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piring

이 남자 – Gerald Hatten “Jerry” Buss

Jerry Buss2월 18일 미국 스포츠 업계에서는 매우 슬픈 사건이 하나 있었다. 로스엔젤리스의 프로농구팀 LA Lakers의 대주주 Gerald Hatten Buss (모두 Jerry Buss라고 부른다)가 타계했기 때문이다. USC에서 24살의 나이에 물리화학 박사학위를 받은 Buss 박사는 당시 얼마 벌지 못하던 교편을 계속 잡기 위해서 부업으로 부동산 투자를 시작했다. 그의 첫 부동산 투자는 1960년대에 로스엔젤리스의 한 아파트에 투자한 1천달러였는데 엄청난 성공을 거둘 수 있었고, 그 이후 교직을 그만두고 부동산 투자를 전문적으로 시작했다.

1979년도에 그는 LA Lakers 팀을 인수했고 그의 리더쉽 아래 레이커스는 최고의 전성기를 누렸다. 농구를 잘 몰라도 이름만 들으면 알 수 있는 선수들이 – 매직 존슨, 카림 압둘자바, 제임스 워씨, 샤킬 오닐, 코비 브라이언트, 빠우 가쏠 등 – 그와 한솥밥을 먹으면서 대성했고 레이커스는 챔피언쉽을 10번이나 거머질 수 있었다. 솔직히 나는 Jerry Buss라는 이름만 알고 있었지 그가 미국인들의 사랑을 이렇게 많이 받고 있었는지는 그가 죽은 후에 알게 되었다. TV만 켜면 온종일 Jerry의 죽음에 대한 소식뿐이고 어제 있었던 그의 추모식에는 코비 브라이언트 (현 Lakers 슈팅가드), 카림 압둘자바 (전 Lakers 선수), 샤킬 오닐 (전 Lakers 선수), 팻 라일리 (Miami Heat 사장/전 감독), 매직 존슨 (전 Lakers 선수), 데이빗 스턴 (NBA 총재), 필 잭슨 (전 Lakers 감독) 및 수많은 비즈니스 인사들이 직접 나와서 감동적이고 개인적인 추모의 이야기를 많이 했다.

자세히 들어보면 그냥 사탕발린 말들이 아니라 정말 마음속에서 나오는 진심어린 말들이었고, Jerry가 얼마나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았는지 생각하게 되는 순간이었다. 내가 죽으면 몇명이나 이렇게 좋은 말들을 해줄까? (욕 안 먹으면 다행일듯). 나도 죽으면 이 사람과 같이 되고 싶다.

Rest in peace Dr. Buss!

<이미지 출처 = http://onlyagame.wbur.org/2013/02/23/brunson-jerry-buss>

Yelp가 그랬으니까

얼마전에 Fast Company에 실린 Yelp와 창업자 Jeremy Stoppelman 관련 기사를 읽고 많이 공감하고 느낀 점이 있어서 몇 자 적어본다.

이 기사를 쓴 Max Chafkin 기자의 개인적인 경험으로 시작한다. 어느날 갑자기 그의 아이폰 홈 버튼이 죽어버렸다. 아무리 세게 눌러봐도, 새끼 손톱으로 살짝 이런저런 걸 다 해봐도 소용이 없었다. 아이폰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는건 그의 인생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것과도 같기 때문에 근처 애플 매장을 찾아갔더니 $200를 내고 아예 폰을 교체하라고 했다. 그는 일단 집에 왔다. 그리고 수개월 동안 고장난 홈 버튼을 달고 살아보려고 했지만, 도저히 답답해서 다른 방법을 찾기로 했다.

그는 Yelp 앱에서 “home button repair”로 주변 검색을 했다. 그리고 Peter를 발견했다. 피터는 샌프란시스코 금융 지역에 위치한 낡은 건물 7층의 다 쓰러져가는 코딱지 만한 가게에서 일하는 남아시아 출신의 30대 청년이다. 그의 사무실은 애플 스토어와는 비교가 안될 정도로 지저분하고 초라했다. 작업대, 생수기 그리고 낡은 가구들 몇개가 전부였다. 맥스는 이미 알고 있었지만 피터에게 쓱 한번 물어봤다. “도대체 다른 사람들은 여길 어떻게 알고 찾아오죠?”
그는 맥스를 쳐다보지도 않고 “인터넷이요,” 하면서 다시 아이폰 수리하기 바빴다.

피터와 같은 ‘동네’ 상인들과 구멍가게 주인들에게는 Yelp 자체가 어쩌면 인터넷 전부일지도 모른다. 그들에게는 Yelp가 없으면 비즈니스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맥스가 Yelp를 통해서 찾은 피터는 그가 사는 곳에서 800미터도 되지 않은 곳에 있었고 160명 이상의 리뷰어 중 140명 이상이 그에게 별 5개를 줬다. Yelp의 지도를 통해서 피터의 가게까지 가는데 10분도 걸리지 않았고 피터는 30분 만에 맥스의 아이폰 홈 버튼을 완벽하게 고쳐놓았다. 가격은 $89.
아마도 그날 밤 맥스는 피터한테 별 5개를 또 줬을 것이다. 그리고 이런 싸이클은 돌고 돈다.

