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piring

제시카 알바와 ‘벤처 정신’

이번 주에 열린 TechCrunch Disrupt 2012 행사에 한국에서도 인기가 많은 할리우드 여배우 제시카 알바가 스피커 중 한명으로 참석했다. 배우로써가 아니라 LA 기반의 연쇄 창업가 Brian Lee와 The Honest Company를 공동창업한 창업가로 ‘당당하게’ 행사에 초대받은 것이다. 사회자가 그녀에게 스타트업을 하면서 배운 점에 대해서 물어봤다. 나는 그냥 “너무너무 재미있다” 정도의 흔해빠진 답변이 나올 줄 알았는데 그녀의 답변은 의외로 간단했다. 하지만 그 표정과 목소리에는 진정성이 있었다.

스타트업은 너무 너무 너무 힘들어요. 정말로.

세상의 모든걸 가진 제시카 알바도 할리우드에서 많은 고생을 하고 지금 스타덤의 자리에 올랐다. 잘 알려진 사실이지만 그녀는 어렸을적 폐렴과 합병증 때문에 학교보다 병원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냈다. 그리고 연기에 대해서는 잘 모르겠지만 그녀도 성공하기 전에는 무명의 시절이 있었을 것이고, 분명 힘들었을 것이다. 그런 그녀가 스타트업이 힘들다고 했다. 이 말을 할때 나는 제시카 알바의 표정과 눈을 잘 봤다. Bullshit이 아니라 진심이었다.

스타트업 하는 사람들은 다 안다. 이게 정말 쉬운게 아니라는걸. 인생의 모든걸 바쳐도 안될 확률이 더 큰, 어쩌면 처음부터 지는 싸움이라는 걸. 어렵지 않다고 느끼는 사람들은 그냥 대충 하는 사람들이다. 벤처정신이 부족한 사람들이다.

‘벤처 정신’은 정확히 뭘까? 전에 내가 벤처 정신으로 똘똘 무장한 일본인 아카이와씨에 대한 재미있는 글을 하나 쓴 적이 있는데, 아마도 그냥 힘든 상황에서 굳은 각오로 남들의 따가운 시선과 비난을 받으면서도 목표를 추구하는 정신일 것이다. 스타트업을 하다보면 누구나 다 한번 정도는 벤처정신으로 밀어붙인 경험이 있을것이다. 없다면 오히려 이상한거다.

실리콘 밸리에서 요즘 잘나가는 Airbnb 또한 벤처 정신이 느껴지는 미국 민주당 전당대회 일화로 유명하다. 2008년 오바마를 대통령 후보로 추대하는 민주당 전당대회가 콜로라도의 덴버에서 열렸다. 몇만명에서 수십만명까지 모이는 행사여서 주위 숙박시설은 턱없이 부족했고 수천에서 수만명이 숙소를 찾지 못해 전전긍긍했다. 여기서 에어비앤비의 진가가 발휘되면서 엄청나게 많은 트래픽이 에어비엔비로 몰리기 시작했다. 행복한 고민이었지만 이들은 폭발하는 트랙픽을 감당하느라 서버도 늘리고 회선 속도도 늘리느라 수입보다 지출이 훨씬 많이 발생했다. 창업팀은 신용카드 네 개를 한도까지 털었고 물론 개인 저축도 다 올인했다.
하지만 그래도 모자랐고 이 기발한 청년들은 그때 기지를 발휘했다. 민주당원에게 잠자리도 팔았는데 다른건 왜 못 팔랴. 오바마 대통령 후보 얼굴 그림이 그려진 시리얼을 아침으로 팔기로 했다. 물론, 그림과 포장 디자인은 자체적으로 해결했다.

일반 시리얼을 1,000상자 사서 500개는 오바마 그림이 그려진 상자로, 나머지는 매케인 (공화당 후보) 그림이 그려진 상자로 재포장했죠. 원래 3 달러정도 하는 걸 40 달러에 팔았는데 오바마 시리얼은 동났어요. 당분간 에어비앤비를 운영할 자금을 모았죠. 매케인 시리얼은 많이 남았는데, 식사비용을 아끼려고 저희가 다 먹었어요.

