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tor(멘토)’ – 난 최근에 이 말에 대해서 많은 생각을 했다. 스타트업 업계뿐만이 아니라 산업과 사회 전반에 걸쳐서 멘토라는 말이 많이 사용된다. 실은 나도 그동안 적지 않게 나 자신을 창업가들한테 ‘멘토링’을 제공하는 멘토라는 말을 하고 다니기도 했다. 그런데 더 많은 회사와 창업가들을 만나고, 더 많은 회사에 투자하면서 자신을 멘토라고 하는 게 얼마나 쪽팔리고 우스운 건지 절실히 느끼고 있다. 특히나 이번에 한국에 오래 머물면서 많은 창업가를 아주 깊고 인간적으로 알 기회가 있었는데, 오히려 내가 멘토로 삼고 싶은 20대 중반 창업가들도 더러 있었다.
멘토의 사전적 의미는 ‘현명하고 신뢰할 수 있는 상담 상대, 지도자, 스승이나 선생’인데 나이를 더 먹었고, 스타트업 경험이 더 많다는 이유만으로 나보다 어리고 경험이 없는 친구들의 멘토가 될 수 있는 건 아닌 거 같다. 이제 창업을 해서 힘들게 비즈니스를 꾸려나가는 창업가들을 보면 기본적으로 나보다 더 똑똑하고, 현명하고, 깡이 있고, 어떤 친구들은 내가 지금까지 했던 경험보다 훨씬 더 많은 경험을 짧은 기간 동안 쌓았다. 이 경험 중에는 실패도 많지만, 나보다 더 많은 성공을 경험한 분들도 있다.
물론, 위에서 말한 창업가들은 예외적이다. 전반적으로는 내가 대부분의 어린 창업가들보다는 경험은 많다 – 실패든 성공이든. 그런데 스타트업 세상은 너무나 빨리 변하고 있다. 10년 전에 전자상거래 서비스로 크게 성공을 한 사람이 오늘의 전자상거래 서비스에 대해서 모든 걸 알 수 없다. 오히려 전자상거래 서비스를 창업한 지 1년밖에 안된 창업가가 10년 전에 전자상거래 업체를 상장시킨 사람보다 지금 현재 비즈니스의 맥을 더 잘 짚을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본다면 경험이 많다고 남이 하는 일에 대해서 성공적인 멘토링을 제공할 수 있는 건 아니다. 어떤 이들은 hard 한 비즈니스 지식보다는 그냥 인생을 더 많이 살았고 비즈니스를 성공시킨 경험에서 오는 전문적인 지식 외의 다른 soft 한 걸 멘토들이 제공해줄 수 있다고 한다. 솔직히 난 잘 모르겠다. 왜냐하면, 지금까지 만난 많은 20대/30대 친구들이 오히려 나보다 인생을 더 잘 살았고 많은 경험을 했다는 느낌을 여러 번 받았기 때문이다.
솔직히 내가 이런 창업가들한테 뭘 멘토링하고 나한테 뭘 배우라고 강하게 주장할 수 있을까? 그래서 이제 나는 나 자신을 멘토라고 절대로 부르지 않겠다. 다른 분들도 나를 대하거나 소개할 때는 멘토가 아니라 그냥 투자자라고 해주면 좋겠다 (솔직히, 워낙 소액 투자이기 때문에 투자자라고 하는 것도 좀 그렇지만). 뭐, 그래도 굳이 나를 멘토라고 해주는 분들이 있으면 그건 상당히 고마운 거다.
<이미지 출처 = http://jezebel.com/5853248/study-finds-young-women-lack-female-mentors>
Danny Byounghun Oh
지금 처럼 빠르게 변화하는 세상에서 내가 가진 경험 지식이 젋은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수도 있지만 반대로 그 변화를 주도 하고 있는건 젊은 세대라고 생각하면 거기서 내가 더 많이 배워야 하는게 아닌가 생각하고 있는데 생각만큼 변화를 받아드리기는 쉬운일이 아닌걸 느끼고 있습니다. 젋은 사람들과 친구가 되서 지식을 공유하는 방향으로 가고 싶은데 가끔은 공유가 아닌, 나이와 경험이 많다는 이유로 주입이 되는 때가 있어서 곤란해 하고 있네요.
Kihong Bae
말씀하신 부분 아주 많이 동의합니다^^ 저 또한 변화해야 한다고 외치고 있는 일인이지만 그 변화하는게 얼마나 어려운 건지도 잘 알거든요. 그런데 변하고 싶으면 정말로 간절히 그 변화를 원해야지 되는 거 같습니다. 그런 의도가 진심으로 받아들여지면 젊은 친구들과 지식을 공유할 수 있지 않을까요? 좋은 생각할 수 있는 이슈 던져주셔서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