이 이야기가 뭐가 그렇게 특별할까? 별거 아닌거 같지만 잠시 한번 생각해보자. 맥스는 자신의 목숨과도 같은, 인생 자체가 담긴 아이폰을 본명도 모르고 성도 모르고 아이폰 수리 자격증도 없는 아시아 출신의 피터라는 친구한테 아무런 의심없이 맡긴 것이다. 피터가 아이폰을 그냥 훔쳐갈 수도 있었다. 그리고 특별한 첨단기기도 없는 이 친구가 아이폰을 완전히 망가트릴 수도 있었다. 하지만, 그는 맡겼다. 왜냐하면 Yelp가 그러라고 했으니까. 그리고 Yelp는 맞았다. 피터는 더 저렴한 가격에, 더 빨리 아이폰을 완벽하게 고쳤으니까.

이거 엄청난거 아닌가? 사람들이 Yelp라는 서비스를 얼마나 신뢰하면 이런 놀라운 일들이 벌어질 수 있는지. 아, 정말 “서비스라면 이 정도는 되야지 어디가서 명함이라도 내밀 수 있겠구나”라는 생각을 많이 했던 날이였다.

여러분들은 Yelp와 같은 믿을 수 있는 서비스들을 알고 계시나? 혹시 이런 경험이 있다면 답글로 공유 부탁한다.

(실리콘 밸리) 디자인은 숫자다

얼마전에 500 Startups 주최의 흥미로운 conference에 참석했다. 요새 부쩍 관심 대상이 되고 있는 UI/UX 관련 Warm Gun이라는 디자인 전문 행사였는데 최근에 내가 참석했던 그 어떤 행사보다도 재미있고 유익했던 1일 conference 였다. 행사의 슬로건도 “The 1-Day Conference on Measurable Design (정량화/수치화 할 수 있는 디자인에 대한 하루짜리 conference)” 이었는데 디자인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는 나도 여러가지 생각을 하고 느낀 점이 많았다. 흔히 ‘디자인’ 이라고 하면 우리는 약간 미친 예술가들이 뜬구름 잡는 형체가 없는 예술이라고 생각을 하지만, 실리콘 밸리의 생각은 “수치화할 수 없는 디자인은 말 그대로 수치화 할 수 없는 뜬구름일 뿐이다” 이라는 느낌을 다시 한번 강하게 받고 왔다.

아직도 마음속에 강하게 남아있는 몇가지 learning들:

  • 실리콘 밸리에서 가장 필요하지만 가장 찾기 힘든 인력은 ‘코딩할 수 있는 디자이너’ 들이다. 코딩할 수 있는 디자이너들은 – 찾을 수만 있다면 – 핵폭탄급 인력이다.
  •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B2C 서비스에서 중요한 수치는 딱 3가지인데 바로 how many / how long / how much 이다. 우리 사이트를 몇명이 방문하는지 (how many), 그들이 얼마동안 오래 체류하는지 (how long), 그리고 그들로 인해서 얼마의 매출 또는 전환이 일어나는지 (how much). B2C 서비스를 운영한다면 다른건 보지말고 how many / how long / how much로만 이야기를 해라. 이에 대한 수치가 없거나, 이 수치들에 대한 설명을 하지 못하면 영리 서비스는 존재할 필요가 없다.
  • 디자이너들도 숫자로 이야기를 해야한다. 왜냐하면 디자이너들의 비전/환상/그림과 개발자들의 코드 사이에는 엄청나게 큰 공간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전사적으로 이 gap을 좁힐 수 있는 유일한 건 ‘숫자’이기 때문이다.

기업문화에 대해서

대기업이든 스타트업이든 ‘기업문화’에 대한 이야기들을 많이 한다. 회사의 올바른 성장과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좋은 기업문화가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해서는 경영학 학자가 아니라도 누구나 어느 정도는 알고 있을 것이다. 나도 좋은 기업문화를 만드는 게 얼마나 힘들고, 그 기업문화가 전사적으로 퍼지고 뼛속까지 파고들려면 얼마나 긴 시간이 걸리는지에 대해서는 어렴풋이 알고만 있었는데 최근에 직접 체험하고 느낀 점들이 있어서 몇 자 적어본다.

