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piring

Stand by Me – 기억속에 오래 남을 영화

stand-by-me스티븐 킹의 원작 소설 “The Body”를 아는 분들은 많이 없지만, 이 소설을 영화로 만든 Rob Reiner 감독의 “Stand by Me”라는 작품을 모르는 사람들은 별로 없을 것이다. 영화를 보지 않은 사람들도 영화와 같은 이름의 Ben E. King이 부른 노래는 (영화의 주제곡) 한 번 정도는 들어봤을 것이다:

“When the night has come, and the land is dark. And the moon is the only light we will see…”

이렇게 시작하는 노랜데 워낙 유명하고 많이 사용되는 곡이라서 적어도 내 나이 또래 또는 나보다 더 나이 드신 분들은 다들 들어보셨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1986년 작품인 이 영화를 나는 어렸을 때 본 기억이 어렴풋이 난다. 솔직히 그때는 어려서 아직 이 영화의 제작 의도도 잘 몰랐고, 무엇을 말하려는 영화인지도 잘 몰랐는데 올해가 이 영화의 25주년이라고 해서, 다시 한 번 제대로 봐야겠다는 생각을 하고 주말에 와인 한잔 하면서 영화를 다시 봤다.

이 영화의 배경은 1959년 여름 오레곤 주의 Castle Rock이라는 동네이다. 참고로, Castle Rock이라는 가상의 동네는 Stephen King의 소설을 보면 자주 등장하는 지명이다. 주인공들은 4명의 어린 동네 친구들 Gordie LaChance (Will Wheaton), Chris Chambers (River Phoenix), Teddy Duchamp (Corey Feldman)와 Vern Tessio (Jerry O’Connell)이며, 영화는 이제는 세월이 흘러서 한 아이의 아버지가 된 Gordie의 나레이션을 통해서 전개된다. 영화는 결국에는 각자의 길로 뿔뿔이 흩어질 운명의 4명의 초등학생의 눈을 통해서 보게 되는 세상이 배경이 되는 일종의 성장 영화이다. 제리 오코넬이 열연한 Vern이 다른 동네에서 죽은 시체를 봤다는 동네 형들의 이야기를 몰래 엿듣고, 그다음 날 그와 3명의 어린 친구들은 이 시체를 직접 찾으러 나선다. 시체가 있는 동네로 가기 위해서 철길을 따라 걸으면서 이 4명의 소년이 겪는 평범한 일상의 내용이 이 영화의 주 내용이다. 그리고 그들은 결국 시체를 찾지만, 애초 계획했던 대로 이 시체를 찾아서 동네의 영웅이 되는 걸 선택하기 보다는 익명의 제보를 하고 다시 집으로 걸어서 묵묵히 돌아온다는, 목적보다는 과정에 초점을 맞춘 영화이다.

1시간 28분짜리 영화는 이제는 한 아이의 아버지이자 작가 된 어른 Gordie LaChance (Richard Dreyfuss)가 1959년 여름의 모험을 회상하며 다음과 같이 컴퓨터 화면에 글로 정리하면서 끝난다:

“나는 그 이후로, 12살이었던 그해 여름의 친구들과 같은 진짜 친구들을 다시는 사귈 기회가 없었다. 요새 그렇지 않은 사람들이 있을까? (I never had any friends later on like the ones I had when I was twelve. Jesus, does anyone?)”

그리고 “Stand by Me” 노래가 잔잔하게 흘러나오면서 엔딩 크레딧이 나오기 시작했다. 엔딩 크레딧이 화면을 타고 밑으로 내려가는걸 보면서 기분이 묘했다. 눈물이 찔끔 났던 것도 같다.

이제는 다시는 돌아갈 수 없는 그때 그 시절이 그리워서? 이제는 죽어서 다시는 스크린에서 볼 수 없는 River Phoenix가 그리워서? 어릴 적 친구들과의 우정이 그리워서? 아니면 그냥 나이를 먹어서 밤에 와인 한잔 하니까 센티 해져서?

아마도 위에서 언급한 여러 가지가 복합적으로 작용을 한 게 아닐까 싶다. 이메일, Facebook과 Twitter로 60% 이상의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나를 비롯한 현대인들. 이제는 친구들과의 연락도 전화기를 들어서 번호를 눌릴 용기조차 없어서 비겁하게 Facebook으로 하는 나한테 많은 생각을 하게 한 영화였다. Stand by Me의 4명의 주인공과 같이 찐하고 physical 한 우정을 내가 경험했던 게 도대체 언제였을까…. 아마도 그때 그 시절을 같이 보냈던 지금은 거의 연락을 하지 않는 친구들이 갑자기 막 그리워져서 가슴 한쪽이 아려왔던 거 같다. 더욱더 여운이 남는 거는 나 자신도 아마도 죽을 때까지 그 친구들과 연락할 일이 없을 거라는걸 어렴풋이 알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

아무리 돈이 많고, 힘이 세고, 성공했어도 인간은 혼자서 살 수가 없다. 우리 모두 인생의 어느 시점에서는 누군가의 도움과 위로가 필요하고 누군가 옆에서 stand by를 해 줄 사람이 필요하다. 그 ‘누구’는 친구가 될 수도 있고, 아내/남편이 될 수도 있고, 가족이 될 수도 있고 아니면 반려동물이 될 수도 있을것이다. Stand by Me는 억지로 감동을 주거나 인위적으로 관객의 눈물을 유도하는 그런 영화가 아니다. 이 영화를 본 후에 흘리는 눈물은 아주 솔직하고 정직한 내면에서 나오는 눈물이다. 아주 오래오래 내 마음속에 남아 있을 영화다.

