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 전 성황리에 마무리 된 프라이머 8기 데모데이 기조연설을 배달의 민족 김봉진 대표님이 하셨다. 나도 개인적으로 김봉진 대표님을 조금 알고, 독서경영으로 유명하신 분이 스타트업 바이블에 대한 이야기도 많이 해주셔서 항상 고맙게 생각하고 있다(그 날도 언급을 해주셨다). 배달의 민족이라는 회사에 대한 정보는 미디어나 다른 투자자들을 통해서 많이 접하지만 이 날 들은 회사와 대표님의 철학, 그리고 배민의 시작 관련 이야기들은 매우 신선하고 흥미로웠고, 스스로 많은 생각을 하게 했다.
지금은 직원 460명에 한국 스타트업 중 가장 높은 기업가치를 가지고 있는 회사 중 하나로 성장을 했지만 시작은 여느 스타트업과 다르지 않게 소박했다. 답십리의 까페베네에서 창업되었고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처럼 대단한 전략이나 거창한 비전을 가지고 시작한게 아니라 ‘VC’ 라는 말조차 모르는 상태에서 사업을 시작했다고 한다. 강연 50분이라는 시간이 길지 않아서 회사의 전부를 보여줄 수는 없었지만 그냥 평범한 젊은이가 간단한 아이디어를 가지고 시작한 일이 사업이 되었고, 좋은 사람들을 만나면서 사업이 성장했고, 순간 순간의 결정들이 쌓이면서 문화가 만들어졌고, 아직 성공했는지는 모르겠지만 조금씩 성공을 향해서 가고 있는 창업가와 그의 사업에 대한 이야기는 상당히 재미있었다. 특히, 김봉진 대표님과 배달의 민족 팀들이 만들어 가고 있는 독특한 기업 문화와 ‘우유부단 캠페인’과 같은 사회활동들은 나한테 시사하는 점들이 참 많았다.
가끔 나는 다음과 같은 질문을 받는다(한국 보다는 미국인들이 많이 물어본다). “Kihong, 너는 한국 스타트업 중 어느 회사가 가장 성공할거라고 생각하니?” 과거에는 나도 이 질문에 대해서 생각을 많이 해야 했다. 내가 좋아하고, 우리가 소액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고, 나름 한국을 대표하는 스타트업이라고 생각하는 쿠팡이 항상 머리에 떠오르지만 최근 들어 내 대답은 다음과 같다. “음…니들이 잘 모르는 한국의 배달 스타트업인데 이름은 좀 어려워(영어로 하니까). 배달의 민족이라는 스타트업이 있는데, 이 회사가 가장 성공할지는 모르겠지만, 가장 성공을 해야 해. 그래야지만 한국 스타트업의 미래가 더 밝아질테니.”
배달의 민족이 한국을 대표하는 스타트업이 될지는 나도 잘 모르겠다 – 물론, 잘 될거라고 생각하지만 워낙 쟁쟁한 회사들과 창업가들이 한국에도 많으니까. 하지만, 나는 배달의 민족이 반드시 성공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야지만 한국의 창업 생태계에 진정한 불이 붙을 수 있다. 그 이유는…쿠팡과 티몬의 성공을 보고 많은 젊은 친구들이 자극을 받고 자신감을 얻어서 다른 좋은 회사들이 한국에서 탄생하기를 기대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창업가들한테 쿠팡의 김범석 대표나 티몬의 신현성 대표는 넘사벽이다. (절대로 그렇지는 않지만)많은 창업가들이 본인들도 부잣집에서 태어나서 미국 명문대학을(김범석 대표는 하버드, 신현성 대표는 유펜) 졸업했다면 쿠팡과 티몬같은 비즈니스를 만들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래서 오히려 쿠팡과 티몬의 선전은 “빽도 없고, 금수저가 아니면 창업해서 잘 되는 것 도 힘들구나” 라는 역효과를 낼 수 있다는 걸 나는 목격한적이 많다.
김봉진 대표님은 약간 다르다. 뭐, 그렇다고 내가 이 분을 과소평가하는 건 절대로 아니다. 내가 알기로는 아주 평범한 가정에서 태어났고, 학교도 서울대가 아닌 평범한 대학을 나왔고, 공학이나 경영학이 아닌 미술을 공부했다. 영어를 유창하게 하는것도 아니고, 과거에 exit을 한 경험도 없다. 오히려 가구 비즈니스를 해서 쫄딱 망한 경험은 있다. 즉, 우리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백그라운드와 스토리를 가진 매우 평범한 대한민국 남자이다. 그래서 나는 김봉진 대표님이 잘 되고 배달의 민족이 대박 나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야지만 한국의 모든 창업가들에게 진정한 영감과 자신감을 줄 수 있다.
“나랑 그닥 다르지 않은거 같은데 저 분도 성공했으면, 나도 분명히 할 수 있다” 라는 그런 자신감이 우리 사회에 가득 차 있으면 헬조선도 조금은 더 좋아지지 않을까.
Kihoon Kang
‘배달의 민족’은 서비스에 대한 기획, 경영과 문화 등 배울점이 참 많죠. 겸손하셔도 능력자는 확실히 다르더군요.
다만 사견으로는 옥의 티랄까, 제 주변의 어린 학생들조차도 국사에서 ‘배달 잘 하는 민족’으로 진지하게 이해하고 있을만큼, 학술용어 사용에 대한 책임에 관해서 경영진과 학계사람들이 아무런 아이디어가 없는 모습은 많이 안타깝습니다.
언어라는 관점에서 자연스러운 도태일 수 있겠지만, 기업의 사회적 책임일수도 있다는 생각도 들더군요. 이런 사례를 타산지석 삼아 배우고 있습니다.
Kihong Bae
그런 일도 있군요 ㅎ…기업의 관점에서 보면 마케팅과 브랜딩이 성공한거 같은데…또 다른 면을 볼 수 있는 좋은 사례인거 같습니다. 고맙습니다~
오민석
대한민국이 그런 다양성이 존재하는 곳이 되길 바라마지 않습니다.
Jiwoo Kim
배달의 민족만의 문화를 만들었다는 점, 그리고 정석적이지 않아보이는 여러 방법들이 조직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내용이 좋았습니다..^^
Kihong Bae
네, 저도 비슷한 생각을 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