에너지 드링크로 유명한 Red Bull의 북미 본사가 LA에 있는데 얼마 전에 방문할 기회가 있었다. 시간이 좀 남아서 난 근처 스타벅스에서 커피를 하나 사서 마시면서 Red Bull 입구로 들어갔다. 일단 리셉션에서 check-in을 하는데 리셉셔니스트가 나를 한심하다는 표정으로 보면서,

리셉셔니스트: 지금 도대체 뭘 마시고 있나요?
나: 커피 먹고 있는데…왜요? 어차피 (레드불과) 같은 카페인 아닌가요?
리셉셔니스트: Oh my god…그런 쓰레기를 마시다니…

뭔가 좀 찜찜한 기분으로 로비에 있는 소파에 앉아서 미팅 상대를 기다렸다…커피를 마시면서. 그런데 로비를 왔다 갔다 하는 모든 레드불 직원이 지나가면서 나랑 내 손의 스타벅스를 번갈아 보면서 좋지 않은 표정과 함께 고개를 절레절레 저으면서 지나갔다. 아무리 얼굴에 철판을 깐 나이지만 이 정도 되니까 이 회사의 분위기 파악이 되면서 스타벅스를 들고 있는 손이 좀 민망해져서 커피를 그냥 쓰레기통에 버렸다. 그러자마자 리셉셔니스트가 갑자기 차가운 레드불 한 캔을 가지고 왔다. “이런 게 바로 진짜 음료수죠.”라고 매우 자랑스럽게 말하면서…

솔직히 난 레드불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오히려 한국의 박카스를 더 좋아하면 좋아했지……하지만, 레드불에서의 불쾌/유쾌했던 이 경험은 ‘기업문화’에 대한 아주 강한 이미지를 내 머리에 각인시켜 줬다. 솔직히 ‘리셉셔니스트’라는 포지션은 일반적으로 아주 low level의 포지션이다. 내가 아는 다른 회사의 모든 리셉셔니스트들은 회사에 대한 애사심은 전혀 없다. 대부분 회사가 뭘 하는지 잘 알지도 못한다. 그냥 리셉션에 앉아서 미소를 지으면서 손님 안내하고 회사에서 시키는 일만 하면 되는 그런 포지션이다. 그리고 언제나 대체할 수 있는 인력이라는 게 회사의 생각이자 본인들의 생각이기도 하다.

그런데 레드불의 리셉셔니스트는 타사의 드링크를 마시고 있는 손님한테 감히 시비를 걸면서까지 자기 회사의 제품을 홍보하고 권했다. 그냥 회사에서 시킨 게 아니라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애사심 때문이었다. 미팅 내내 레드불은 회사의 대표이사부터 말단 리셉셔니스트까지 ‘Red Bull’이 전 직원의 핏속에 흐르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 대단한 하드코어 기업문화다.

애플도 레드불 만만치 않은 기업문화가 있다. 스티브 잡스의 영향을 받아서 그런지 전사적으로 ‘디자인’ 우선주의 문화가 팽배해 있다. 애플 제품을 배달하는 물류창고에 가보면 작업자들이 애플의 사과 로고가 모두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박스를 트럭에 차곡차곡 싣는다고 한다. 어느 날 애플 본사의 한 중역이 그 이유를 물어보니 트럭 기사가 하는 말이 트럭을 열었을 때 애플 로고가 모두 잘 정렬된 거를 보면 고객들 얼굴에 웃음꽃이 피고 그걸 볼 때마다 너무 행복하고 자랑스럽기 때문이라고 했다고 한다. 누가 시키지도 않은 건데 정말 대단하고 약간 무섭기까지 한 애플의 기업문화이다.

가끔 난 생각한다. 레드불과 애플과 같은 회사와 경쟁한다는 게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이런 기업문화를 이기려면 그 경쟁사들은 얼마나 더 탄탄하고 잘 정립된 문화가 필요할까?

<이미지 출처 = Viralscape>

LIFE

내가 1974년 생이니까 한국 나이로는 이제 38이다. 물론 적지 않은 나이지만 그렇다고 아주 많은 나이도 아니다. 그만큼 애매한 나이인거 같다. 우리 인생 자체가 고민 투성이고 죽을때까지 “인생은 무엇일까?”라는 질문을 스스로에게 하지만 왠지 ’40’이란 숫자는 굉장히 특별하고 심각하게 느껴진다.
올해는 특히 바쁜 와중에도 지금까지 살아온 삶과 앞으로 이 삶이 어떻게 변할지에 대해서 진지한 생각과 질문들을 많이 한거 같다. 뭐, 거창한거는 아니고 그냥 이 나이의 모든 사람들이 고민하는 그런 것들. 가족, 직장, 일, 돈 등…..

그러다 언젠가 마더테레사가 인생에 대해서 쓴 글을 읽었다. 많이 공감했고 그냥 복잡하게 생각하지 말고 긍정적으로 인생을 살되 정말 열심히 살아야 겠다는 다짐을 했다:

Life is an opportunity, benefit from it. Life is a beauty, admire it.
Life is a dream, realize it. Life is a challenge, meet it. Life is a duty, complete it.
Life is a game, play it. Life is a promise, fulfill it. Life is sorrow, overcome it.
Life is a song, sing it. Life is a struggle, accept it. Life is a tragedy, confront it.
Life is an adventure, dare it. Life is luck, make it. Life is life, fight for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