마지막으로 Ben E. King의 감미로운 목소리로 다시 한 번 주제곡 “Stand by Me”를 감상해보자. 들으면서 지그시 눈을 감고 항상 순탄하지만은 않지만 그래도 살만한 가치가 있는 아름다운 우리 인생과 이러한 우리의 인생을 더 아름답게 만들어 준 어릴 적 친구들에 대해서 잠시나마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을 가져보자.

<이미지 출처 = https://www.pinterest.com/pin/306596687109364952/>

해보긴 해봤어?

해봤니.“중요한 것은 비평가들이 아니다. 공功은 실제 경기장에서 먼지와 땀 그리고 피에 뒤범벅되어 용맹스럽게 싸우는 자의 몫이다. 그는 실수하고 반복적으로 실패한다. 또 가치 있는 이유를 위해 열정과 헌신으로 자신을 불태운다. 무엇보다 그는 마지막에 주어지는 위대한 승리와 패배를 알기에, 그것들을 전혀 모르는 차갑고 겁 많은 영혼들과 결코 함께하지 않는다.”
-‘민주주의의 시민의식’연설 중. 1910년 4월 23일 파리 소르본 대학. 테오도어 루스벨트, 미 대통령-

현대그룹의 고 정주영 회장이 입버릇처럼 하던 말이 있다고 하는데 바로 “해보긴 해봤어?”라고 한다(물론 그 특유의 악센트와 톤으로). 그가 살아생전에 직원들한테 힘든 일을 시키면 항상 돌아오는 답변은 “회장님, (이렇고 저렇고 해서) 그건 안될 겁니다. 이미 다른 자동차 회사들이 시도해봤는데 실패하지 않았습니까.” 였다. 그러면 그는 바로 “그래서 니가 해보긴 해봤어? 니가 해보고 그런 말을 하는 거야 아니면 남이 그랬다는 거야?”라고 바로 받아치면서 해보지도 않고 으레 겁먹고 포기하는 직원들을 야단쳤다고 한다.

“해보긴 해봤어?”

아, 정말 단순하면서도 많은 걸 내포하고 있는 질문이다. 나도 일을 하면서 이 말을 자주 하는데 정주영 회장같이 남들한테 그러기보다는 나 스스로 이 질문을 많이 던진다. 글로벌 시장을 상대로 벤처기업을 운영하는 건 생각만큼 어렵고 고달픈 일이다. 불행하게도 아직 뮤직쉐이크는 Pandora나 Spotify와 같이 유명하고 수백만 명의 글로벌 인구들이 즐기는 음악 사이트로 성장하지는 못했지만, 지금까지 미국 시장에서 이룩할 수 있던 건 미약한 발전들은 모두 ‘남들이 뭐라고 하든 간에, 일단 한번 직접 부딪혀 보고 판단하자.’라는 생각이 있었기에 가능했던 거 같다. 오늘은 이와 관련 내 최근 경험을 공유해 보려고 한다.

뮤직쉐이크 플랫폼의 강점 중 하나는 바로 빌보드 차트의 웬만한 곡들을 뮤직쉐이크의 음원들로 재구성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걸 거꾸로 해석해보면 바로 웬만한 기성곡들을 뮤직쉐이크 플랫폼에 입력해서 유저들이 손쉽고 간편하게 – 음악의 지식이 전혀 없어도 – 리믹스를 할 수 있다는 매우 파워풀한 비즈니스 모델이 나온다. 2008년 2월, 미국 사무실을 설립할 당시, 우리는 팝 가수들의 유명 곡들을 가지고 리믹스 할 수 있는 application을 만들어서 우리의 브랜딩과 매출을 폭발적으로 늘릴 수 있는 다양한 방법에 대해서 고민을 하였고 많은 연구와 조사를 했다. 이걸 가능케 하려면 해결해야 할 일들이 많이 있었지만, 가장 어렵고 먼저 해결해야 하는 음원의 ‘저작권’이라는 게 걸려있었다.

저작권이라는 건 정말로 복잡하고 이해하기 힘든 용어이다. 나도 음악을 원래 하던 사람이 아니고, 음악 산업에서 오래 몸을 담았던 사람이 아니기 때문에, 그 당시만 해도 IT 바닥에서 유일하게 음악 저작권을 접할 수 있었던 건 Napster와 관련된 안 좋은 기사들뿐이었다. 뭐, 이 세상 모든 것이 주인과 권리가 있듯이 음악도 누군가는 그 권리를 가지고 있다는 건 당연한 거지만 뮤직쉐이크가 특정 곡을 가지고 리믹스를 하려면 과연 누구한테 어떤 허락을 받아야 하는 것일까?

