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거 참 민감하고, 의견이 가지각색인 주제라서, 실은 많은 분이 나랑 동의하지 않을 거라는 건 잘 안다. 요새 가는 곳마다 이와 비슷한 질문을 받고, 항상 같은 답변을 하는 나는 맹비난을 받는데, 그럼에도 불구하는 내 생각은 절대 다르지 않다.
한국의 exit 시장에 관해서 이야기를 하다 보면, 좋은 이야기가 나올 수가 없다. 일단 exit 사례가 별로 없고, 우리가 매체를 통해서 접하는 수천억 원 또는 수조 원짜리의 exit은 – IPO보다는 인수 – 아직은 남의 나라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창업가의 수준이나, 한국 스타트업의 서비스나 제품의 수준은 시간이 갈수록 개선되고 있는데, 왜 높은 가치에 인수되는 성공스토리가 안 만들어지고 있느냐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다 보면 인수를 해야 하는 대기업이 오히려 스타트업을 죽이고 있다는 쪽으로 자연스럽게 대화가 흘러간다.
물론, 선례들이 많으므로 이런 이야기가 나온다. 삼성이 오랫동안 같이 일해왔던 협력업체의 기술을 카피하면서, 중소기업이 망한 사례나, 네이버가 작은 스타트업의 서비스를 그대로 베껴서 욕을 먹은 사건들은 누구나 다 하나 정도는 기억할 것이다. 미국은 대기업이 스타트업을 활발하게, 아주 높은 가격에 인수하는데, 왜 한국 대기업은 항상, “저거 우리가 직접 하자”라는 마인드를 갖고 스타트업을 죽이는가에 대한 열띤 토론이 벌어지는 공적, 사적 자리에 있어 본 경험이 나도 여러 번 있다. 그리고 여기서 항상 내 생각을 물어본다.
실은, 나는 이걸 조금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다. 대기업이 작은 회사의 서비스를 직접 카피하는 건 실은 미국이나 다른 나라에서도 자주 볼 수 있다. 한국만큼 자주 일어나거나, 오히려 더 많이 일어날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자유롭게 경쟁하는 환경에서 대기업이라고 작은 기업이 하는걸 따라 하지 말라는 법은 없다. 대기업도 바보가 아닌 이상, 새로운 분야로 진출할 때 본인들이 직접 하는 거랑 기존 회사를 인수하는 걸 여러모로 따지면서 잘 검토한다. 그리고 인수하는 거보다 직접 하는 게 경제적이나 전략적인 면에서 더 낫다고 판단되면, 직접 팀을 만들어서 이 분야로 들어온다. 새로운 분야로 들어올 때, 이 분야에서 이미 비즈니스를 하는 회사가 있다면, 당연히 그 회사의 서비스를 벤치마킹하고, 심한 경우 아예 카피해버린다.
여기에 대한 내 생각은….작은 스타트업이 정말로 좋은 제품을 만들어서 고객들을 매료시키고 있다면, 대기업이 아무리 막강한 화력을 갖고 공격을 해도, 절대로 이길 수 없다는 것이다. 제품의 껍데기는 카피할 수 있지만, 정말로 잘 만든 서비스라면 제품 내부에 녹아들어 간 수만 번의 iteration과 사용자 경험에 대한 고민은 돈만 있다고 단시간 내에 따라 할 수 있는 게 아니다. 대기업이 작은 스타트업보다 단시간 내에 더 좋은 서비스를 만들었다면, 애초부터 그 스타트업의 제품은 고객에게 큰 감동이나 유용성을 제공하지 못 했다는 게 내 지론이다.
얼마 전에도 나는 이와 비슷한 말을 했는데, 청중으로부터 비난을 받은 기억이 난다. “한국 스타트업에 대한 애정을 가진 줄 알았다” , “한국의 생태계를 강화하고 싶어 하는 줄 알았는데 정말 실망이다” , “한국에 대해서 너무 모르는 거 아니냐” 등 다양한 이야기를 들었다.