에어비앤비는 시리얼 판매로 3만 달러를 벌었고 곧 Y Combinator한테 투자를 받았다. 그리고 지금은 1조원 이상의 밸류에이션을 받는 슈퍼 스타트업이 되었다.

스타트업 운영은 (정말 정말 정말) 어렵다. 그래서 보통 정신이 아닌 벤처 정신으로 자신을 무장해야 한다. 이렇게 죽기 살기로 노력해도 성공은 보장되지 않지만, 노력 없이는 성공도 없다. 에어비앤비 창업팀이 시리얼을 길거리에서 강매했다면, 우리는 못해도 이 정도는 해야한다.

나 또한 이런 경험을 여러번 했다. 배기홍의 벤처정신이 궁금하면 ‘스타트업 바이블 2: 31계명 – 벤처 근성은 기본이다‘를 참고하도록. 그리고 여러분들의 벤처정신 경험도 같이 공유해주면 좋겠다.

성공적으로 실패하기 2

*이 글의 전편인 ‘성공적으로 실패하기 1‘을 먼저 읽으면 도움이 될 수도 있습니다

항상 강조하는거지만 인생을 살다보면 – 특히, 스타트업은 그 강도가 100x – 실수와 실패는 삶의 일부가 된다. 빈도와 강도는 다르겠지만 누구나 다 실패를 한다. 실패한다고 성공하는건 아니지만, 실패없는 성공은 없다. 성공한 사람들의 공통점은 바로 이런 실패를 잘 극복하고, 실패로부터 배워서 성공했다는 점이다. 왜 어떤 사람들은 실패 후 성공할 수 있고 어떤 사람들은 실패 후 폐인이 될까? 전에 쓴 글에서 바로 이 차이는 ‘성장 마인드(growth mindset)’라고 했다. 즉, 필요한 ‘시간’과 ‘노력’만 투자하면 무엇이든 더 좋게 만들고 향상할 수 있다는 마음가짐만 있으면 지금은 실패해도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으면서 계속 노력하면 성공할 수 있다는 이론이다.

지난 25년 동안 사회학자들은 실패를 극복하고 성공한 사람들에 대해 많은 연구를 했다고 한다. 그리고 이러한 ‘성장 마인드’는 누구나 다 만들 수 있지만, 중요한거는 어릴적 형성되는 ‘배움’에 대한 자세에 달렸다고 한다. 간단하게 정리하자면 실패를 극복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지능은 선천적이라서 아무리 공부를 해도 배울 수 있는건 개개인의 절대적인 지능에 달렸다고 믿는다. 어려운 문제에 직면하면 이들은 “내 머리는 여기까지야. 이런 문제는 나한테는 무리야”라면서 좌절하고 실패한다. 하지만, 실패를 극복하는 사람들은 지능은 노력하면 향상시킬 수 있다고 믿는다. 어려운 문제에 직면하면 이들은 “조금만 더 생각하고 노력해보자. 시간이 걸릴뿐 분명히 해결할 수 있어”라는 자세를 갖는다. 물론, 그렇다고 이들이 문제를 반드시 해결하는건 아니다. 대부분 실패한다. 하지만, 계속 노력하고 배움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는 이런 자세를 지속적으로 개발하면 궁극적으로 과거에는 풀지 못하던 문제들도 풀 수 있는 결과를 만들 수 있다.

실패를 극복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왜 지능은 고정되었다고 생각할까? 이건 우리 모두가 반성해야한다. 바로 IQ 테스트가 한 사람의 총명함을 측정하는 유일한 척도라고 간주하는 우리 사회와 문화의 전반적인 분위기 때문이라고 한다. 어렸을적 본 IQ 테스트에서 높은 IQ를 받으면 그 사람은 커서 좋은 학교에 가서 훌륭한 사람이 될거라고 아직도 우리는 학교와 가정에서 배운다. 그리고 우리는 애들을 칭찬할때 “너 정말 너무 똑똑하구나!”라고 하지 “너 정말 열심히 노력했구나!”라고는 잘 안한다.