지금부터 내가 하려고 하는 이야기는 – 그리고 이건 짧은 버전이다. 1년 6개월 동안 아직도 정신 차리지 못하고 있는 음반 산업 사람들과 우리가 경험하고, 배우고, 울고, 웃고 (웃을 수 있었던 사건은 거의 없었던 거 같다), 그리고 스트레스받았던 걸 모두 설명하려면 이 또한 책 한 권이 나올 수 있을 거 같다 – 고 정주영 회장의 “해보긴 해봤어?”가 왜 중요한지 잘 설명해줄 것이다:

일단 나는 주위에 있는 음악 좀 한다는 인간들과 LA에 깔린 크고 작은 음악 전문 엔터테인먼트 변호사들부터 시작했다 – 우리가 이런 걸 하려는데 이렇게 하려면 누구한테 어떤 허락을 받아야 하는지를 물어봤다. 참으로 신기하고 답답했던 건 바로 50명한테 이 질문을 하면 돌아오는 답변은 50가지였다. 어떤 이들은 유니버설과 같은 음반사에 돈을 주고 저작권 문제를 해결하면 된다고 했다. 어떤 변호사는 음반사랑 퍼블리셔들한테 동시에 권리를 clear 해야 한다고 했다. Black Eyed Peas의 리더 Will.i.am.의 매니저는 그냥 바로 가수한테 허락만 받으면 만사 오케이라고 나한테 여러 번 컨펌을 해줬다. 그리고 할리우드에서 가장 잘나가는 엔터테인먼트 변호사인 – 시간당 $700 이상 버는 – K씨는 그건 불가능하다고 했다. 왜냐하면 뮤직쉐이크의 경우 유저들이 같은 곡을 가지고 수만 개의 리믹스를 만들 텐데 그 리믹스 하나씩 파생 저작권(derivative right)이라는 게 생기고 각 파생 저작권에 대해서 음반사들이 공식적으로 승인을 해야 하기 때문이라고 했다. 유니버설과 소니 뮤직에서 15년 이상 임원을 하셨던 분은 나 같은 음악산업 경험이 전무한 애송이가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라고 했다. 뮤직쉐이크와 같은 회사와 음반사들을 전문적으로 중간에서 연결해주는 브로커들이 있으니까 이들을 통해서 일해야지만 가능한 일이라고 했다.

어쨌든 전반적인 의견들을 종합해보면, 우리가 하려는 거는 거의 불가능한 거기 때문에 그냥 아예 시간 낭비 하지 말라는 거였다.

과연 그런 것일까? 아니, 서로 돈을 벌 수 있는 비즈니스가 여기 있는데 아무리 선례가 없더라도 웬만큼 비즈니스 마인드가 있는 사람들이면 이야기라도 해볼 수 있는 여지가 있지 않을까? 아무도 도와주지 않으려고 했고, 아무도 해보지 않으려고 했기 때문에 나는 항상 그랬듯이 내가 직접 해보기로 했다. 일단 나는 언제나 그랬듯이 스탠포드와 워튼 주소록을 통해서 음반사에서 일하고 있는 동문의 연락처를 땄다. 그리고 약 70명 이상 동문의 이메일/전화번호를 따서 하나씩 연락을 해서 내 상황을 설명하고 이 바닥이 도대체 어떻게 돌아가는지를 좀 배우는 거부터 시작을 했다. 연락되는 경우도 있었고, 안되는 경우가 더 많았지만 어쨌든 나는 여기저기 사람들을 많이 소개받아서 LA와 뉴욕을 왔다 갔다 하면서 (대부분의 음반사가 LA와 뉴욕에 본사를 두고 있다) 열심히 미팅과 데모를 했다. 운 좋게도 이런 과정에서 우리는 Universal Music Group의 전설적인 CEO Doug Morris와도 미팅했고 – 신기한거는 이렇게 음악 산업에서 짬밥을 많이 먹은 분들도 우리의 리믹스 권리에 대해서 100% 시원하게 설명을 해주지 못하더라 – 대략 1년 6개월의 기간 동안 음악 산업 사람들 100명 이상과 전화 통화와 미팅을 했다.

내가 배우고 느낀 점은? 직접 해보지 않은 수많은 사람이 나한테 알려 줬던 거와는 달리 우리가 하려고 하는 게 의외로 단순하고,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이다. 가령, Bruno Mars라는 가수의 (한국에서도 유명한지 모르겠지만, top of the top 가수이다) “Just the Way You Are”라는 빌보드 1위 곡에 관해서 이야기를 해보자. 이 곡을 부르는 가수는 Bruno Mars이고 그는 Warner Music Group이라는 음반사(music label) 소속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곡을 가지고 뭐라도 하려면 워너 뮤직을 통해서 Bruno Mars라는 가수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이 과정을 흔히 업계에서는 master 승인을 받는다고 한다.
그러면 끝인가? 그렇게 간단하지는 않다. 왜냐하면 노래를 부르는 가수 못지않게 그 노래를 작사/작곡한 송라이터들도 이 먹이사슬에서 중요한 위치에 있기 때문이다. 중요한 건 웬만한 곡들은 한 명의 송라이터가 아닌 여러 명의 송라이터들이 작업을 하므로 모든 송라이터들의 승인을 받아야 하는 게 중요하다. 대부분의 유명한 송라이터들은 소속사가 있는데 바로 이 소속사들이 우리가 흔히 말하는 퍼블리셔(publisher)들이다. EMI Publishing과 같이 크고 유명한 기업형 퍼블리셔들이 있는가 하면 그와는 반대로 지구 반대쪽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있는 구글로 검색해도 찾을 수 없는 송라이터를 관리하는 퍼블리셔 또한 있다. “Just the Way You Are”라는 곡은 복잡하게도 8명의 송라이터들이 있고 – 그 중 2명이 곡의 80%를 작사/작곡했고, 나머지는 노래 가사 중 한 줄만 작사한 사람도 있다 – 이 곡을 사용하려면 이 8명의 송라이터들의 소속 퍼블리셔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이 부분이 조금 시간이 걸리는 프로세스이다. 특히, 유명하지 않은 퍼블리셔는 연락처를 찾기가 쉽지 않아서 재수 없으면 지구를 반 바퀴 돌아서 직접 찾아가 승인을 받아야 하는 고통을 감수해야 한다.

