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ilanthropy

The Giving Pledge Korea

2010년도에 포춘지에서 워런버핏과 빌게이츠가 기부 관련 재미있는 모임을 했다는 기사를 읽고, 이 기사를 요약한 걸 나는 블로그에 포스팅했었다:
1/ The $600 Billion Challenge – Part 1
2/ The $600 Billion Challenge – Part 2

2009년 5월 5일, Rockefeller University에서 이와 관련된 첫 만남이 이루어졌고, 14명의 부호들이 이 만찬에 참석했다. 이게 바로 The Giving Pledge 운동의 시작이다.

지난주에 배달의 민족 창업가 김봉진 대표님의 Giving Pledge 서약 소식을 듣고, 10년도 넘은 이 글을 다시 읽었다. 당시에는 40명의 서약이 웹사이트에 올라가 있었는데, 그때 한국인의 서약은 단 한 개도 없었고, 그 이후로 218개의 서약이 올라올 때까지도 한국인은 한 명도 없었다. 그리고 김봉진 대표 부부가 219번째 서약을, 한국인으로는 최초로 이 웹사이트에 올렸다.

감동까진 아니지만, 나는 개인적으로 참 즐겁고 유쾌했다. 막 친하진 않지만, 개인적으로 아는 분이 쉽지 않은 결정을 했다는 점, 한국에서도 Giving Pledger가 나올 수 있다는 걸 증명한 점, 내가 종사하는 이 tech 분야에서 이런 분이 나왔다는 점, 그리고 앞으로 더욱더 많은 후배 창업가들이 김봉진 대표의 발자국을 따를 수 있다는 희망적인 시그널. 이 모든 게 참으로 감사하게 느껴졌다.

김봉진 대표님 부부의 Giving Pledge를 보면, 이런 내용이 있다.

“마지막으로 10년 전 창업 초기 20명도 안 되던 작은 회사를 운영할 때 빌게이츠와 워런버핏의 기사를 보면서 만약 성공한다면 더기빙플레지 선언을 하고 싶다는 생각을 막연하게 꿈꾸었는데요. 오늘 선언을 하게 된 것이 무척 감격스럽습니다. 제가 꾸었던 꿈이 세상을 변화시키고자 도전하는 수많은 창업자들의 꿈이 된다면 더없이 기쁠 것 같습니다. 그렇게 누군가 이 이야기를 계속 이어주시길 바랍니다.”

한국에서도 많은 분이 이 이야기를 계속 이어주길 진심으로 바란다.

Thank you Bongjin and Bomi.

빌게이츠와 글로벌 헬스

작년 10월에 스탠포드 의과대학 학과장 로이드 마이너가 빌 게이츠를 인터뷰한 동영상을 얼마 전에 봤다. 짧지 않은, 거의 1시간 분량의 코비드19와 글로벌 헬스케어가 직면한 과제에 대한 내용인데, 꽤 괜찮았다. 특히, 나는 헬스케어 분야에 대해서 전혀 모르기 때문에, 빌 게이츠가 오랫동안 게이츠 재단을 운영하면서, 단순히 한 나라나 지역이 아닌, 전 세계를 대상으로 인류가 직면한 건강, 위생, 질병 관련 과제를 해결하는 노력을 하면서 배우고, 실수했던 내용에 대해 특유의 담백한 스타일로 이야기 하는 게 꽤 흥미롭고 도움이 됐다.

내용을 모두 나열할 순 없지만, 동영상을 본 후에도 머릿속에 남는 몇 가지 내용이 있다. 일단, 게이츠 재단과 같은 곳에 기부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마이크로소프트라는, 어쩌면 전 세계에서 가장 성공한 회사 중 하나를 창업하고, 오랫동안 경영하면서 배우고 몸에 익힌 체계적인 방법으로 재단을 운영하고 있었고, 다른 국가 기관이나 재단과는 달리 글로벌 헬스 문제를 영리사업을 운영하듯 접근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 실은, 빌 게이츠의 이런 접근 방법에 대해서는 오래전에 내가 이 블로그에 쓴 적이 있다.

