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자 소개) 박은정 씨는 와튼스쿨 (Wharton School) 졸업한 후 현재 Top MBA 전문 컨설턴트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MBA 지원자들에게 도움을 준 경험을 기반으로 “미국 Top MBA 가는길(매일경제)“를 공저하였으며, 현재 자신만의 노하우와 지식을 바탕으로 최신 MBA 트렌드와 어느 학원에서도 해 주지 않는 진짜 MBA 이야기를 세상에 알리고 있습니다.
그녀는 연세대학교 상경계열 졸업 후 삼일회계법인에서 일을 했으며 현재 미국 동부 피츠버그에서 가족들과 함께 거주하고 있습니다. 박은정씨의 글에 대해 다른 의견이 있거나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mbaparkssam@gmail.com으로 연락주세요.
*박은정씨가 운영하는 ‘MBA의 길‘에 가시면 MBA 관련 더 많은 정보가 있습니다.
기억하시는 분도 계시겠지만, 제가 기고를 시작했던 生生 리포트 시리즈의 첫 번째 글은 “MBA에는 답이 있다? 없다?” 였습니다. MBA에 관심이 있다면 반드시 확실한 목표와 확고한 의지가 수반되어야 하고, 주변 사람들 다들 간다고, ‘왠지 안가면 안될 것 같아서, 일단 지원해놓고 보자’는 식의 생각은 위험하다는 취지의 글이었습니다. 그런데 주변을 잘 지켜보면, ‘원래 그렇게 대단했던 사람이 아닌 것 같은데, MBA 갔다와서 인생이 확 펴는 것 같은’ 사람이 있고, 반대로 ‘엄청나게 똑똑해 보였는데 의외로 MBA 다녀와서 고전하는’ 분들도 계십니다. 물론, 그 글에서도 말씀드렸듯이 MBA가 제공하는 기회의 문이란 의외로 좁고 특정 분야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시기를 조금 놓치거나 불운이 조금만 겹쳐도 목표달성이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희한하게 잘되는 사람들’은 운만 좋아서 그렇게 된 경우는 정말 드물었습니다. 제가 다년간 많은 MBA 재학생과 졸업생들을 지켜보면서, MBA에 와서 잘되는 사람들에게는 대체로 공통점이 있다는 걸 깨달았습니다.
우선, 실력과 열정은 기본입니다. 좋은 학교 졸업해서 좋은 회사에 몇 년 다녔다고 실력이 그냥 생기는 건 아닙니다. 본인이 얼마나 열정을 가지고 그 일에 몰입했는지가 중요하죠. 이 부분은 같은 업계 사람이 5분만 이야기해보면 파악이 가능합니다. 영어 실력과는 전혀 별개의 것이죠. 전직 USCPA셨던 어떤 분은 예전에 미국 투자은행 썸머 인턴 인터뷰에서, 몇 해 전 회계법인에 다니실 때 맡았던 글로벌 프로젝트에 (미국 쪽에서) 관여했던 MD를 만났습니다. 처음에 몇 분 정도 이야기를 하다가 그 프로젝트 이야기가 나왔고, 그 후 20여분간은 다른 건 묻지도 않고 반갑게 그 프로젝트 이야기만 하다가 끝났다고 합니다. 그리고 인턴 (나중에는 풀타임까지) 오퍼를 받으셨습니다. Technology나 science 같은 분야는 당연히 더욱 더 깊은 지식을 요구합니다. 흔하지는 않지만 종종 박사학위를 갖고 계신 분들이 MBA에 오실 때가 있는데, 이런 분들은 전문지식을 무기로 원하는 목표를 좀 더 수월하게 달성하시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실력과 열정이라는 기본 recipe 위에 꼭 필요한 요소가 있습니다. 제가 직접 경험하고 가까이에서 지켜본 결과, 성공적인 MBA를 위해서 꼭 필요하지만 특히 한국분들이 갖추기 어려운 미덕은 바로 ‘뻔뻔함’입니다. 기본적으로 예의를 중시하는 문화 때문인지는 모르겠지만 한국에서는 싫은 소리를 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잘 모르는 사이인데 내 단점을 지적질하는 사람이 있다면, 금새 ‘당신이 나에 대해서 뭘 아는데?’ 하는 생각이 듭니다. 잘 모르는 사람에게 싫은 소리를 하느니 그냥 피해버리는 게 우리 문화입니다. 그런데 참으로 골칫거리인 것이, MBA에서는 이 ‘지적질’이 참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입니다. 얼마나 중요하면, 모든 MBA 과정이 추천인에게 반드시 공통적으로 묻는 질문이 “지원자의 약점은 무엇이고, constructive feedback (약점에 대한 지적) 을 어떤 자세로 받아들이는가?” 하는 질문입니다. 당연히, 열린 자세로 (절대 감정적으로 기분나쁘게 받아들이거나 자존심 상해하면 안됩니다) 피드백을 받아들이고 그것을 스스로 발전의 동력으로 삼을 수 있는 태도가 바람직하다고 보고 묻는 질문이겠죠.