그래도 내 생각은 변함없다. 수천억 원에 회사를 exit 하고 싶으면, 수천억 원 짜리 서비스를 만들어야 한다. 그냥 돈 있는 회사가 베꼈는데, 우리 서비스보다 더 잘 만들 수 있다면, 이건 대기업이 우리를 죽이는 게 아니라, 어차피 결국엔 죽을 서비스를 우리가 만들고 있다고 생각하는 게 맞다. 그리고 한국 회사에 대한 관심과 애정이 없다고 하시는 분들은….내가 전에 쓴 포스팅을 여기서 다시 소개하니, 이걸 읽어 보시면 조금은 다르게 보실지 모르겠다.
[과거글: 나는 좇밥 회사들에 투자한다]
얼마 전에 올린 ‘한국 대기업들도 할 말 많다‘라는 글에 대해서 논란도 많았고 예상치 못했던 코멘트들도 많이 달렸다. 솔직히 나는 이 글을 나쁜 의도 보다는 좋은 의도에서 썼는데 그렇게 받아들이지 않았던 분들도 많았나 보다. 전반적인 의견은 한국과 미국은 환경 자체가 다르므로 미국과 같은 exit을 한국에서 기대하는 건 말이 안 된다는 것이었다. 많은 댓글 중 솔직히 상당히 거슬렸던 내용이 있었는데, 여기서 한번 공유해 본다(내 블로그에 직접 올라온 거는 아니고 비석세스에 올라온 답글이다). 그런데 이 정도 소신으로 답글을 쓰시려면 왠만하면 ‘익명’이나 ‘가명’이 아닌 본명을 쓰라고 권장하고 싶다. 이딴 욕지거리를 익명으로 쓰는 사람들은 자기주장이 강하다기보다는 그냥 자신감이 부족하다는 생각밖에 들지 않는다.
글을 읽어보면 기본적으로 그냥 너는 ‘미국 상황 잘모르는 병신’ ‘너는 자본주의 개념조차 모르는 jot밥’ ‘자유경쟁이 뭔지 모르는 개병신’ 이렇게 상대를 기본적으로 하대하고 글을 적고 있습니다. 좋아하는 기업가 분이였는데 정말 큰 실망했습니다.
.중략.
미국식 자본주의 개념 많이 배우고 똑똑하셔서 좋으시겠습니다. 미국에서 창업 경험해보았고, 대 성공(?)은 모르겠으나 투자자로 활동하셔서 스타트업 평가하는 사회적 위치에 올라가셔서 좋으시겠습니다. 미국상황 잘 모르는 한국 스타트업에 ‘닥치고 개발해라’라고 좋은 말씀해주시면 ‘어익후’ ‘이런 좋은 말씀을’ 하고 립서비스 해주는 분들이 많아서 좋으시겠습니다.
.중략.
끝으로 배기홍님. 아무리 좆밥처럼 보이는 아시아 변방, 한국의 스타트업이라고 해도 인내심을 가지고 소통하시길 권합니다. 배기홍님이 좆밥처럼 생각한 한국 스타트업 중에서도 인고의 세월을 거쳐 훌륭한 기업들이 나올 수도 있습니다. 얼마나 잘나셨는지 모르겠으나 겸손하시길 권합니다.
솔직히 난 이 분의 정확한 포인트를 잘 모르겠다. 그리고 이 분이 옳다 틀렸다는 것에 대해서는 판단하고 싶지도, 할 자격도 없다. 이건 각자의 판단에 맡기겠다. 어차피 우린 우리만의 의견이 모두 있다. 하지만, 한가지는 분명히 짚고 넘어가고 싶다. 우리 Strong Ventures는 이 분이 말하는 ‘좇밥’같은 한국 회사들에 매우 활발하게 투자를 하고 있고, 어떻게 하면 이 좇밥같은 회사들이 빨리 글로벌 영향력을 가질 수 있는 회사들로 성장할 수 있을까 대가리 터지게 1년 365일 고민하고 있다. 이 분이 말하는 “배기홍님이 좆밥처럼 생각한 한국 스타트업 중에서도 인고의 세월을 거쳐 훌륭한 기업들이 나올 수도 있습니다.” -> 와, 제발 이렇게 되길, 그리고 제발 우리가 투자한 회사들이 이렇게 훌륭한 기업이 되길 나랑 내 파트너 John은 매일 기도하고 있다. 이 분은 뭘 하시는 분인지는 모르겠지만 우리는 우리가 투자한 한국 스타트업들의 결과에 따라서 천국으로 날아갈 수도 있고 지옥으로 떨어질 수도 있다. 우리의 인생과 커리어가 이 분이 말하는 ‘좇밥’같은 한국 스타트업에 달려있는데 내가 과연 ‘너무 잘나서’ 한국 회사들이 잘 안 되길 바라는 사람으로 보이는 건가?
