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에서 사내 벤처 프로그램을 운영할 때 가끔 나한테 연락이 온다. 수십 년 또는 수백 년 동안 같은 비즈니스를 하면서 잘 먹고 잘살아왔던 대기업이 그동안 축적된 통찰력과 지식으로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시대의 변화에 민감하게 대응하기 위해서 이런 사내 벤처 프로그램을 생각하거나, 이미 시작한 경우가 요새 자주 보인다. 이들은 투자팀을 만들어서 외부 스타트업에도 투자하지만, 본인들의 가장 중요한 자산인 직원들로부터 좋은 아이디어를 수집하고, 창업하는 분위기를 만들어 전반적인 조직의 혁신을 만들려고 노력하고 있다.

과거에는 나도 이런 프로그램 담당자와 몇 번 이야기했고, 사내 벤처 프로그램의 심사위원 또는 어드바이저로도 참여한 적도 있었다. 뭐, 대기업이 하는 대부분의 이런 프로젝트가 잘 안 되는데, 이런 사내 벤처 또는 아이디어 공모전 프로그램도 마찬가지로 잘 안 된다. 그래도 간혹 그 안되는 프로그램 중에서도 아주 기발한 아이디어가 나오거나, 회사에서 하지 말라고 한 걸 직원이 몰래 실행을 했는데 큰 성공을 거두는 경우가 있다. 이분들과 나중에 이야기해보면, 이런 프로그램을 계기로 아이디어가 나오긴 했는데, 상사와 모든 동료들로부터 부정적인 피드백을 받았다고 한다. 여기서 멈췄으면 이런 아이디어가 실행되지 않았을 텐데, 이분들은 “이걸 하면 회사에서 짤리지 않을까?”라는 각오를 하고 두려움 반, 설렘 반으로 프로젝트를 밀어붙였고, 이게 큰 성공을 거둔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그 정도로 남들이 봤을 때 말도 안 되고, 잘 안 될 것 같은 사업이었다는 말이다.

우리가 투자하는 창업가들도 다 이런 성향을 가진 분들인 것 같다. 너무나 crazy하고 이상한 아이디어라서 과연 이런 걸 해도 될까, 또는 이렇게 해도 될까 하는 두려움을 갖고 창업을 할 정도로 주위 사람들로부터 – 심지어 본인 가족들로부터 – 인정을 받지 못했지만, 자신을 믿고 밀어붙여서 스트롱한테 투자도 받고 여기까지 올 수 있었던 것이다.

Consensus thinking이라는 말이 있다. 말 그대로 모든 사람이 일반적으로 동의하는, 같은 방식으로 생각하는 방법이다. 이런 사고 또는 의사결정 방법이 도움이 되는 경우도 있지만, 변화를 가져오고 싶어 하는 창업가는 이렇게 생각해서는 절대로 성공할 수 없다. 위에서 말 한대로, 회사원이라면 “이걸 회사에서 하면 나 짤리는거 아냐?”라는 두려움이 생길 정도로 남들이 말리는 걸 해야지만 성공할 확률이 커지고, 창업가도 “이렇게 해도 될까? 나 미친놈으로 보지 않을까?”라는 고민을 한 번 정도는 하게 하는 그런 아이디어로 창업을 해야지 잘되면 크게 잘 될 수 있다. 즉, 모두가 일반적으로 동의하는 방식이 아닌, 나만의 독립적 사고를 해야 한다.

오늘도 모두가 consensus thinking이 아닌, independent thinking을 많이 하는 하루가 되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