학문적으로 훈련 시켜준 institution이기 때문에 반드시 내가 성공하고 벌은만큼은 돌려줘야한다는게 내 생각이다. 대부분 사람들이 학교는 시간낭비이고 학교에서 배운 것 중 일하면서 써먹을 수 있는게 하나도 없다는 생각을 하고 나도 이 부분들에 대해서는 동의를 하기도 한다 (그렇게 때문에 학교를 나왔지만 ㅎ). 하지만, 곰곰히 생각해보면 학교가 없었으면 내가 과연 여기까지라도 올 수 있었을까? 학교에서 만난 사람들, 제대로 알고 있지는 않지만 졸면서 들었던 강의 내용들, 학교를 다니면서 경험하였던 여러가지 과정들 등등…이 모든것들의 결정체가 오늘날의 인간 배기홍이 아닌가 싶다.

나도 빨리 잘되어서 David Booth와 같이 모교에 기부하는 즐거움을 맛 볼수 있었으면 좋겠다. 그리고 한국의 기업인들도 기부의 즐거움에 대해서 빨리 깨달을 수 있었으면 좋겠다. 인도네시아 쓰나미 사태 해결을 위해서 유명한 F-1 자동차 레이서인 Michael Schumacher가 선뜻 100억을 기부하였는데, 삼성그룹의 이건희 회장도 100억원을 내놨다고 한다. 그것도 내가 알기로는 개인자산이 아닌 회사돈으로 (물론 회사돈이 본인돈이지만…)이었는데 이거 뭔가 좀 문제가 있는거 아닌가?

하여튼, kudos to Chicago MBA alumni/students! 이렇게 훌륭한 선배를 둔 시카고 MBA 학생들이 부럽네. 이런 선배들을 보고 공부하는 후배들도 분명히 좋은 일들을 많이 할거라고 믿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