일단 위에서 내가 말한 게 기본 와꾸이다. 특정 곡에 대해서 그 권리를 가지고 있는 모든 이해관계자를 파악하고, 이들로부터 하나하나씩 승인을 받아야지만 그 곡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곡을 통해서 발생하는 모든 수익은 정해진 %에 따라서 분배된다. 이 지루하고 복잡했던 1년 6개월의 경험을 통해서 내가 느낀 점은, 대부분의 사람은:
1/ 위와 같은 이 바닥의 판 짜임새 자체를 모르고 있다. 알려고 하지도 않는다.
2/ 알아도 “와, 이 많은 사람을 언제 어떻게 컨택하냐”라면서 스스로 해보기도 전에 포기한다.
3/ 그리고 직접 해보는 극소수의 사람들은 하다가 중간에 가수/label/퍼블리셔들과 이야기가 잘 안 되어서 일을 진행하지 못한다.
4/ 이도 저도 아니고 나한테 처음부터 무조건 불가능하다고 말한 사람들은 지네들은 직접 해보지도 않고, 해볼 노력도 하지 않고 위의 1번, 2번, 3번 사람들의 말만 듣고 마치 본인이 직접 해본 마냥 남들한테 떠벌리고 다니는 사람들이다.

나는 운이 좋게도 주위 많은 분의 도움을 받아서 1년 6개월간의 지루하고 집요한 시도 후 많은 가수/매니저/음반사/퍼블리셔들과 인간적으로 친해졌고 정확한 절차를 밟은 후에 우리가 사용하고자 하는 몇 곡들의 권리를 받을 수 있었다. 그 첫 번째가 얼마 전에 출시한 Jackson 5의 “ABC” Remix 아이폰 앱이었고 3월에 또 다른 대형 히트곡의 리믹스 앱을 출시할 예정이다. 물론, 이 모든 과정이 내가 여기서 말하는 거와 같이 쉽고 차곡차곡 진행된 거는 아니다. 많은 어려움이 있었고, 중간에 그냥 포기할까 하는 생각을 한 적도 있었지만, 다행히도 결론은 성공적이었고 나랑 우리 회사 사람들은 이제는 웬만한 엔터테인먼트 변호사들보다 이 바닥의 법칙과 생리에 대해서 잘 알고 있다고 자부할 수 있다.

2010년 8월 ‘스타트업 바이블’이 출간된 이후로 꾸준히 독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많은 독자분은 언젠가는 창업해서 자신만의 스타트업을 꿈꾸는 젊은 학생들이다. 그런 그들에게 내가 가장 많이 받는 질문 중 하나는, “제가 이런 아이디어가 있는데 창업할 수 있을까요? 투자를 받을 수 있을까요? 배기홍님은 어떻게 생각하세요?” 이런 질문을 받으면 나는 화가 난다. 이 친구들아 – 그걸 나한테 물어보면 어떻게 하냐. 당신들이 직접 해보기나 하고 나한테 물어보는 거야? 자신이 가지고 있는 아이디어로 창업할 수 있을지를 나한테 물어보지 말고, 직접 해봐라. 그리고 투자를 받을 수 있을지 없을지도 직접 시도해보면 금방 답이 나온다. 그걸 나한테 물어보느라 이메일을 쓰는 데 시간을 낭비하지는 말아라. 직접 해보고 고객들의 반응이 있다면 이미 좋은 서비스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직접 해봤는데 고객들의 반응이 없다면, 어떻게 하면 될까를 고민하면 된다. 만약 그 단계에서 나한테 이것저것 조언을 구하고자 하면 그땐 나도 기꺼이 도와주고 피드백을 주겠지만, 직접 부딪혀보지도 않고 처음부터 제삼자의 의견을 구하지 말라고 나는 충고하고 싶다. 나한테 물어봐서 내가 “아, 그건 정말 말도 안 되는 아이디어니까 할 생각도 하지 말아라.”라고 해서 안 할 것이라면, 창업 생각은 하지도 말고 그렇지 않다면 일단 직접 해보라고 강력하고 권장하고 싶다.

뮤직쉐이크를 미국에서 한 3년 정도 운영한 이후로 나는 남의 충고나 의견을 잘 물어보지 않는 버릇이 생겼다. 그리고 주위 분들이 나한테 “이건 이렇게 해야 하는 거야” “그건 해봤자 안되니까 하지 말아라”라는 말을 하면 나는 그냥 웃어넘기고 – 약간의 비웃음과 함께 – 그들의 말을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는다. 어떤 이는 이런 나의 태도에 대해서 “너 대가리 좀 컸다고 많이 건방져졌구나.”라고 말을 하지만 그건 나의 본질을 전혀 모르는 사람들의 그릇된 의견일 뿐이다. 모든 사람의 조언을 내가 무시하는 건 아니다. 자기들이 해보지도 않고 여기저기서 들은 말을 가지고 마치 자신들이 경험한 일처럼 이야기하는 그런 사람들의 말만 나는 무시한다. 불행하게도 내 주위 대부분의 사람이 이렇다.

