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누구나 알고 있는 아마존 이야기를 좀 하고 싶다. 아마존 코리아가 있긴 하고, 한국에도 AWS를 담당하는 팀은 있지만, 쿠팡과 같은 아마존 이커머스 조직은 현재 한국에 없는 거로 알고 있다. 그래서 한국에서도 아마존은 큰 브랜드가 되었지만, 실제 아마존의 B2C 서비스를 경험한 한국인은 아직은 별로 없다. 쿠팡이 아마존을 벤치마킹하고 여러 면에서 비슷한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그래도 쿠팡보다 아마존이 하는 일과 제공하는 서비스는 훨씬 다양하다.
작년 한 해 팬데믹 기간 동안 미국인이 가장 많이 사용한 서비스도 아마존이다. 백화점도 못 가고, 슈퍼도 못 가니까 대부분 아마존에서 필요한 물건을 주문했고, 갑자기 재택근무 체제로 돌입하면서 대부분의 기업이 AWS 인프라 위에 만들어진 원격 미팅 솔루션을 사용했고, 학교도 못 간 심심한 애들을 바쁘게 했던 게임이나 콘텐츠 스트리밍 또한 아마존의 AWS 인프라 위에서 운영됐을 것이다.
얼마 전에 Stratechery의 아마존 관련된 The Relentless Jeff Bezos라는 기사를 읽었는데, 아마존이라는 회사와 역사상 가장 위대한 tech CEO로 알려진 제프 베조스는 보면 볼수록 대단한 점들이 발견되는 것 같다. 솔직히 아마존이나 쿠팡을 이용해보면, 물건을 사는 게 너무 쉽게 느껴진다. 상품을 고르고, 돈을 내고, 문 앞에서 배송받고, 그리고 물건이 잘 못 왔다면 다시 반품하고 환불받는 프로세스까지, 이 모든 걸 아마존은 너무 쉽게 만들어놨다. 이런 고객의 편리함을 가능케 하는 뒷단의 모든 시스템을 아마존이 만들었고, 이 시스템은 매일매일 더 좋아지고 있다. 우리도 이커머스 회사에 투자를 많이 했고, 초창기에 창업가들이 직접 물건을 포장하고, 고객 응대하는 걸 하도 많이 봤기 때문에, 이 사업이 얼마나 지저분하고 어려운지 잘 알지만, 쿠팡이나 아마존을 사용하다 보면, “이렇게 쉬운 걸 왜 우리 투자사들은 잘 못 하지?”라는 바보 같은 질문을 가끔은 스스로 한다. 그만큼 아마존이 대단한 시스템을 만들었다.
많은 창업가가 본인이 어떤 불편한 경험을 한 후에,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책을 찾는 과정에서 창업한다. 그리고 소위 말하는 product-market fit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큰 사업을 만들어낸다. 아마존은 시작부터 약간 달랐는데, 베조스는 솔루션을 먼저 정의하고, 이 솔루션이 해결할만한 가장 큰 문제를 찾아가는 과정에서 인터넷으로 책을 판매해야겠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한다. 이걸 그냥 기사에서 읽으면, 그런가 보다 생각하겠지만, 곰곰이 생각해보면 굉장히 참신하고 대담한 접근 방법인 것 같다. 1994년도에 웹 사용량이 해마다 23,000%씩 증가하고 있었는데, 이 현상을 보고 베조스는 이렇게 빠르게 성장하는 인터넷이 결국엔 솔루션인데, 이 솔루션이 해결할 수 있는 가장 큰 문제에 대해서 고민했고, 결국 온라인으로 물건을 판매해야겠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한다. 오프라인에서 물건을 팔면 물리적인 공간이 필요하고, 더 많은 물건을 팔기 위해서는 더 많은 물리적인 공간이 필요한데, 이 비용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솔루션이 인터넷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럼 그 많은 카테고리 중 왜 책을 선택했을까? 당시 전 세계에 300만 권 이상의 책이 존재했는데, 단일 카테고리 중 가장 숫자가 높았기 때문에 책을 선택했다고 한다. 두 번째로 숫자가 높았던 카테고리가 음악인데, 당시엔 스트리밍이라는 게 없고 CD로 음악을 들었는데, 전 세계에 음악 CD가 30만 개 있었으니, 책이 월등하게 종류가 많았다. 오프라인 서점에서 진열하고 판매했던 서적이 당시 175,000권이었으니, 인터넷이야말로 이 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솔루션이라고 베조스는 결론 내렸다.
그 이후에는 모두 잘 아는 것처럼, 아마존은 모든 걸 파는 Everything Store로 변화하면서 공룡으로 성장했지만, 베조스에게 계속 고민거리를 줬던 건, 아마존의 비즈니스 모델은 물리적인 공간 문제를 인터넷이 해결해줬지만, 인터넷과 소프트웨어가 주는 또 다른 엄청난 장점인 제로 한계 비용과는 거리가 있었다. 더 큰 성장을 위해서는 물건을 계속 구매해야 하고, 창고를 만들어야 하고, 물류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베조스가 원하는 진정한 제로한계비용의 tech economics 전략을 구사할 수가 없었다. 물론, 볼륨이 커지면 이 비용이 계속 줄어들지만, 그래도 한계 비용을 0으로 만드는 건 힘들어 보였다.
이 맥락에서 봤을 때, AWS는 베조스의 이런 고민을 해결할 수 있는 비즈니스이다. 단기적으로는 아마존이 돈을 잃으면서 서버를 싸게 제공하고, 고객들을 lock-in 하는데, 결국엔 한계비용은 0으로 수렴하면서, 가장 수익성이 높은 비즈니스로 성장하는 모델이었다. 초기에 아마존은 AWS에 대한 숫자를 공개하지 않았지만, 10년 만에 실적을 발표할 땐, 당시 순이익률이 거의 20%였다. 참고로, 2020년 4사분기 AWS의 매출은 $12.7 billion이었고, 순이익은 3.6 billion으로 순이익률이 거의 30%로 성장했다.
아마존은 계속 이런 식으로 인터넷이라는 솔루션이 해결할 수 있는 가장 어려운 문제를 찾아가면서 새로운 사업을 시작하고 있다는 이 기사를 읽어보니, 이 회사와 베조스에 대한 더욱더 큰 경외심이 생겼고, 우리 투자사들도 엄청 분발해야겠다는 긴장을 한 번 더 할 수 있었다.
그리고 한 가지 더. 베조스의 고객에 대한 끈질긴(relentless) 집착과 열정은 이미 널리 알려진 사실인데, Relentless.com을 치면 Amazon.com으로 전송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