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에게 투자금을 제공해 주는 외국 LP 중 한국에 정기적으로 출장을 오는 분들도 몇 명 있다. 이들은 한국이라는 시장 자체를 매우 좋아해서, 스트롱을 포함한 본인들이 출자한 다른 VC들과 만나기 위해서 한국에 자주 오기도 하지만, 한국이라는 나라, 사람, 문화, 언어, 음식, 기술 등에 진심으로 관심이 많다. 그래서 이 중 우리말을 배우는 외국인도 있다.

최근에 이분들이 나랑 대화하면서 많이 언급된 단어가 ‘꼰대’랑 ‘눈치’였다. 꼰대는 그나마 영어로 설명할 수 있었다. 이런 사람들은 전 세계에 존재하니까, 설명하면 금방 이해했다. 그런데 눈치라는 말을 영어로 설명하는 게 너무 어렵긴 했다. 이건 정말 한국의 고유한 단어이자 고유한 문화라서, 열심히 설명했고, 외국인이지만 이들은 대략 눈치로 이해했지만 ㅎ, 눈치의 정확한 의미를 전달하는 건 성공하지 못했던 것 같다. 눈치는 굳이 말하지 않아도 대략적인 느낌이나 분위기로 상황을 잘 파악하는 기술을 말하는데, 나 같은 사람을 정말 피곤하게 만드는 단어이다.

얼마 전에 김하나 작가의 “말하기를 말하기”라는 책을 읽다가 눈치와 관련된 챕터가 있어서 너무 재미있게 공감하면서 읽었고, 이 책의 내용과 내가 평소에 생각하던 내용에 대해 몇 자 적어본다. 일단 김하나 작가가 한국 사람들이 수도 없이 나누는 이런 대화를 예시로 들었다.

“오늘 저녁에 뭐해?”
“왜?”

한국에서는 이게 너무나 자연스럽지만, 서양 사람들에게 오늘 저녁에 뭐 하냐고 물어보면, 말 그대로 저녁에 뭐 한다고 말해준다. 한국에선 묻는 말에 대답하지 않고 “왜”라고 다시 맞받아쳐서 물어보는 이유는 상대의 질문엔 뭔가 다른 의중이 있다고 미뤄 짐작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신기한 건, 정말로 물어본 상대방은 뭔가 다른 의중이 있는데, 저녁에 뭐 하냐고 물어본 것이다.

집이나 회사에서 나도 눈치 없는 사람으로 통한다. 누가 어떤 의중이 있는데, 이걸 나한테 대놓고 말하지 않고 그냥 돌려서 말하면, 나는 이분의 의중을 잘 파악하지 못한다. 그래서 이런 상황이 자주 발생했는데, 나는 도대체 왜 사람들이 본인들이 원하는 걸 그대로 상대방에게 정확하게 말하지 않는지 아직도 이해하지 못한다.

“기홍님, 이걸 왜 이렇게 처리했나요?”
“전에 이렇게 하라고 말씀하셨잖아요?”
“아니, 왜 이렇게 눈치가 없나요. 그렇게 말했다고, 그 말을 그대로 들으시면 어떡해요.”
“그럼 정확하게 말씀을 해주시죠…”
“그걸 꼭 말해야 하나요? 사람이 참 눈치가 없네요 ㅠㅠ”

김하나 씨의 책에서는 ‘영어권에서는 상대가 말을 못 알아들으면 그 책임이 발화자에게 있기 때문에 상대가 알아들을 때까지 몇 번이고 정확히 설명해 줄 의무가 있다’라는 문구가 나오는데, 나는 이 말에 너무나 동의한다. 좋은 관계를 형성하고 싶으면, 그냥 하고 싶은 말을 해라. 그게 듣는 사람의 기분을 상하게 하더라도 할 말은 그냥 하는 게 건강한 인간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아주 명확하게 상대방에게 했는데, 이로 인해서 상대방과 나의 관계가 멀어졌다면, 어쩌면 처음부터 그 사람과 나는 건강한 관계를 만들 인연이 아니었는지도 모른다.

우린 고도로 발달한 두뇌와 입이 있다. 아름다운 말은 축복이고, 험한 말은 무기가 될 정도로 말하기는 인간이 가진 특권이자 능력이다. 이런 좋은 말을 잘 사용하면 좋겠다. 내가 무슨 텔레파시를 가진 초능력자도 아닌 이상, 상대방이 원래 A를 말하고 싶었는데 B를 말하면, 이걸 어떻게 A로 이해할 수 있겠는가. 이렇게 상대방의 숨은 의중을 파악하려고 하는 한국인의 눈치 보기 노력을 다 합치면 큰 국가적 낭비가 될 수도 있을 것 같다.

할 말은 똑바로 하고, 그런 것까지 굳이 말로 하는 사회가 건강하다고 생각한다.

(분명히, 이 글을 읽고 배기홍은 정말로 눈치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