그래서 그런지 나는 오로지 내가 직접 해보고 경험한 후에서야 비즈니스 결정을 내린다. 그렇게 해야지만 회사와 직원들, 그리고 자신을 위한 올바르고 하늘을 우러러봤을 때 부끄럽지 않은 결정을 내릴 수가 있다. 참고로, 지금까지 남들이 불가능하다고 말한 일들의 80% 이상이 직접 해보니까 가능했었고, 나머지 20%도 단지 시간이 조금 걸릴 뿐이지 불가능하다고 나는 생각하지 않는다.

주말에 처음으로 디즈니랜드를 다녀왔다. 우리 집에서 차로 15분도 걸리지 않는 가까운 거리에 있지만, 애도 없고 귀찮아서 지금까지 한 번도 안 가봤는데 그래도 나중에 멀리 이사를 가게 되면 아쉬울 거 같아서 가봤다. 이미 디즈니랜드보다 더 재미있고 새로 생긴 놀이공원들을 경험해서인지, 파크 자체는 조금 시시했지만, 공원을 떠나면서 나를 계속 감동하게 한 거는 바로 연 매출 40조 원 이상의 세계 최대 media/entertainment 기업의 시작은 88년 전 미키 마우스라는 생쥐에서 출발했다는 생각이었다. 로이와 월트 디즈니씨가 애니메이션을 시작으로 전 세계인을 감동하게 할 수 있는 엔터테인먼트 왕국을 꿈꾸는 거에 대해서 수많은 주위 사람들이 손가락질하고 비웃었을 것이다. 디즈니 형제는 그런 비난과 손가락질을 무시하면서 자신들의 꿈과 믿음을 직접 실행에 옮겼고 그 과정에서 실패와 실패를 거듭했지만 결국에는 성공했다. 그들을 비웃고 비난하던 많은 사람이 지금은 디즈니사의 열혈 주주인 사실이 매우 아이러니컬하지 않을 수가 없다.
스타트업에 종사하든, 제조업을 하든, 구멍가게를 운영하든, 비영리 단체에서 일을 하든 간에 새로운 일을 벌이기 전에 특히 남들이 불가능하다고 하는 그런 일들, 그리고 본인조차 의구심을 살짝 갖게 되는 그런 류의 일들 – 스스로에게 항상 다음의 질문을 던져봐라:

“해보긴 해봤어?”

내가 장담하건대 대부분의 일이 직접 부딪혀서 해보면 잘 해결될 것이고, 정말 최선을 다했는데 안 된다면 적어도 나중에 남들한테 떳떳하게 “내가 해봤는데 그건 잘 안되더라”라고 말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런 사람들은 왜 안되는지를 잘 분석해서 다시 해보고 또 해봐서 결국에는 성공하더라.

글이 조금 길었지만, let’s all remember. 이 “해보긴 해봤어?” 정신이 바로 소 한 마리로 시작한 구멍가게를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현대그룹으로 성장시켰고, 쥐새끼 한 마리로 시작한 만화를 전 세계에 감동을 가져다주는 디즈니 그룹으로 만들었다는 사실을.

<이미지 출처 = http://rossovir.tistory.com/1031>

Y Combinator의 투자 조건: 창업자의 “굳은 의지”

얼마전에 실리콘 밸리로 잠깐 출장 갈일이 있었는데, 시간이 좀 남아서 스탠포드 대학 캠퍼스에 잠깐 들렸다. 내가 스탠포드에 입학했을때가 1999년 9월이니까 벌써 12년 전인데 놀랍게도 아직도 내 입학 동기 몇명이 같은 연구실에서 post-doc을 하고 있었다. 뭐, 그들만의 사정은 있지만 – 중간에 한국에서 군대다녀온 친구들도 있고, 재수없게 박사과정 말년에 담당 교수가 돌아가셔서 새로운 교수 밑에서 박사 프로그램을 다시 시작한 후배도 있었다. 그래도 12년째 학교에 있는다는건 좀….
어쨌던간에 마침 한 공대 강의실에서 창업 관련 세미나가 진행되고 있어서 뒷문으로 몰래 들어가서 편한 의자에 앉아서 12년 전 학창 시절 생각에 잠시 잠기면서 주위 학생들과 이런저런 이야기를 해봤다. 실리콘 밸리의 심장에 위치해 있어서일까, 마치 스탠포드 대학 학생들은 창업을 위해서 학교를 다닌다는 강한 느낌을 받았고 창업에 대한 생각과 철학들이 학부생치고는 (학부 졸업반이라고 해봤자 우리 나이로 22살밖에 안되는 애송이들이다) 나름대로 대단하다는 느낌을 받았다.
주제를 조금 바꿔서 – 스탠포드 대학생들이 가장 우러러보고 투자를 받았으면 하는 VC는? KPCB? Sequoia? Accel? 모두 엄청난 VC들 이지만 이날 내가 10명 이상의 스탠포드 학생들과 이야기를 해보니 바로 Y Combinator의 Paul Graham이라는 이야기를 모두가 이구동성을 했다.