막강한 자금을 투입해서 아프리카 같은 최저개발국의 사망률을 낮추는 문제에 대해서도 게이츠 재단은 다양한 요소를 고려했다고 한다. 실은, 천 달러면 한 생명을 살릴 수 있어서, 단순히 돈을 많이 투자하면 많은 생명을 살릴 수 있고, 생존율을 높일 수 있지만, 못 사는 나라에서는 생존율이 높아지면 오히려 과잉인구로 인한 식량부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식량부족문제가 발생하면 아무리 생존율이 올라가도 결국엔 기아로 더 많은 인구가 죽을 수 있어서 이 문제를 조금 더 깊게 보니, 못 사는 나라에서는 생존율이 낮기 때문에 오히려 출산을 많이 하는데, 생존율이 올라가면, 출산율이 자연스럽게 떨어지고, 이렇게 되면 갑작스러운 인구 증가로 인한 식량 부족 문제가 발생할 확률이 적다고 판단했다고 한다. 이렇게 객관적인 데이터에 대한 확신이 생길 때 게이츠 재단은 과감한 투자를 결정한다고 한다.

특정 문제를 접근할 때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고, 더 잘하는 재단이나 기관이 있으면 그쪽에서 하는 걸 충분히 벤치마킹하는 이 접근이 딱 사업을 하는 방법과 흡사하다. 이 동영상을 보면 한국에 대해서도 잠깐 언급하는데, 한국이 다른 나라보다 더 빨리 대응했고, 적극적인 코비드19 검사를 실행해서 수치를 낮추고 잘 관리했다는 내용이다. 미국은 이 팬데믹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했는데, 앞으로 더 큰 전염병이 올 수도 있기 때문에, 코비드 19 대응을 이번에 잘 못 한 나라의 관계자들은 팬데믹이 오기 전에 준비하지 못한 부분, 팬데믹 기간 동안 잘 못 한 부분, 그리고 팬데믹 이후에 잘 못 한 부분을 제대로 분석해서 다음 전염병이 오면 그땐 제대로 행동해야 한다는 조언도 했다.

빌 게이츠가 지적하는 또 다른 재미있는 사실은, 인류의 질병과 건강 관련 문제는 단순히 위생과 건강의 문제가 아니라, 이보다 훨씬 더 큰 경제, 그리고 사회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점이다. 그는 “건강과 질병은 DNA code 보다 zip code(우편번호)와의 연관성이 더 높다”라는 말을 하는데, 이 말이 계속 뇌리에 남는다. 미국의 경우, 코비드 19에 걸리고 사망한 수치를 보면 백인보단 유색인종이 더 높고, 부유한 지역 보다 못 사는 지역이 훨씬 더 큰 타격을 받았다고 하는데 이게 우리가 살고 있는 슬픈 현실인 것 같다. 그래서 게이츠 재단과 같은 곳은 글로벌 헬스케어 과제를 단순히 의학이나 생물학적인 관점에서만 접근하기보단, 경제적, 사회적, 그리고 정치적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이렇게 해야 하기 때문에 이게 남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더 복잡하고 큰 문제라고 하는 것 같다.

나는 빌 게이츠의 팬이다. 그가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독점적 지위를 얻기 위해서 작은 경쟁사를 짓밟고, 상도에 어긋나는 행위를 했다는 건 2년 넘게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일해 봤기 때문에 나도 잘 알고 있다. 하지만, 그렇게 해서 번 돈을 이렇게 선뜻 인류의 미래를 위해서 투자하는 자세는 우리 모두 본받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조금 더 넓게 생각해보면, 우리가 사는 세상에는 빌 게이츠 같이 인류와 사회를 위해서 좋은 일을 하는 사람들이 참 많은 것 같다. 짜증 나는 일도 많은 세상이지만, 그래도 이런 사람들이 있어서 우린 모두 운이 좋은 것 같다.

