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 이전 포스팅에 이어 비슷한 맥락의 글을 또 써본다.
할 수 있는 여건이 되는데도 두려움과 매너리즘 때문에 국도에서 고속도로로 진입하지 못하는 많은 회사들은 언젠가는 망할 확률이 높다. 좋은 비즈니스 모델을 찾아서 돈을 버는 사업 구조를 만들긴 했지만, 이 상황에서는 수익성이 엄청나게 좋진 않을 것이고, 이런 사업은 너무나 다양한 내, 외부 요소의 변화에 대한 면역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갑자기 돈이 많은 경쟁사가 시장에 나타나서 시장점유율을 뺐을 수도 있고, 직원들이 대거 퇴사하면서 막대한 퇴직금으로 회복할 수 없는 수준으로 비용이 증가할 수도 있고, 의존하던 유통 채널에 큰 변화가 생길 수도 있고, 그냥 너무 성장이 없어서 직원들이 하나둘씩 떠나면서 사업의 규모가 쪼그라들 수도 있다.
또한, 이런 비즈니스는 위에서 말한 대로 면역력이 그렇게 높지 않기 때문에, 매번, 매달, 매년 흑자를 내진 못할 것이다. 어떤 달은 살짝 적자가 날 수도 있고, 어떤 달은 일회성 비용이 확 증가할 수도 있다. 또한, 현금 보유량은 계속 유지되거나, 조금씩 증가할 수도 있지만, 물가상승률을 고려했을 때 임직원들의 연봉도 같이 올라야 하는데, 성장 없이 현 상태에서 이것저것 맞추다 보면 서서히 비즈니스는 줄어들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갑자기 새로운 경쟁사가 출현하거나, 대기업이 이 시장으로 진입하면, 면역력이 약한 사람이 단순 감기 탓에 사망할 수 있듯이, 이 사업은 한 방에 망할 수 있다.
즉, 계속 국도로만 가다 보면, 영어로 말하는 slow death를 맞이할 확률이 매우 높다. 그 속도가 너무 느려서 잘 못 느낄 뿐이지, 시간이 갈수록 이 사업은 천천히 침몰하는 배와 같이 천천히 속력이 줄어서 멈출 것이다. 우리 사업도 현재 느리게 죽고 있다면, 대표들은 아주 과감한 결정을 내릴 필요가 있다. 즉, 빨리 고속도로로 진입해야 한다.
과감한 결정을 했는데 그 방향이 잘못됐다면, 빨리 죽을 수도 있지만, 어쩌면 이게 느린 죽음보다 더 나을 수 있다. 바로 죽든, 느리게 죽든, 어차피 결론은 똑같이 망하는 것이라면, 그냥 지금 당장 망해서 대표와 임직원들이 하루라도 젊었을 때 다른 곳에 취직하거나, 다른 시도를 하는 게 모두에게 더 좋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 글을 다시 읽어보니, 조금 극단적이긴 하다. 어쨌든 우리 사업이 이렇게 천천히 죽어가는 건 아닌지, 대표들은 냉정하게 판단해 볼 필요가 있다.
과감한 결정 또는 변화가 없으면 죽음에 이를수 밖에 없다라는 기홍님의 글에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다만, 좀 다른 관점에서 생각해볼만한게 있지 않나 생각합니다. 저는 인간이 태어나서 걸음마를 띄고, 사춘기를 겪고, 청년이 되고, 결혼을 하고, 가정을 꾸리며 사회의 일원으로 사회에 기여하고, 결국에는 죽는게 자연스러운 일이라 생각됩니다. 억지로 ‘나는 절대 죽지 않을거야’라고 발버둥 처봤자, 늙그막에는 참 구린 삶을 살 가능성이 크다고 봅니다. 좀 깔끔하게 정리하고 세상을 떠나고 싶다라는 생각이 많이 들지요.
기업을 어떨까요? 저는 모든 기업이 반드시 영생을 해야 되고, 그렇게 하기 위해 항상 노력해야 한다고 믿어 왔습니다. 그런데 요즘에는 나이가 들어서 그런지, 조금 다른 생각이 들더군요. 한 사람이 명예롭고 즐거운 삶을 살다가 세상을 떠나듯, 하나의 기업도 찬란한 빛를 내어 세상과 사회에 공헌하다가, 적절할때, 깔끔하게 정리하여 사라지고, 다음 기업에게 그 자리를 넘겨주는것이 어떨까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기업은 반드시 영생을 해야 한다’라는 관점에서 조금 벗어나서 회사를 운용하면 조금 더 좋은 판단을 할수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도 해봅니다. 깊이 없는 글이었습니다.
글의 내용을 읽어보니, 쓰신 분은 직접 회사를 운영하는 창업가 분은 아닌 것 같네요. 스스로 만든 회사를 운영하고 있다면, 본인의 자식같은 기업을 적당한 타이밍에 정리하고, 다음 기업에게 자리를 넘겨줘야 한다는 말은 못 하실 겁니다 🙂
저희 회사는 고속도로 옆을 어슬렁거리다가 고속도로를 달리고 있는 차주에게 역으로 히치하이킹을 당하는 경우 같기도 하고… 아니면 톨게이트 앞에서 대형 화물트럭에 갈고리를 걸어 놓고 가는 경차 같기도 하고… 결국 조금 더 복잡하고 차선 변경이 만만치 않은 도로로 들어간 것임은 틀림 없는 것 같습니다. 사고가 난다면 더 큰 대형사고가 날 확률도 고속도로가 더 크겠죠? 작은 오솔길 산길을 간다고 그 자전거를 탄 사람이 나쁜 사람이나 무능력한 사람이라고 보기도 어렵고… 4륜 구동을 타고 헤집고 다니는 회사도 있을 것 같고… 오늘 IR인데 참 많은 생각이 듭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뭔가 내용이 좀 복잡하네요 ㅎ. 어쨌든 파이팅입니다!
저도 이 말에 전적으로 동감합니다. 가끔씩은 오솔길이 더 나을수도 있죠. 위험부담은 더 적으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