Loopt, Reddit, Xobni, Bump…이 스타트업들이 시작할 수 있었던 Paul Graham이 창업한 Y Combinator의 종자돈이 있었기 때문이다. 지난 2년동안 Y Combinator는 40개 이상의 스타트업들이 시작할 수 있도록 소액의 종자돈을 제공했다. 이 VC가 남들보다 먼저 유망주들한테 투자를 할 수 있는 이유 중 하나는 바로 많은 대학생들과 first-time entrepreneur들이 스스로 Y Combinator한테 돈을 달라고 접근을 하기 때문인데 이 중 어떤 스타트업들이 Y Combinator한테 투자받을 수 있을까? Entrepreneur 잡지에서 Paul Graham과 이 주제를 가지고 인터뷰를 했다:

1. 스타트업이 성공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건?
창업자/창업팀입니다. 우리가 6년동안 Y Combinator를 운영하면서 배운 점이 하나 있다면, 비즈니스 아이디어 보다는 창업자가 누군지를 잘 봐야한다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우리와 같이 종자돈 단계에 투자를 하면 실제 비즈니스 보다는 사람들한테 투자하는것이기 때문입니다. 빌 게이츠가 19살에 Microsoft를 창업했을때, 그가 당시 가지고 있었던 사업 아이템은 Altair라는 마이크로컴퓨터를 가지고 하는 사업이었는데 솔직히 그 아이디어는 상당히 말도 안되는 거였죠. 그러니까 그 당시에 마이크로소프트에 투자를 한 사람들은 비즈니스보다는 빌 게이츠라는 창업자의 가능성에 투자를 한거죠.

2. 창업자가 제일 중요하다면, 당신은 창업자의 어떤 자질을 봅니까?
굳은 의지 (determination) 입니다. 우리가 6년전에 투자를 시작했을때 우리는 똑똑한 창업자들을 선호했죠. 그런데 하다보니 똑똑한 사람들과 스타트업의 성공과는 큰 상관이 없더라구요. 어떠한 어려움과 험난함을 극복하고, 남들이 뭐라하던 자기가 하고자 하는 일을 해내는 굳은 의지 – entrepreneurship과 스타트업은 이거 빼면 시체입니다 (이 부분은 내가 첨가).

3. 창업자가 굳은 의지를 가지고 있는지 어떻게 판단하나요?
우리는 창업자들과 인터뷰 시작 후 10분만에 투자 결정을 합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그들의 아이디어에 대해서 물어보는거죠. 많은 질문들을 하는데 대부분의 질문들에 대해서 망설이지 않고 답변을 한다면 (맞고 틀리고를 떠나서), 하고자 하는 비즈니스에 대해서 많은 생각을 했다는 좋은 현상입니다. 장황하지 않고 아주 간결하게 답변하는것도 중요합니다. 창업자들이 본인들이 하고 싶은거에 대해서 정말 잘 알고 있다면, 아주 짧은 몇 마디로 핵심적인 이야기를 할 수 있습니다.

4. 좋은 아이디어인지 아닌지는 어떻게 알죠?
대부분의 좋은 아이디어는 처음에는 아주 안좋은 아이디어 같습니다. 하버드 대학생들의 연락처였던 Facebook은 처음에는 정말 말도 안되는 비즈니스 아이디어였겠죠. 구글 창업 당시 이미 10개 이상의 잘나가는 다른 검색 엔진들이 있었고, 검색 엔진이라는 비즈니스가 얼마나 재미없고 인기없는 비즈니스였냐면 당시 모든 검색 엔진들이 스스로를 ‘포탈’이라고 부르기 시작했으니까요.
이 바닥에서 성공의 정도는 리스크에 비례합니다. 즉, 최고의 스타트업 아이디어들은 – 소위 말하는 대박나는 아이디어들 – 창업자와 투자자들도 “이게 과연 될까”라고 약간의 의심을 가지고 시작하는 그런 아이디어들입니다.

5. 그말은 당신은 대박 나는 아이디어와 그렇지 못하는 아이디어를 구분할수 있다는 말인가요?
글쎄요…그래서 우리는 투자할때 항상 창업자들한테 투자하는거죠^^

거친 창업가 정신만이 살길이다

1997년 타계한 프랑스 태생의 재력가, 금융인 그리고 정치인이었던 Sir James Michael “Jimmy” Goldsmith씨가 죽기 얼마전에 다음과 같은 말을 한적이 있다. “거칠고 천박함은 가끔은 에너지의 원동력이 될 수 있습니다. 고상함을 가지고 있는 귀족들이 아닌, 듣보잡인 천박한 것들이 어느날 갑자기 등장해서 성공할 수 있는 이유도 그 거친 천박함 때문이죠.”
그러면서 그는 사회가 발전하려면 유전자 pool이 지속적으로 바뀌고 갱신 되어야 한다고 했다. 그렇지 않고 똑같은 유전자를 가진 인간들만 존재하는 사회는 필히 망할것이라는 매우 중요한 포인트를 지적했다.

