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개적으로 자주 말하는데, 우리는 개발인력이 있는 팀을 선호하고, 아무리 단순해도 기술을 이용해서 기존의 방법보다 더 빠르고, 더 좋고, 더 싸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팀을 좋아한다. 하지만, 이런 팀을 찾는 게 쉽지 않다. 한국 스타트업 커뮤니티에는 개발자보다는 기획자가 더 많은데, 내 마음속에 기획자는 그냥 ‘개발자가 아닌 사람’ 이지, 특별한 능력이 있는 사람은 아니다.

실은 순수 소프트웨어 사업이 아니라면, 개발력이 없는 팀도 사업을 시작해서 어느 정도 굴러가게 만들 수 있다. 대표적인 게 이커머스 비즈니스인데, 겉으로 봤을 때는 이커머스 비즈니스의 핵심은 물건을 판매하는 장사라서, 좋은 제품을 확보하고, 잘 판매하고, 배송하는 체계를 만들면 매출이 발생하는 사업을 단기간 안에 만들 수 있다. 이런 경우, 대표이사가 발로 직접 뛰어다니면서 열심히 발품을 파는 공통점이 존재한다. 사업을 시작하자마자 매출이 발생한다는 건 스타트업으로써는 큰 영광이다. 그리고 매출이 발생하면서 회사의 실적이 매일 성장하는 걸 경험하면서 대표와 팀은 계속 이렇게 발로 뛰면서 사업을 한다. 그리고 계속 이런 방법으로 비즈니스를 성장시킬 수 있는 인력을 채용하는데, 주로 개발 인력은 뒷전이 된다.

탄탄한 이커머스 플랫폼을 만들려면 좋은 개발인력과 시간이 필요한데, 이런 어려움 때문인지, 이커머스 시스템에 투자하는 팀을 보기가 힘들다. 일단 판매할 물건을 확보하면, 지마켓이나 쿠팡과 같은 오픈마켓에 올려서 판매하거나 – 실은 이렇게 시작하는 건 나쁘지 않다. 시장을 테스트하는 차원에서는 – 워드프레스 같은 툴로 간단한 웹사이트를 만들어서, 카톡으로 주문받고, 계좌이체로 돈을 받고, 배송을 시작함으로써 비즈니스를 시작한다. 실은 이런 시작은 매우 좋다. 거창하게 모든 걸 갖추고 시작할 시간이나 자원이 없다면, 일단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이렇게 시작하는 건 창업가의 좋은 실행력이다.

하지만, 진짜 큰 비즈니스를 만들고 싶다면, 이 과정을 시스템화하고 자동화 해야 한다. 카톡으로 주문을 받거나, 계좌이체로 입금 받는걸 평생 할 순 없다. 고객이 50명일 때와 5만 명일 때는 비즈니스의 스케일이 달라져야 한다. 그래서 플랫폼을 만들고자 한다면, 시작은 간단하게 해서 생존을 위해 대표가 발로 뛰고, 매뉴얼로 모든 걸 처리하지만, 결국 제대로 된 엔지니어링 팀을 만들어야 하고, 좋은 플랫폼을 만들어야 한다. 너무 많은 대표가 “우린 물건을 판매하는 비즈니스라서 기술이 그렇게 중요하진 않아요”라는 말을 하는데, 이러면 많은 걸 놓칠 수 있다.

그래서 나는 이커머스나 O2O 비즈니스를 검토할 때 사업 시작한 지 얼마 안 됐지만, 매출이 많이 발생하는 회사라도 이런 시스템이 없고, 대표가 기술의 힘을 믿지 않으면, 관심도가 떨어진다. 이와 반대로 매출이 오랫동안 없는 회사라도 잘 만든 시스템이 있고, 기술로 돌아가는 플랫폼을 대표가 믿는다면, 관심을 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