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디맨드 가사도우미 서비스 플랫폼을 만들고 있는 우리 투자사 미소가 최근에 100억 원 규모의 시리즈 A 투자를 유치했다. 한국에서 서비스하고 있지만, YC를 거친 회사고, 투자자들도 글로벌 VC라서 그런지, 시리즈 A 내용을 한국과 미국 tech 언론에서 보도했다.
한국 언론 중에서는 그나마 가장 잘 써준 벤처스퀘어 기사를 보면, 누가 봐도 글을 쓴 분이 큰 고민하지 않고 회사에서 그냥 제공한 내용을 기반으로 기사를 썼다는걸 알 수 있다. 아주 짧고, 그냥 미소라는 회사가 이번에 어떤 VC들한테 얼마를 투자받았고, 이 돈을 어떤 용도로 사용할 거라는 내용이다.
미국 언론 중에서는 TechCrunch가 가장 잘 커버한 거 같은데, 이 기사를 보면 글을 쓴 분이 상당히 많은 고민과 질문을 한 흔적이 보이고, 미소라는 회사가 어떤 회사고, 어떻게 돈을 벌고, 왜 겉으로 보면 평범한 온디맨드 청소 서비스가 이런 투자를 받았는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이 나온다. 외국 기자지만, 한국 기자들보다 한국 서비스에 대해서 더 자세한 디테일과 독자들이 궁금해할 만한 내용을 아주 잘 다뤘다는 인상을 받는다.
실은 나도 어떤 과정을 통해서 취재가 일어났는지는 모른다. 어쩌면 미소에서 한국 언론보단 미국 언론에 더 많고 자세한 정보를 제공했을지도 모르고, 더 많은 인터뷰 시간을 할애해줬을지도 모른다. 그런데, 그건 아닐 거라고 생각한다. 그것보다는 그냥 글을 쓰는 분들의 호기심의 정도의 차이가 이런 다른 결과물을 생성했을 거라고 생각한다. 내 경험에 비춰봐도, 한국 기자들은 회사에서 제공한 내용을 거의 그대로 기사화한다. 대부분 그 어떤 질문도 하지 않는다. 반면에 미국 기자들은, 제공한 내용에 대해서 이런저런 다양한 질문을 하고, 본인이 충분히 그 내용을 잘 숙직하고 있다는 자신감이 생기면, 그때 기사를 쓴다. 취미가 아니라, 직업으로서 글을 쓰는 사람이라면, 본인이 만드는 기사에 대해서는 일반인보다 훨씬 더 많은 호기심을 갖고 다양한 질문을 해야 하고, 그 질문에 대한 사실적이고 구체적인 내용을 독자들한테 제공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안타깝게도 아직 한국은 이 부분이 매우 약한 거 같다. 이는 tech 분야뿐만 아니라, 전 분야에 해당한다고 생각한다. 한국에서 벌어지는 사회적 현상에 대해서 나는 한국 신문이나 언론보단 미국 신문을 보고 더 잘 이해한 경험이 상당히 많다. 북한 이슈도 마찬가지다. Tech 분야는 말할 필요도 없다. 내가 2012년도에 한국에는 제대로 된 tech 기자들이 없다는 글을 썼는데, 안타깝게도 6년이 지난 오늘도 똑같다.
기자들이 조금만 더 호기심을 갖고, 깊이 있는 내용을 전달할 수 있는 날이 오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