하지만, 그렇다고 실망하지 말자. 사회학자들은 실패를 극복하고 성공을 가능케하는 ‘성장 마인드’는 훈련을 통해서 만들어질 수 있다고 한다. 2007년도에 스탠포드와 컬럼비아 대학의 심리학자들이 이와 관련된 실험을 한 적이 있다. 100명 이상의 중학교 1학년 학생들(대부분 수학을 잘 못하는)을 대상으로 약 8주 동안 공부에 대한 워크샾을 진행했다. 100명의 학생들은 두개의 그룹으로 나뉘어졌고 각 그룹은 숙제를 효율적으로 하고, 공부시간을 어떻게 하면 더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훈련과 지시를 받았다. 두개의 그룹이 받은 학습 자료의 내용은 달랐다.

한그룹은 “당신의 지능은 향상될 수 있습니다(You Can Grow Your Intelligence)”라는 내용의 자료를 받았다. 새로운 학습을 할때마다 뇌신경 세포들이 강화되어 지능이 좋아질 수 있다는 조사결과에 대한 내용의 자료였다. 이 그룹의 학생들은 이 자료의 내용을 큰 소리를 내면서 읽었다. 다른 그룹은 기억력의 작동 원리에 대한 자료를 공부했다.
예상했듯이 결과는 판이하게 달랐다. 워크샾에 참여하기전에는 100명의 학생 모두가 다 지능은 선천적이고 고정되어 있다고 믿었지만, 지능은 향상된다라는 자료를 읽은 그룹은 8주가 지난 후에는 노력하면 지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강한 믿음을 갖게 되었다. 그리고 이 그룹은 그 이후로 다른 그룹의 학생들보다 전반적으로 수학문제를 더 잘 풀었고, 문제해결에 대한 노력과 동기부여가 다른 그룹의 학생들보다 월등했다고 한다.

인생이 편하고 모든일이 술술 잘 풀리면 지능이 낮든 높든, 그리고 고정되어있든 향상가능하든 큰 상관이 없다. 하지만 연속되는 실패와 실수를 극복하면서 계속 인생을 살아야 한다면(대부분의 인생같이), 노력을 통해서 선천적으로 주어진 능력과 지능을 향상할 수 있다고 믿는 사람들만이 실패를 극복하고 성공할 수 있다. 바로 하루에도 수십번의 좌절과 실패를 경험해야하는 – 그러면서도 계속 앞으로 나아가서 결국엔 성공해야하는 – 스타트업 인생을 살아가는 모든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자세이다.

영어에는 이런 말이 있다.

“When one door closes another door opens”(by Alexander Graham Bell)

즉, 한개의 기회를 놓치면 다른 기회가 온다는 의미이다. 하지만, 바로 내 앞의 문이 닫히면 수많은 다른 문 중 한 문을 열기 위해서는 남들보다 각고의 노력이 필요하다. 나를 비롯해서 오늘도 수많은 실패를 직면해야하는 한국의 창업자들을 생각하면서 이글을 써봤다.

이 글과 연관이 있는 몇개의 과거 포스팅들:
한국이여 – 실패를 우대하자!
Life and Rejections
Trophy Kids

참고:
-The Wall Street Journal “Flummoxed by Failure – or Focused?” by Ken Bain
-The Wall Street Journal “The Art of Failing Successfully” by Jonah Lehrer 

불평하지 말자

얼마전에 Between 앱을 개발하는 VCNC의 새 사무실을 방문할 기회가 있었다. 봉은사 옆에 있는 깔끔한 새건물, 20명+의 자신감 넘치는 젊은이들, 그리고 그 역동적인 회사의 주인장 박재욱 대표. 왜 나는 초반에 이런 회사에 투자하지 않았을까라는 후회를 잠시 했다.

