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알리바바의 마윈이 곧 사업에서 은퇴하고, 교육 사업에 전념할 것이라는 발표를 했다. 과연 그가 알리바바를 무에서 만든 것처럼 교육 사업도 잘할지는 두고 봐야겠지만, 충분히 큰 변화를 만들 수 있는 경험, 의지, 그리고 자본이 마윈에겐 있기 때문에 전 세계가 그에게 거는 기대는 크다. 마윈 그 자신도 알리바바를 창업하기 전에 영어 선생님 이었으니, 학교 시스템이 얼마나 망가졌는지는 누구보다 잘 알 것이다. 마윈의 이런 결심에 큰 영향을 준 건 빌과 멜린다 게이츠가 재단을 통해서 하는 다양한 시도인데, 한국에도 사업을 통해 부를 창출한 선배 창업가들이 한국의 고장 난 교육 시스템을 고치려는 움직임이 보인다. 다 긍정적인 신호다.
빌 게이츠와 마윈만큼 교육에 관심이 많은 Fred Wilson은 ‘Reinventing Education‘이라는 글에서 교육 시스템을 완전히 새로 설계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가 필요하다고 한다. 일단, 값싸고 질 좋은 교육이 모두에게 공평하게 접근 가능해야 하며, 또 하나는 기업이 인재를 채용할 때 사용하는 전통적인 교육의 기준을 바꿔야 한다고 한다. 나는 교육 전문가는 아니지만, 전적으로 동의한다. 이미 많은 창업가가 사업을 통해 더 질 좋고, 더 싸고, 더 접근성이 좋은 교육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기술의 발전과 함께 이런 움직임은 가속화될 것이고, 부자든 가난하든, 앞으로 전 세계 모든 사람이 같은 수준의 교육을 받을 수 있는 날이 오지 않을까 싶다.
나는 두 번째 이슈가 더 큰 문제라고 생각한다. 특히, 한국같이 출신 학교와 학벌 자체를 교육 수준과 동일하게 생각하는 사회에서는 명문대 나온 사람들이 비명문대나 지방대 나온 사람보다 모든 분야에서 특혜를 받는다. 또는, 채용에서는 대졸이 고졸보다 조건 없는 우위를 갖게 된다. 하지만, 이제 조금씩, 아주 조금씩, 기업이 인재를 채용할 때 수십 년 동안 적용하던 전통적인 기준을 바꾸고 있다. 과거에는 대졸, 또는 명문대 졸업이 아니면, 아예 채용 대상에서 제외돼서 면접의 기회조차 갖지 못했지만, 점점 학벌-교육-지식-업무능력의 상관관계가 매우 약하다는 걸 인지하면서, 대기업도 서서히 다른 시각을 갖게 되는 걸 느끼고 있다. 물론, 시간이 걸리겠지만, 결국 바뀔 것이라고 생각한다.
스트롱 투자사만 해도 그렇다. 대부분 대학을 나오긴 했지만, 명문대 출신은 별로 없다. 우리 투자사 대표 중 고졸도 있다. 우린 투자할 때 창업가의 학벌을 절대로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실은, 나는 우리 투자사 대표들의 출신 학교도 잘 모르고, 미팅할 때, “학교 어디 나왔어요?” 물어보지도 않고, 솔직히 별로 관심도 없다. 왜냐하면, 출신 학교와 비즈니스 능력은 상관관계가 없다는 걸 항상 피부로 느끼기 때문이다. 명문대 출신 창업가들이 사업을 잘하는 경우도 많지만, 비명문대 출신 창업가들이 사업을 잘하는 경우도 똑같이 많다. 이들의 공통점은 학벌이 아니라 업무능력, 지식, 그리고 호기심이다.
하지만, 나는 ‘교육’ 자체의 중요성은 항상 강조한다. 여기서 내가 말하는 교육은 꼭 학교에서 선생님이나 교수님한테 뭔가를 배우고 습득하는 게 아니다. 과거에는 그랬지만, 이제 세상이 많이 변했다. 좋은 교육은 오히려 학교 밖에서 습득하는 게 훨씬 쉽다. 책, 구글, 유튜브, 수많은 인터넷 무료 콘텐츠, 사업현장, 길거리 등, 본인이 맘만 먹고 의지와 호기심만 있다면 학교에 가지 않고도 웬만한 전문가보다 더 훌륭한 지식으로 스스로를 교육할 수 있다. 인터넷에 얼마나 많은 정보가 있으면 구글에서 검색해서 열심히 공부하면 노벨상도 탈 수 있다는 농담까지 하겠는가. 우리 투자사 대표나 CTO도 대학에서 컴퓨터공학을 공부한 사람들은 별로 없다. 그냥 스스로 코딩을 배운 분들이 훨씬 많고, 어떤 분들은 대학도 안 가고 그냥 중학교 때부터 책 보고 프로그래밍을 배웠다.
모두가 원하는 만큼 빠르진 않지만, 교육의 재발명과 재정의는 현재 진행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