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도 제대로 작동하고 돈을 버는 제품을 만드는 게 얼마나 어려운지 매일 느끼는 사람의 입장에서 한국 스타트업이 미국 시장에 바로 진출해서 4년 만에 매출을 1,000억 원 이상 하겠다는 회사의 자료를 보면 어쩔 수 없이 희망적이기보단 회의적인 생각이 들 수밖에 없다. 그래도 사업의 방향성이나 팀이 괜찮으면, 이런 팀들은 일단 만나본 후에 내부적으로 검토하는 과정을 거친다.

얼마 전에 이런 창업팀의 자료를 보다가 세 번째 페이지에서 그냥 PDF를 닫고 만나보지도 않고 pass 하기로 결정했다. 북미 시장에서 승부를 보겠다는 팀이었고, 자료 자체도 모두 영문으로 만들었는데, 자료의 영어 수준이 형편없었다. 어떤 분들은 이런 나의 태도를 이해 못 하고, 그 정도 문법이나 철자는 틀릴 수도 있는데, 뭘 그렇게 까칠하게 구는지 구박하기도 한다. 자료에서 영어 좀 틀렸다고 사업을 못 하는 것도 아닌데 내가 너무 오바한다고 뭐라고 하는 분들도 있다.

솔직히 나는 다른 사람들보다 남의 영문 자료에서 이런 실수를 잘 발견하는 편이다. 그리고 이런 건 그냥 넘어가도 창업팀과 그 사업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전혀 지장이 없기 때문에 굳이 피치 미팅의 흐름을 중간에 끊으면서 지적하지 않아도 된다. 하지만, 그래도 나는 영어에서 문법이나 철자의 실수가 눈에 들어올 때마다 굳이 흐름을 끊고 지적질을 한다. 왜냐하면, 사업을 이해하는 데 지장은 없지만, 미국에서 사업을 하겠다고 하는 이 팀의 자세와 태도에는 이런 사소한 실수가 매우 큰 문제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영어권에서 사업을 하고 싶다면, 가장 기본 중 기본은 영어라는 그 언어 자체이다. 영어를 하는 사람들이 돈을 내고 사용하는 서비스를 만들고 싶다면, 그 누가 보더라도 이 제품은 비영어권 창업가들이 만들었다는 티가 전혀 나면 안 된다. 그런데 내가 만난 미국 시장을 공략하고 싶어 하는 많은 한인 창업가들이 만든 회사의 자료나 제품을 보면, 엉터리 영어가 너무 많다. 이 자료를 미국 VC들이 봤을 때 과연 어떤 생각을 할지, 이 창업가들은 한 번이라도 생각을 해봤을까. 엉성한 영어로 만들어진 이 제품에 미국인들이 과연 돈을 낼지 한 번이라도 생각을 해봤을까. 이런 생각을 해봤는데도 영어가 이 수준이면 팀의 역량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고, 이런 생각을 한 번도 안 해 봤다면 이 팀은 정말 생각이 없는 것 같다.

실은, 요샌 AI가 발달해서 번역의 수준은 좋아졌고, 특히나 문법적으로 틀린 영어는 많이 줄어들었다. 하지만, 영어라는 게 단순히 단어만을 번역해서 완성되는 게 아니라 이 단어들이 어떻게 문장을 만들고, 이 문장들이 어떤 맥락에서 사용되는지 잘 파악해야지만 진정한 영어가 완성되는데, 아직 AI는 이걸 완벽하게 하기엔 부족하다고 생각한다. 단순하게 기계로 번역한 문장을 보면 단어들은 잘 번역됐지만, 미국에서 실제로 사용하는 일상적인 언어라고 하기엔 굉장히 어색한 게 많다.

이 현상을 거꾸로 한번 생각해 보자. 유럽인들이 한국 시장을 타겟으로 하는 서비스를 만들었는데, “이 응용 제품을 받아주세요.”라는 한국어를 보면 누구나 다 이건 이상한 번역이라는 걸 알 것이다. 각각의 단어는 잘 번역됐지만, 한국에서 실제로 이런 말은 사용하지 않는다. “이 앱을 설치해 주세요”가 훨씬 더 컨텍스트에 맞는 우리말이다. 전에 한 회사의 한글 자료를 봤는데 어떤 현상이 바이럴하게 퍼진다는 문장을 단어 그대로 번역해서 “바이러스같이 퍼진다”라고 표기되어 있었다. 물론, 의미상으론 번역이 틀린 건 아니지만, 한국에서도 그냥 ‘바이럴’이라는 영어를 그대로 사용하는데, 이걸 모르고 번역했기 때문에 이런 결과가 나온 것이다. 이 문장을 보면, 이 자료는 한국인이 안 만들었다는 걸 금방 알아차릴 것이다.

그래서 미국 시장을 대상으로 사업을 하고 싶다면, 일단 영어부터 제대로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