Full 동영상은 여기서 볼 수 있다:

워렌 버핏 바이블

아마존 책 분야에서 ‘Warren Buffett’으로 검색해보면 1,000권 이상의 결과가 나온다. 이만큼 워렌버핏은 많은 분께 연구대상이자 배울 점이 많은 비즈니스맨이다. 나도 버핏의 팬이고, 워렌버핏 관련 책을 꽤 많이 읽었다. 이번 설 연휴에 ‘워렌버핏 바이블(Warren Buffett on Business)’을 읽었는데, 그동안 내가 알던 내용을 다시 복습할 수 있었고, 새로운 내용을 배울 수 있어서 너무 좋았다. 나는 이 블로그에 서평을 거의 안 쓰지만, 책 내용이 좋아서 몇 자 적어본다. 마지막으로 읽은 버핏 관련 책이 ‘워렌버핏의 주주서한’인데, 이 책도 굉장히 재미있게 읽었다. 워렌버핏 바이블은 워렌버핏의 주주서한이 출간 된 이후의 주주서한이 정리되어 있고, 해마다 오마하에서 열리는 버크셔해서웨이의 주주총회에서 주주들이 현장에서 버핏과 파트너 찰리 멍거에게 던진 질문과 이에 대한 답변을 정리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더 재미있게 읽었다.

내가 가장 좋아했던 부분은 “7장 | 버크셔의 기업 문화”와 “14장 | 학습과 삶의 지혜”인데 개인적으로 봤을 때 여기서 버핏의 명언들이 가장 많이 나온다. 버핏에 대한 책을 처음 읽을 때는 일을 하는 방법과 일을 대하는 태도의 정석을 배울 수 있는 비즈니스 교과서라고 생각했는데, 계속 읽을수록 일 보다 오히려 인생의 지혜를 배울 수 있는 인생 바이블이라는 생각이 든다. 이 두 부분에서 나오는, 누가 봐도 너무 당연하지만, 대부분 실천하지 못 하는, 그래서 너무나 좋아하는 문구들이다:

1/ 우리에게 필요한 건 ‘사람들에게 잘 어울리는 원칙’이 아니라 ‘원칙에 잘 어울리는 사람들’입니다.
2/ ‘우리가 어떤 사업을 하는가?’는 중요하지만, ‘우리가 어떤 사업을 거절하는가?’는 더 중요합니다.
3/ 우리가 완벽할 수는 없지만 완벽해지려고 노력할 수는 있습니다.
4/ 우리가 돈을 잃을 수는 있습니다. 심지어 많은 돈을 잃어도 됩니다. 그러나 평판을 잃을 수는 없습니다. 단 한치도 잃어서는 안 됩니다.
5/ “남들도 다 그렇게 해.” 이 말이 도덕적 판단을 평가할 때 나온 말이라면 절대로 받아들일 수 없습니다.
6/ 정당성이나 적법성 때문에 주저하는 일이 있으면 내게 전화해주세요. 그러나 그렇게 주저할 정도라면 경계선에 매우 근접했다는 뜻이므로 포기해야 합니다. 이럴 경우 그냥 경계선을 벗어났다고 생각하고 잊어버리세요.

버크셔해서웨이라는 기업은 너무나도 멋있고, 지금까지의 눈부신 실적이 이를 증명해준다. 기업을 운영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다 부러워할 만한 요소를 너무 많이 갖고 있는 회사다. 하지만, 버크셔해서웨이보다 훨씬 멋있는 건 이 회사의 문화를 만든 워렌버핏과 그의 삶을 바라보는 태도와 인생에 대한 철학이다. 경영인이든 비경영인이든 모든 사람이 배울 점이 너무 많다고 생각한다.

버크셔해서웨이 주주총회에서 어떤 주주가 다음과 같은 제안을 했다고 한다.
“버크셔해서웨이는 필요 이상의 자금을 보유 중이고, 주주들은 버핏 같은 억만장자가 아니므로, 이사회는 매년 상당액의 배당 지급을 검토한다.”