Facebook과 우정에 관한 영화 The Social Network에도 이와 비슷한 내용이 나온다. 평범한 미 중산층 출신의 Mark Zuckerberg는 은수저를 물고 태어난 전형적인 귀족가문 출신의 Winklevoss 쌍둥이 형제들한테 Harvard Connection이라는 온라인 서비스를 위한 웹사이트를 만들기 위해서 ‘채용’된다. 저커버그는 그 중 괜찮은 아이디어를 훔쳐서 자신만의 웹서비스를 개발하고 이게 바로 전세계 6억13억 인구가 매달 사용하는 Facebook의 모태가 된 것이다. 쌍둥이들은 그들의 막강한 사회적 지위와 파워를 – 엄밀히 말하면 할아버지와 아버지 빽 – 이용하여 저커버그를 고소한다. 하지만, 저커버그는 그러한 와중에 정식 교육을 받은 적이 없고 거칠게 살아온 인터넷 비즈니스의 반항아이자 이단아인 Napster의 공동 창업자 Sean Parker와 힘을 합쳐서 그 누구도 꿈꾸지 못했던 그만의 비전을 실행한다.
대부분의 성공한 창업가들은 우리가 속해있는 사회의 틀을 깨려는 반항아들이 많다. 극단적으로 말하면 그들은 현체제의 질서를 어지럽히는, 수구세력에 대한 위협이자 분열을 상징한다. 기존세력들은 처음에는 코웃음을 치면서 이들을 무시하지만, 이들이 성공하면 현사회는 그들을 흡수하려고 온갖 수단과 방법을 동원한다. 마치 저커버그와 그만의 “시간낭비를 위한 웹사이트”를 기존세력들이 비웃다가 갑자기 될 거 같으니까 너도나도 어떻게 밥숟가락 하나 놓으려는거와 같이.

창업, 노력, 고생, 땀 – 솔직히 로얄 패밀리에서 태어나거나 부자 아버지 잘 만나서 월마트가 (Wal-mart) 벽지파는 가게인줄 아는 사람들한테는 우스운 단어들이다. 왜 사서 고생을 하려 하는가? 그냥 학벌이랑 빽을 이용해서 인생 쉽게 놀면서 살면 되는 걸 굳이 왜 창업을 해서 온갖 리스크를 감수하고 실패를 경험하려 하는가? 그들한테는 ‘창업가정신’이란 비웃음거리일 뿐이다.
하지만, 나와 같은 대다수의 서민들은 선택의 여지가 별로 없는게 또한 현실이다. 남들보다 성공하고 더 부자가 되려면, ‘천민’들은 매일 역경과 싸워야할 것이다. 그리고 그런 과정에서 많은 창업가들이 실패해서 포기하는게 현실이다. 하지만, 실패를 하든 성공을 하든 이들의 창업가 정신과 노력은 고용을 창출하고, 대기업들보다 월등한 기술혁신을 일으킨다.
상속이 아닌 노력과 땀으로 부를 축적하는 우리 주위의 창업가들이야말로 우리의 경제를 탄탄하고 건강하게 만드는 고마운 사람들이다. 부자 부모님이나 ‘은수저’가 없었기 때문에 이들은 더 높이 날기 위해서 스스로를 채찍질하면서 열심히 노력했던 것이다. 건강한 자본주의 시스템을 더욱 더 강하게 만들 수 있는건 바로 이러한 창조적 파괴 – 창조적 사고를 가진 신규세력들이 낡은 기술, 기업, 브랜드, 제품을 파괴하는 행위 – 이다.

문학인 George Bernard Shaw는 다음과 같은 말을 한적이 있다: “기존 틀에 얽매이지 않는 터무니없는 사람들이 이 세상을 발전시키는 진정한 힘이다.”
미국과 유럽, 그리고 더 나아가서는 전 세계의 유일한 마지막 희망은 바로 이 터무니없는 인간들인 창조적 창업가들이다. 이 지독한 불경기로부터 세계를 구출할 슈퍼맨들은 대기업의 임원들도 아니고, 마호가니 책상에서 개폼잡고 앉아 있는 사장들도 아니다. 스스로의 틀과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오늘도 지구의 한 구석탱이에서 피똥싸면서 창조적 파괴를 하고 있는 창업가들이다.

세계 경기 회복의 해답은 매끈한 다이아몬드와도 같은 귀족사회의 특권이 아닌 땀과 실력을 기반으로 스스로의 존재를 정당화할 수 있는 정재되지 않은 원석과도 같은 창업가들임을 우리는 다시 한번 명심해야한다. 거친 창업가 정신만이 살길이고, 그것은 바로 이 글을 읽고 오늘도 벌떡 일어나서 열심히 일하는 당신들이다.

<참고: Financial Times “Rough diamonds are our lifeblood” by Luke Johnson >
<이미지 출처 = http://www.diamondschool.com/index.php?option=com_content&task=view&id=34>

이 여자 – Felisa Wolfe-Simon

2010년 12월 3일 한국 시간으로 새벽 4시 NASA는 “우주생명체 관련 기자회견”을 전세계에 생중계했다. 이미 몇 주 전부터 나사는 ‘외계 생명체의 증거 탐색 노력과 관련한 충격적 발견’을 발표할것이라고 홍보를 하고 있어서 많은 전문가들과 비전문가들은 그동안 추측만 난무하던 외계 생명체에 대한 존재가 밝혀질것이라는 생각을 하였지만 실망스럽게도 – 나는 정말 실망했다. ET와 관련된 또는 영화 아마게돈과 같이 지구가 곧 멸망할것이라는 발표를 기대했었다 – 발표 내용은 외계 생명체가 아니었다. 다만 독성물질인 비소 (arsenic)에서도 박테리아가 서식 가능하며 이는 지구이외의 우주 환경에서 생명체가 발견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확대해 생각할 수 있다는 내용이었다.

