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과 스타트업이라는 말을 모르는 대한민국 국민이 없을 정도로 우리나라는 요새 창업이 큰 화두이다. 정부의 엄청난 지원, 웬만한 대학교마다 볼 수 있는 창업보육센터, 강남을 주축으로 여기저기 생기고 있는 창업 지원공간, 그리고 미디어에서 계속 떠드는 벤처, 스타트업, 청년창업 때문인지 마치 한국이 창업 국가라는 착각을 하는 분들이 많다. 그런데 곰곰이 생각해보면, 한국의 제대로 된 창업 역사는 상당히 짧다. 스타트업 바이블이 2010년도에 출간되었는데, 실은 이 책이 나오기 전에는 ‘스타트업’이라는 단어조차 한국 사회에서는 매우 생소했다. 그 전에는 모두 ‘벤처’라는 말을 사용했다.

즉, 스타트업이라는 단어가 우리의 삶 속으로 들어온 지가 이제 몇 년도 안 됐을 정도로 한국의 창업 생태계는 걸음마 단계라는 점을 나는 항상 개인적으로 강조한다. 그래서 너무 실리콘밸리와 한국을 비교하는 건 큰 의미가 없다는 생각도 올 한 해 자주 강조했다. 실리콘밸리의 역사가 언제 시작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모두 다르지만, 1957년 창업된 Fairchild Semiconductor가 그 시초라는 이야기를 많은 분이 한다. 이렇게 보면, 실리콘밸리의 역사는 60년 정도이며, 우리가 미디어에서 자주 접하는 이 동네 스타트업들은 분명 전통적인 대기업보다는 훨씬 바른 고속성장을 했지만, 이 성장은 실리콘밸리의 60년 시행착오 노하우가 전제된 배움의 성장이다.

솔직히 나는 제대로 된 한국 스타트업 역사는 5년밖에 안 되었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한국은 자꾸 우리의 성장을 실리콘밸리와 비교하려고 하고, 실리콘밸리의 스타트업들과 같은 성장 곡선을 따라 하려고 한다. 따라 하는 건 나는 좋다고 생각한다. 이게 맹목적인 카피가 아니라, 우리보다 역사가 깊고 더 잘하고 있는 회사의 지표나 문화를 우리의 상황에 맞게 변형해서 벤치마킹하는 건 후발주자가 누릴 수 있는 특권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렇게 따라 한다고 우리가 페이스북이나 구글 같은 회사같이 성공하는 경우는 드물다. 대부분 실패하고, 실패하는 과정에서 완전히 회사가 주저앉을 수도 있는데, 이럴 때 우리는 “왜 우리는 실리콘밸리같이 못 할까?”라면서 자신을 너무 자책하면 안 된다고 생각한다. 한국은 실리콘밸리보다 역사가 짧고, 그래서 배움도 당연히 짧고 한정되었기 때문에 잘 안되고 실패하는 건 어쩌면 당연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여기서 멈추면 안 된다. 계속 도전하고, 잘 안된 원인을 분석하고, 다시는 비슷한 실수를 하지 않으려는 노력이 있어야지만, 개인과 기업은 발전하고, 생태계는 만들어진다.

나는 우리 같은 VC는 금융업이 아니라 건설업에 종사한다는 말을 자주 한다. 회사를 만드는 건(=building a company), 땅을 파고, 거기에 토대를 튼튼히 기초공사하고, 그 위에 건물을 올리는 건설과 똑같다. 이렇게 하는 건 시간이 오래 걸린다. 어쩌면 평생이 걸리는, 죽을 때까지도 완성하지 못하는 대업(大業)일지도 모른다.

한국의 모든 창업가와, 스타트업 관계자들이 이렇게 생각했으면 좋겠다. 모두 다 스타트업 생태계를 만들고 싶어 하고, 나도 실은 여기에 조금이나마 이바지하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지만, 생태계라는 건 시간이 오래 걸린다. 어쩌면, 내가 죽을 때까지도 한국의 스타트업 생태계는 기초공사도 못 끝낼지도 모른다. 그동안 많은 회사가 생기고, 투자를 받고, 망하고, exit을 하게 될 것인데, 이 모든 게 회사가 성장하고 생태계가 단단해지기 위해서는 반드시 거쳐야 하는 필수과정이다.

일희일비하지 말고, 길게 보고 가자. 5년 안에 exit 할 비즈니스를 만들기보다는, 평생 할 수 있는 사업을 만들다 보면, 운 좋으면 1년 안에 exit 할 수 있다. 물론, exit 한다는 게 항상 좋은 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