농담이고, 내가 VCNC 창업팀을 처음 만난건 2011년 5월이다. 당시만 해도 갓 창업한 4개월된 스타트업이었고, 사무실은 서울대 앞의 정말 허름한 건물안의 작은 공간이었다. 그 작은 사무실에서 나는 창업멤버 5명과 2시간 정도 이야기할 기회가 있었고 그들의 멋진 눈빛과 긍정적인 에너지에 큰 감명을 받았던 기억이 난다. 당시만해도 Between은 화이트보드 위의 아이디어였고 과연 연인들을 위한 closed social 공간이 인기가 있을지 나는 의문을 가졌다. 분명히 VCNC 주위 사람들도 이런 의구심을 가졌을테다. 그리고 서울대 나온 똑똑한 친구들이 취직은 안하고 다 쓰러져가는 사무실에서 뭐하는 짓인지 욕하는 사람들도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이들은 불평하지 않고 묵묵히 개발했고 결국 대작을 하나 만들었다. 내 생각엔 한국에서 개발된 앱 중 가장 완성도가 높고 global expansion의 가능성이 있는 서비스같다. Team VCNC는 결과로 모두에게 보여줬다.

스타트업 인생은 고달프다. 육체적으로도 힘들지만, 정신적으로는 정말 힘들다. 내가 쓰는 글들을 읽으면 스타트업 인생은 마냥 즐겁고 멋진 동화같지만 실제로는 매우 외롭고 스트레스의 연속인 삶이다. 지금 스타트업을 하려고 하는 사람들이 있다면 단단히 각오하고 시작해라. 그리고 이왕 시작했으면 징징거리지 말아라. 힘들다고 불평하고 징징거릴거 같으면 시작하지 말아라. 그렇지 않다면 조용하고 묵묵하게 끝을 봐라. 그리고 VCNC와 같이 결과와 숫자로 증명하면 된다. 그렇게 못할거 같으면 지금 당장 그만둬라.

한국 스타트업과 박세리 선수

세계 여자 골프대회 중 최고 권위의 대회인 US Women’s Open을 한국의 최나연 선수(24세)가 조금 전에 우승했다. 원래 최나연 선수를 좋아했고, 프로 초기시절부터 계속 관심있게 봐왔던 선수라서 나도 괜히 흥분되고 많이 기뻤다. Day 1, 2는 못 봤지만 Day 3, 4는 놓치지 않고 전 hole을 봤는데 이번 오픈을 보면서 몇가지 생각을 해본게 있다.

상대적으로 어리고 프로투어에서의 경험이 부족한 최나연 선수의 압도적인 우승에 큰 기여를 한 사람은 바로 그녀의 캐디 Shane Joel이다. 나도 몰랐는데 한때는 Tiger Woods도 탐을 냈던 유능한 캐디라고 한다. 최나연 선수의 샷이 곤경에 빠지거나 자신감이 없을때 Shane은 그녀에게 매번 자신감과 확실한 방향성을 제시해줬다. 나는 Shane이 마치 스타트업의 co-founder와 같다는 생각을 계속 했다. 창업자는 매순간 불확실성과 싸워야하는데 이럴때마다 방향성과 조언을 제시하는건 그의 co-founder이다.

끝까지 경쟁하면서 플레이한 다른 한국인 Amy Yang 또한 큰 역할을 했다. 그녀가 없었다면 최나연 선수는 긴장감과 절실함이 없어서 좋은 스코어를 내지 못했을 수도 있다. 스타트업에서 본다면 Amy Yang은 경쟁사인 셈이다. 강력한 경쟁이 있는 분야의 스타트업들이 그렇지 못한 스타트업들보다 훨씬 실적이 좋다.