이 대단한 박테리아를 최초로 발견하고 이 박테리아에 GFAJ-1라는 이름을 붙인 과학자 Felisa Wolfe-Simon은 하루만에 슈퍼스타가 되어버렸다. 많은 사람들이 GFAJ-1이라는 이니셜은 이제 하도 봐서 익숙해졌지만, 이 이니셜들 뒤에 숨은 사연을 아는 사람들은 드물다. 오늘 Wall Street Journal을 읽다가 나도 처음 알게된 사실인데 너무 흥미있어서 여기서 간단하게 소개해본다.
4년전 Felisa는 유명한 우주생물학자인 Ariel Anbar 밑에서 연구를 하던 아리조나 주립대학원의 어린 포닥 학생이었다. 그녀는 다른 포닥 학생들과는 달리 매우 도전적이고 실험정신이 풍부한 학생이었다고 한다. 원래는 오보에를 전공한 음악도였는데, 우연한 기회를 통해서 해양학 공부를 하게 되었고 아리조나 주립 대학으로 오면서 화학과 미생물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 당신 Felisa는 지구상에 존재하는 생명체들의 기원이 반드시 동일하지는 않다는 비주류의 사고를 하기 시작하였고, 반드시 이 세상 어딘가에는 인 (phosphorus)이 아닌 다른 물질을 – 비소와 같은 – 기반으로 만들어진 생명체가 살고 있을것이라는 강한 의문을 스스로에게 하였다. 인과 비소는 화학적 구조상으로는 유사하기 때문에 이론적으로는 충분히 가능하지만 주류 사회의 과학자들과 화학자들은 Felisa의 이러한 이론은 말도 안된다는 결론을 내렸다.

Felisa는 그 당시 아직 20대 후반이었고 아리조나 주립 대학에서의 계약직은 곧 만료될 시점이었다. 또한, 그녀는 이 분야에서 살아남고 성공하려면 쟁쟁한 선배들한테 적당히 아부하고, 크게 튀지 않고 연구활동을 해야지만 한다는 일반적인 상식을 알고 있는 연구 초년생이었다. 그녀와 비슷한 또래 대부분의 젊은 과학도들은 남들이 의문을 재기하지 않는 mainstream 연구 주제를 선택하여 본인들의 커리어를 안전하게 쌓고 있었지만 Felisa는 남달랐다. 그녀는 이러한 과학세계의 관료주의와 보수적인 사고를 경멸하였고 동료 과학자들은 절대로 택하지 않았을 일생 일대의 도박을 해보기로 결정하고 소신껏 새로운 이론을 뒷받침할 연구를 해보기로 하였다. 즉, 독성물질인 비소를 기반으로 번식하는 박테리아가 지구상에 존재한다는걸 증명해보기로 결심하였다.
문제는 과연 이런 말도 안되는 – 그 당시 기준으로는 – 연구 프로젝트를 funding 해줄 기관이나 개인을 찾는 것이었다. 어떤 비영리 기관에서 연구 비용을 제공하기로 하였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서 “너무나 이론적이고 추리적이다”라는 이유로 취소하였고 결국, 나사에서 이 연구를 지원해 주기로 하였다. Felisa는 나사의 돈으로 무장한채로 이 괴생명체를 찾기 위해서 요세미티 국립 공원 근처의 Mono 호수를 새벽부터 밤까지 매일 샅샅이 뒤지기 시작하였다. Felisa의 이러한 연구 프로젝트에 대해서 영국의 어떤 저명한 우주생물학자는 “비소 기반의 생명체를 찾는거는 완전히 미친 짓이다.”라고 할 정도로 주류 과학 사회에서 보는 그녀의 프로젝트는 말도 안되는 짓이었다.

하지만, 3년 후 Felisa는 그녀를 유명인사로 만들어줄 박테리아를 드디어 찾아버렸다. 그리고 그 박테리아에 GFAJ-1이라는 이름을 지어주었다. 
GFAJ는 무슨 약자일까? 바로 “Get Felisa A Job“의 약자라고 한다. 즉, 이 박테리아를 찾기 전까지 Felisa는 여기저기 계약직으로 일을하는 떠돌이 과학자일 뿐이었고 그녀는 이 박테리아를 찾으면서 본인한테 이제는 제대로 된 정규직 연구 직업을 달라는 의미로 GFAJ-1라는 이름을 붙인것이다.

이제 완전히 생물학계의 슈퍼스타가 된 Felisa가 job을 찾는데는 전혀 어려움이 없을것이라고 생각된다. 역시 스타트업이나 비영리 연구소나 큰 발전이나 도약을 하려면 이렇게 남들이 해보지 않고, 생각도 하지 않고 있는 분야에 도전해야 하는거 같다. 물론 여기에는 엄청난 risk, 어려움, 그리고 친구/적들의 손가락질과 비난이 반드시 동반되지만, 자신이 믿는 바가 있다면 Felisa Wolfe-Simon과 같은 신념의 도약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오늘도 많은 생각을 하게 되는 아름다운 토요일 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