그래서 이 제안에 대해서 버크셔해서웨이 A주와 B주 주주들을 대상으로 투표가 진행됐는데, 투표의 98%가 이를 반대했단다. 즉, 본인들에게 배당 지급하지 말고, 그냥 모두 좋은 기업에 재투자하라는 의미다. 도대체 이 세상 어디에 이런 주주들이 또 있을까? 버크셔해서웨이이기에, 그리고 워렌 버핏이기에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그렇다고 워렌버핏이 항상 옳진 않았다. 기술회사와 기술주를 철저히 무시하고 배제하던 버핏도 아마존과 구글을 완전히 놓친 점을 공개적으로 후회했는데, 최근 들어 기술주를 보는 시각을 바꿨고, 작년에 아마존 주식을 꽤 많이 구매했다. 또한, 우리 같은 초기 벤처 투자자는 돈 잃을 위험을 감수하는 게 일상생활의 일부지만, 버핏은 돈을 벌려고 돈 잃을 위험을 감수하는 것은 미친 짓이다라는 말을 자주 강조한다. VC 투자랑 버핏 투자는 많이 다르긴 한 것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철학과 태도는 배울 점이 너무 많아서, 이 책은 모든 분들에게 강추한다.

과거 워렌버핏 관련 포스팅:
버핏의 기업지배구조
워렌 버핏처럼 하라
워렌 버핏의 조언과 스타트업

무시하고, 비웃고, 싸우기, 그리고 이기기

culture-1292900_640마하트마 간디는 의미 있는 삶을 살았고, 수많은 명언을 남겼는데, 이분의 삶과 투쟁을 가장 잘 요약한 말은 이 말인 거 같다:

“First they ignore you, then they laugh at you, then they fight you, then you win(처음엔 사람들이 당신을 무시할 것이고, 그다음엔 당신을 비웃을 것이고, 다음엔 당신과 싸울 것이고, 그러고 나서 당신은 이길 것이다)”

이 말의 뜻은 내가 설명하지 않아도 너무 잘 알 것인데, 창업을 생각하고 있거나, 스타트업을 운영하는 창업가라면, 잘 기억하고 명심하면 좋을 거 같다. 왜냐하면, 현재 이분들의 현실을 간디의 이 말이 거의 100% 그대로 보여주고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처음에는 모르니까 아무도 신경 쓰지 않다가, 이걸 알게 되면 다들 잘 안 될 것이라고 비웃는다. 그런데 죽지 않고 잡초같이 잘 자라면, 그땐 너도나도 따라 하고, 돈 많으면 돈으로 누르려고 하고, 덩치가 크면 협박하고, 언론과 친하면 악성 루머를 퍼뜨리고, 온갖 방법을 동원해서 싸우려고 한다. 여기서 무너지는 스타트업도 많지만, 잘 버티다가 결국엔 성공하는 회사와 창업가도 가끔 본다. 우리 투자사들도 모두 무시-비웃음-투쟁-승리, 이 4단계 중 어딘가에서 현재 고생하고 있을 것이다.

이런 현상을 최근에 가장 잘 보여준 사례가 바로 식물성 단백질 제품이 아닐까 싶다. 미국을 시작으로 전 세계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는 ‘가짜 고기’를 만드는 최근에 상장한 Beyond Meat와 아직은 비상장 회사지만 투자자들로부터 러브콜을 받는 Impossible Foods도 인제야 미디어의 주목을 받고 있지만, 그 시작은 매우 소박하고, 주류 동물성 단백질 회사들로부터 무시와 비웃음을 당했다. 아마도 육류회사들은 이런 대체 단백질 회사들이 있다는 사실조차 처음에는 몰랐을 것이고, 참신하기 때문에 미디어에서 조명을 비추기 시작하면서 대중이 조금씩 알게 되자, “식물성 단백질”이라는 말 차제가 말이 안 된다고 무시했다. 2009년도에 LA에서 창업된 Beyond Meat는 2014년에 Beast Burger라는 정말 맛없는 식물성 햄버거 패티를 처음 출시하면서 앞으로 가축 도살을 완전히 종료시키겠다고 선언했는데, 미국축산협회 임원들은 미친 소리라면서 욕하고 비웃었던 게 생각난다.