MBA에서는 ‘지적질’을 받을 만한 경우가 참 많습니다. 클럽에서, 친구들과, 선배들과 하는 모의 인터뷰에서도, 리더십 코스에서 하는 리더십 평가에서도, 남의 목소리로 나의 약점에 대해서 들어야 하는 고통스러운 상황들이 생각보다 꽤 자주 생깁니다. 기분좋을 리가 없습니다. 그러나 그럴 때마다 얼굴이 벌개지거나 소심해져서 입에 자물쇠를 채우는 사람은, 다른 사람을 불편하게 할 뿐 아니라 스스로도 발전의 기회를 놓치게 되는 셈입니다. 또한 이렇게 불편한 상황을 최대한 피하게 되어 다른 학생들의 피드백을 받거나, 내게 도움을 줄 만한 교수님이나 동문을 찾아갈 확률 자체가 더 적습니다. 반면 이러한 지적을 감정적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이성적으로 활용하는 이들이 있습니다. 상대방이 어떤 날카로운 지적질을 하건, ‘아 내가 그랬어? 그럼 그런 상황에서는 어떻게 대처하는 게 좋을지 알려줄 수 있어?’라며 스스로를 객관적인 견지에서 바라보고, 되려 더 적극적으로 도움을 구하는 이들입니다. MBA에서 원래 목표로 했던 소기의 목적, 특히 미국내 취업을 달성하시는 분들은 대체로 이런 면이 강하신 분들입니다. 영어를 못하더라도, 동기들이나 선배, 동문들을 계속 찾아가고, 질문을 하고, mock interview나 피드백을 부탁하고, 거기서 얻은 내용을 열린 자세로 받아들여 스스로를 발전시키는 기회로 삼습니다. 심하면 ‘뻔뻔하다’ 소리도 간혹 듣는 경우도 있을 정도로 말이죠. 그래서 MBA와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특히 미국 내 취업을 원하신다면, 정말 ‘지적당하는 것’과 ‘남에게 부탁하기’ 양쪽에 익숙해지시는 편이 유리합니다.
마지막으로는, 가능하다면 다양한 분야에 대한 에너지와 호기심을 갖추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Wharton MBA들은 매일 여러 개의 케이스를 읽고 팀 미팅도 하고, 목요일 밤에는 술도 참 많이 마시고, 토요일 오전에는 같은 그룹 (cohort)에서 하는 스포츠 이벤트에도 나가고, 짬짬히 mock interview에, 금요일에는 뉴욕에 가서 동문과 네트워킹을 병행 합니다. 한국 학생들은 이렇게 여러가지 멀티태스킹을 하는 데 익숙하지 않습니다. 단순한 영어나 체력의 차이는 아니고, 기본적으로 이 곳이 다양한 호기심과 많은 에너지를 가진 사람들의 집단이기 때문에 가능한 일입니다. 그런데 여러 활동에 깊이있게 참여하는 만큼 끈끈한 유대감과 동질감이 형성되고, 그것이 좋은 친구 혹은 동료로, 그리고 거기에서 또 다른 기회로 연결되는 경우들이 있습니다. 특히 한국인들이 많은 학교들에 다니는 경우 이런 부분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기가 어렵지만, 가능하면 한국인끼리만 교제하는 것보다는 MBA에서만 제공하는 다양한 활동에 최대한 많이 참여하는 편이 더 성공적인 학교 생활에 도움이 됩니다.
사실 타고난 성격을 바꾼다는 것은 말처럼 쉽지가 않습니다. 기본적으로 내가 30년 가량 살아온 삶의 방식, 우리 사회에서 용인하는 문화, 그리고 개인적인 성격과 깊은 연관이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MBA는 그만큼 우리에게 큰 변화를 요구하는 곳입니다. 그 댓가는 나 자신의 발전입니다. 성격을 바꿀 수 없다면, 즐길 수는 없어도 최소한 익숙해지는 것이 MBA를 통해 목표를 달성하는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