하지만, 현실은 냉정하다. 우리가 투자한 한국 회사들이 잘 돼야 하지만, 이 중 너무 매력적이어서 대기업이 당장 큰 금액에 인수를 고려하게끔 하는 회사들은 아직 없다. 아니 – 우리가 투자해서 어떻게 보면 우리 얼굴에 침 뱉기지만 – 대부분의 회사는 한참 멀었다. 그렇지만 좋은 사람들로 구성된 회사라면 항상 가능성은 존재하며, 우리 모두 창업팀들과 같이 재미있게 일하고 있다.
그래, 어쩌면 전에 쓴 글에서 내가 한국 스타트업들을 ‘좇밥’으로 보고 있다는 냄새를 풍겼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나야말로 이 회사들에 활발하게 투자하고 같이 일하고 있고 한국 회사들이 잘되길 가장 바라는 사람 중 한 명이라는 점도 제발 기억했으면 좋겠다. 그리고 이 분은 이렇게 열정적으로 댓글을 쓸 수 있는 에너지를 제발 긍정적인 방향으로 사용하시길. 벤처를 운영하시는 분이라면 자신의 회사가 ‘좇밥’이 되지 않도록 좋은 서비스를 만들어 주셨으면 좋겠다. 정말로.
Madao95
솔직히 현재 성공한 화사들을 보면 혁신적인 제품 보다는 팬덤을 기반으로 성공한 회사가 더 많이 있죠.
touchnedu
전적으로 공감합니다.
그런데 과거 글은 링크만 걸고 다시 게재하지 않으면 좋을텐데…
과거글을 읽다가, 과거글의 링크를 클릭해 그 글을 또 읽다가… 전에 다 읽어본 내용임을 확인하고 약간 배신감이…^^
글 읽는 독자의 시간도 소중하니까요~
저도, 수 많은 iteration을 통해 지금 의견개진한 자그마한 개선사항에 대해 알게 되었습니다.~ ^^
Kihong Bae
아 네…고맙습니다^^ 실은, 주로 과거글에 대해서는 링크만 거는데, 꼭 읽어봤으면 하는 글들은 이렇게 카피,페이스트를 해서요…but, 앞으로는 명심하겠습니다.
Richard Biggs
I think there’s an sense of entitlement among some groups in Korea that expect to be taken care in some form – maybe as a hangover from overly-protective and paternalistic government of the past?
I’d agree with you that for consumer-facing startups there is little cause for complaint. Maybe the exit valuations (if they happen at all) are low compared to the US? Not a huge deal – an exit is an exit. The success of Kakao and Coupang, and Naver and Gmarket in earlier days, testify to this.
But when it comes to business-facing startups, there is little option but to do business with chaebols, and it is virtually impossible to avoid horrible 갑/을 situations. Sure, it’s not like megacorps in the US or anywhere else don’t throw their weight around, but I think there’s something ingrained in the Korean psyche about hierarachy, and as with all situations where the distribution of power is unbalanced, there is potential for exploitation and abuse.
I started up a fresh juice business back in 2004, and all of our customers were chaebol-level distributors, Lotte, Hyundai, Shinsegae etc. There are huge differences between them, some much worse than others. But the only client I felt comfortable with, the only one I felt wouldn’t try to screw us or subtly drive us into the ground, was Costco. Some Korean clients tried to treat us fairly, but never with respect. Maybe we weren’t respectworthy? Maybe it’s too much to ask? Nevertheless, it was telling that the only client we felt respected as a “partner” was non-Korean.
Chaebols can screw up the startup ecosystem in other ways than just by refusing to buy uncompetitive startups at inflated valuations or copying their business models.
익명
글 잘 읽었습니다. 공감가는 부분도 많고 일부는 생각이 조금 다르지만 그래도 현실을 정말 냉정하게 직시하고 현재 위치에서 당장 할 수 있는 부분부터 바로 실행에 옮겨야겠다는 다짐을 하게 되네요
Kihong Bae
고맙습니다. 당연히 저와 동의하지 않는 분이 많을텐데, 이런 솔직하고 객관적인 피드백 너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