하지만, 작고, 빠르고, lean 한 스타트업의 특성을 살려서 Beyond Meat는 계속 빠르게 실패하고, 테스트하고, 실행하면서, 아직 갈 길이 멀지만, 실제 고기와 맛이 꽤 근접한 가짜 고기를 만드는 데 점점 성공에 가까워지고 있고, 그 힘든 여정에 Impossible Foods가 조인하면서, 계속 이 산업을 키우기 시작했다. 실리콘밸리가 움직이고, David Chang과 같은 유명한 쉐프도 움직이기 시작하자, 축산협회는 그제야 이게 생각보다 심각한 위협이 될 거라는 걸 감지했다. 처음에는 무시하고, 비웃었지만, 이제는 방해하고 싸우기 시작했다. 2019년도에 미국 30개 주의 공무원들은 ‘전통적’인 방법으로 태어나고, 사육되고, 도살되지 않은 고기로부터 나오지 않은 단백질에 “고기, 버거, 소세지, 터키 또는 핫도그”라는 명칭을 붙이지 못하게 하는 법안을 발의했다. 물론, 축산협회의 엄청난 로비가 있었을 것이다. 이 30개 주 중 7개 주는 이미 이 법안을 통과시켰고, 미주리에서는 식물성 단백질 제품에 “고기”라는 말을 사용하면, 벌금 100만 원 이상과 최대 1년 징역까지 살 수 있다.

이 싸움에서 과연 식물성 단백질 회사들이 이길 수 있을지는 모르겠다. 축산협회는 너무나 경제적, 정치적으로 힘이 센 조직이라서 수백 년 동안 본인들한테 말 그대로 캐시카우(=cash cow) 역할을 해 준 동물성 단백질 비즈니스가 타격받는 걸 가만 두고 보지 않을 것이다. 그런데, 또 재미있는 사실은 미국 최대 육류가공업체 Tyson Foods나 Smithfields Foods와 같은 회사는 양다리를 걸치면서, 오히려 본인들도 식물성 단백질 제품을 출시해서 조심스럽게 마케팅하고 판매를 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실은, 식물성 단백질 산업뿐만 아니라, 그 어떤 산업이라도 기존에 없던 새로운 무엇인가가 등장을 하면, 기존 플레이어들과 항상 이런 과정을 거치면서 갈등이 생긴다. 당장 한국에서도 택시연합회와 타다가 이런 “무시, 비웃음, 싸움” 과정을 반복하고 있지 않은가. 다윗과 골리앗이 싸우면, 실은 성경에서나 다윗이 이기지, 현실에서는 골리앗이 항상 이긴다. 하지만, 가끔, 아주 가끔, 아주 끈질기고 강인한 다윗이 등장해서 골리앗을 이기는 경우도 우린 경험한다. 지금은 무시당하고, 비웃음당하지만, 계속 버티면서 내 갈 길을 가다 보면, 어쩌면 이길 수도 있을 것이다.

<이미지 출처 = Pixabay>

교육의 재정의

최근 알리바바의 마윈이 곧 사업에서 은퇴하고, 교육 사업에 전념할 것이라는 발표를 했다. 과연 그가 알리바바를 무에서 만든 것처럼 교육 사업도 잘할지는 두고 봐야겠지만, 충분히 큰 변화를 만들 수 있는 경험, 의지, 그리고 자본이 마윈에겐 있기 때문에 전 세계가 그에게 거는 기대는 크다. 마윈 그 자신도 알리바바를 창업하기 전에 영어 선생님 이었으니, 학교 시스템이 얼마나 망가졌는지는 누구보다 잘 알 것이다. 마윈의 이런 결심에 큰 영향을 준 건 빌과 멜린다 게이츠가 재단을 통해서 하는 다양한 시도인데, 한국에도 사업을 통해 부를 창출한 선배 창업가들이 한국의 고장 난 교육 시스템을 고치려는 움직임이 보인다. 다 긍정적인 신호다.