마지막으로, 그리고 이게 가장 중요한 요소인거 같다. 박세리 선수가 없었다면 오늘의 최나연 선수는 탄생하지 않았을 것이다. 실은 오늘 최나연 선수가 승리한 Blackwolf Run 코스는 바로 한국사람이라면 누구나 다 기억하는 14년 전 1998년 박세리 선수가 ‘양말투혼’을 발휘하면서 US Women’s Open을 우승했던 그 동일한 코스이다. 골프 불모지였던 한국에서 1998년 박세리 선수의 US Open 우승을 시작으로 엄청난 골프 열풍이 불었고, 이 열풍을 제대로 받은 극성 부모들은 막강한 ‘세리 키즈’들을 만들었다. 세리 키즈들은 현재 세계 LPGA 무대를 압도하고 있다. 숫자가 이를 뒷받침한다. 2001년 이후 LPGA 대회를 가장 많이 우승한 나라는 11승을 보유한 대한민국이다(미국이 10승으로 2위). 최나연 선수 또한 14년 전 박세리 선수의 우승을 TV로 보고 “나도 반드시 우승해야지”라는 각오를 했다고 한다.

한국 스타트업계에서도 반드시 박세리 선수와 같은 사람이 나와야 한다. 아직도 글로벌 시장에서 성공한 한국의 스타트업은 없다. 그리고 실리콘 밸리에서 알아주는 한국인 창업가 또한 아직 단 한명도 없다. 내가 해보고 싶었지만, 아직까지 나는 근처에도 못갔다(하지만 계속 노력하고 있다). 박세리 선수가 US Open을 우승한거와 같이 글로벌 시장에서 제대로 성공하는 한국의 스타트업이 단 하나만 배출되면 반드시 이 성공을 따라하려는 후배 창업가들이 더 많이 생길 것이다. 내가 이 업계에서 일하는 동안 한국 스타트업계의 ‘박세리’ 선수가 탄생하면 좋겠다.

동물사랑 엽서카드 (1만원에 20장)

나는 자랑할만한 동물애호가는 아니지만, 4년 4개월 정도 개를 (마일로) 키우면서 반려동물에 대한 내 시각과 인식에는 많은 변화가 생겼다. 요새 자주 느끼는건데 ‘개만도 못한 인간들’이 이 세상에는 너무 많은거 같고, 말도 못하고 지능도 우리보다 한참 떨어지는 (개의 지능은 3살 ~ 5살 인간의 지능과 비슷하다고 한다) 마일로가 무슨 생각을 할지 가끔 궁금할때가 있다.

이 모든게 반려동물을 사랑하는 우리 와이프 JJ 덕분이다. JJ가 관련된 ‘동물과 함께 행복한 세상 (People Defending Animals)‘에서 현재 동물구조와 치료 후원금 마련을 위한 어린이 동물사랑 엽서카드 판매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한 세트 (20장)에 1만원인데, 평소 동물을 좋아하거나 아니면 그냥 엽서가 필요한 분들한테는 괜찮은 deal이다.

주문/구매는 ‘동물과 함께 행복한 세상’ 페이스북 페이지 쪽지 (Message)로 다음 사항들을 보내면 된다 (Like를 하지 않아도 쪽지 보내기 가능):

1) 엽서 갯수: (예: 2세트)
2) 받으시는 분 성함:
3) 받으실 곳 주소:
4) 입급자명: *엽서 받으시는 분 성함과 다른 경우.
(꼭 기재해 주세요. 그렇지 않으면 동행의 회계 담당자님께서 확인을 하실 수가 없답니다.)
입금하실 때에 메모적요란에 꼭 ‘엽서-홍길동’ 이라고 기재해주세요.
5) 연락가능한 전화번호 (집전화/핸드폰)
6) 연락가능한 이메일 주소

엽서 주문 입금계좌: 하나은행 862-910004-59104 (동물과 함께 행복한 세상)

*쪽지로 주문해주시면 입금확인하고 6/15에 일괄 배송합니다. 한 세트 가격: 10000원(배송비용: 2,000원 일괄 책정)
예) 한 세트를 주문하는 경우: 12,000원
두 세트를 주문하는 경우: 22,000원
세 세트를 주문하는 경우: 32,000원…
네 세트: 42,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