빌 게이츠와 마윈만큼 교육에 관심이 많은 Fred Wilson은 ‘Reinventing Education‘이라는 글에서 교육 시스템을 완전히 새로 설계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가 필요하다고 한다. 일단, 값싸고 질 좋은 교육이 모두에게 공평하게 접근 가능해야 하며, 또 하나는 기업이 인재를 채용할 때 사용하는 전통적인 교육의 기준을 바꿔야 한다고 한다. 나는 교육 전문가는 아니지만, 전적으로 동의한다. 이미 많은 창업가가 사업을 통해 더 질 좋고, 더 싸고, 더 접근성이 좋은 교육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기술의 발전과 함께 이런 움직임은 가속화될 것이고, 부자든 가난하든, 앞으로 전 세계 모든 사람이 같은 수준의 교육을 받을 수 있는 날이 오지 않을까 싶다.

나는 두 번째 이슈가 더 큰 문제라고 생각한다. 특히, 한국같이 출신 학교와 학벌 자체를 교육 수준과 동일하게 생각하는 사회에서는 명문대 나온 사람들이 비명문대나 지방대 나온 사람보다 모든 분야에서 특혜를 받는다. 또는, 채용에서는 대졸이 고졸보다 조건 없는 우위를 갖게 된다. 하지만, 이제 조금씩, 아주 조금씩, 기업이 인재를 채용할 때 수십 년 동안 적용하던 전통적인 기준을 바꾸고 있다. 과거에는 대졸, 또는 명문대 졸업이 아니면, 아예 채용 대상에서 제외돼서 면접의 기회조차 갖지 못했지만, 점점 학벌-교육-지식-업무능력의 상관관계가 매우 약하다는 걸 인지하면서, 대기업도 서서히 다른 시각을 갖게 되는 걸 느끼고 있다. 물론, 시간이 걸리겠지만, 결국 바뀔 것이라고 생각한다.

스트롱 투자사만 해도 그렇다. 대부분 대학을 나오긴 했지만, 명문대 출신은 별로 없다. 우리 투자사 대표 중 고졸도 있다. 우린 투자할 때 창업가의 학벌을 절대로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실은, 나는 우리 투자사 대표들의 출신 학교도 잘 모르고, 미팅할 때, “학교 어디 나왔어요?” 물어보지도 않고, 솔직히 별로 관심도 없다. 왜냐하면, 출신 학교와 비즈니스 능력은 상관관계가 없다는 걸 항상 피부로 느끼기 때문이다. 명문대 출신 창업가들이 사업을 잘하는 경우도 많지만, 비명문대 출신 창업가들이 사업을 잘하는 경우도 똑같이 많다. 이들의 공통점은 학벌이 아니라 업무능력, 지식, 그리고 호기심이다.

하지만, 나는 ‘교육’ 자체의 중요성은 항상 강조한다. 여기서 내가 말하는 교육은 꼭 학교에서 선생님이나 교수님한테 뭔가를 배우고 습득하는 게 아니다. 과거에는 그랬지만, 이제 세상이 많이 변했다. 좋은 교육은 오히려 학교 밖에서 습득하는 게 훨씬 쉽다. 책, 구글, 유튜브, 수많은 인터넷 무료 콘텐츠, 사업현장, 길거리 등, 본인이 맘만 먹고 의지와 호기심만 있다면 학교에 가지 않고도 웬만한 전문가보다 더 훌륭한 지식으로 스스로를 교육할 수 있다. 인터넷에 얼마나 많은 정보가 있으면 구글에서 검색해서 열심히 공부하면 노벨상도 탈 수 있다는 농담까지 하겠는가. 우리 투자사 대표나 CTO도 대학에서 컴퓨터공학을 공부한 사람들은 별로 없다. 그냥 스스로 코딩을 배운 분들이 훨씬 많고, 어떤 분들은 대학도 안 가고 그냥 중학교 때부터 책 보고 프로그래밍을 배웠다.

모두가 원하는 만큼 빠르진 않지만, 교육의 재발명과 재정의는 현재 진행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