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에 이런 글을 올렸는데, 이 글에서 말 한 내 잠을 설치게 하는 고민 두 가지 중, 잡음을 잘 구분하고 남의 목소리가 아닌 내 목소리에 집중하자는 내용은 내가 요새 아주 진지하게 생각하면서 고민하는 것이다.
한국이라는 사회는 정말 재미있기도 하고, 신기하기도 하다. 나 같이 남의 눈치 잘 안 보고, 남의 의견이나 시선을 신경 쓰지 않는 사람도 가끔은 내가 뭔가를 하거나 말할 때 “이거 다른 사람들이 뭐라고 할까?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볼까?”라는 고민을 하게 만드는 그런 사회적 분위기가 가는 곳마다 아주 두껍게 깔려 있기 때문이다. 나는 요새 의식적으로 남의 시선과 말에 크게 신경 쓰지 않으면서 내 생각, 감, 의견에 100% 의존하는 결정을 하기 위해 노력을 하고 있다.
엄밀히 말하면, 남의 의견에 전혀 신경 쓰지 않는 건 아니고, 정말로 경청해야 할 남의 의견과 조언만 듣기 위해서 노력하는데, 솔직히 이런 의견은 소수의 몇 명만 제공할 수 있다. 이 소수의 몇 명은, 본인들이 나에게 주는 조언, 충고, 그리고 의견의 결과에 직접 영향을 받는 사람들이고 본인들도 그 결과에 대해서 직접 책임질 필요가 있는 사람들이다. 이 외의 다른 의견은 안 들으려고 노력하고, 꼭 들어야 한다면, 한 귀로 듣고 다른 귀로 바로 흘리는 노력을 의식적으로 하고 있다. 뭘, 이렇게까지 복잡하게 사냐고 생각을 하는 분들도 있을 텐데, 이렇게까지 복잡하게 살아야 한다. 내 시간은 소중하니까. 그리고 내 인생은 내가 결정하니까.
조금 다르지만, 같은 맥락의 이야기가 될 수도 있는데, 얼마 전에 본인이 직접 창업하지 않았거나, 현재 적을 두고 있지 않은 회사를 비정기적으로 도와주고 있는 ‘advisor’에 대한 이야기를 했다. 요새 우리 주변에 ‘고문’ , ‘ advisor’라는 명함을 갖고 다니는 분들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것 같은데, 내가 봤을 때 이런 분들은 본인들의 조언에 대한 결과에 대한 책임을 지지도 않고, 여기에 크게 영향도 안 받는 분들이다. 왜 이런 분들에게 굳이 과한 비용을 지급하거나 돈보다 더 귀한 회사의 지분을 주면서 조언을 받는지 회사 대표들에게 물어봤다. 어차피 풀타임도 아니고, 파트타임 중에서도 슈퍼 파트타임 – 우리 회사를 포함해서 많은 회사의 어드바이저를 하고 있다 – 이고, 솔직히 우리가 하는 사업에 대해서도 잘 모르는 분들이 대부분이다. 이 분야에서 오래 일을 했더라도 그건 오래전 일이고, 같은 분야에 있는 회사라도 우리 회사랑 다른 회사랑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어차피 이전 경험을 재활용하는 건 힘들어 보인다. 내가 듣는 대답은, “이분들의 의견이 듣고 싶어서요. 나보다 이 분야의 경험이 많고 네트워크가 좋아서, 우리가 중요한 결정을 할 때 이분들의 조언이 값질 것 같아서요.”이다. 이런 대표들은 이게 정말 맞는 건지 잘 판단하길 바란다.
우리는 살면서 계속 크고 작은 결정을 해야 한다. 아침에 일어날지 말지, 점심 식사는 짜장면을 먹을지 짬뽕을 먹을지부터, 100억 원 짜리 거래를 할지말지까지, 실은 우리 인생 자체가 연속적인 결정의 집합체이다. 내가 지금까지 했던 셀 수 없는 결정의 결과를 뒤돌아보면, 안타깝게도 옳은 결정보다 틀린 결정을 훨씬 더 많이 했다. 이런 맥락에서 봤을 때, 어차피 틀린 결정을 훨씬 더 많이 할 텐데, 남의 의견을 참고해서 틀린 결정을 하기보단, 그냥 내가 스스로 결정해서 틀리는 게 훨씬 더 값진 결정이라고 생각한다.
그렇다고 남의 의견이나 조언을 절대로 듣지 말라는 이야기가 아니다. 잘 판단해서 이 중 잡음을 구분하라는 의미인데, 잘 생각해 보면 남의 의견 중 대부분은 잡음이다. 중요한 결정의 결과에 대한 책임을 질 필요가 없고, 거기에 대해서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는 다른 사람들의 의견은 들을 필요가 없다. 결국엔 내가 책임져야 하고, 내가 영향을 받기 때문에 오롯이 내 의견만이 중요하다.
익명
잘 걸러듣는게 정말 능력인것 같습니다. 좋은 사람 만나는 운도 작용해야 할 것 같구요 스트롱을 만난 파운더들이 부럽네요 ㅎㅎ
Kihong Bae
저희가 운이 좋은거죠 🙂
익명
제가 경험한 스타트업에 고문은 총 3가지였습니다.
1) CFO라고 쓰고, 고문이라 읽는다 – 각종 정부지원사업, 경험,포트폴리오가 부족한 AC위주의 소규모(around 1-2억) 펀드레이징을 받아오고, 실무에는 전혀 관여하지 않고, 오전 출근은 절대 안하며, 법인카드만 주로 쓰는 은퇴한 60대 이상. 주로, 대표이사 및 팀원들의 학력/이력이 부족한 스타트업에, 자신의 확인안되는 글로벌 컨설팅펌/투자은행/대기업 이력을 어필하며 CFO로 등장함. 링크드인을 확인하면 꼭 ‘스텔스 스타트업’을 2가지 이상 하고 있음. TIPS 지원을 받는 스타트업에 대거 존재. TIPS 티켓 사냥꾼.
2) 영업 고문(브로커, sales) – 당연히 출근하지 않으며, 법인카드는 들고 다님. 다만 주에 1일 정도는 회의실에서 목격되며, 간혹가다 아이스크림 등의 간식을 사다주심. 1-2분기마다 적어도 작은 영업건은 성사 시켜주시는 분들이 대부분. 대기업/중견기업 Sales 출신이 많으며, 대표이사에게 조언을 많이 함.회사에 영업력을 올려준다면 필요한 존재이지만, 가성비가 맞는지는 의문이 들때가 많음.
3) 사모펀드 출신 고문 – 누가봐도 좋은 스펙/커리어, 이제 은퇴후에 ‘꾼’으로 변신함. 말도 안되는 사업으로 수천억의 벨류에이션을 받고, 매출도 안나오는 기업을 PRE-IPO단계까지 올릴떄도 있음. 주로 최근은 잘 안되지만, ‘기술특례상장’을 노리는 ‘꾼’인것 같은 느낌이 들었음.
이상입니다. 대한민국의 스타트업에 더 건강해졌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Kihong Bae
경험 공유해주셔서 고맙습니다. 실은 이 글은 외부 고문들을 비난하는 방향은 아니었는데요, 어쩌다보니 이런 내용의 답변을 많이 공유해주셨네요.
네, 당연히 저도 한국 스타트업 생태계가 더 단단해지고, 건강해지길 바라는 마음입니다. 고맙습니다!
익명
1. 초기스타트업에 2억내외 투자유치, 총 10억규모의 tips받아와주면 본인역할 충분히 한거 아닌가요 ㄷㄷ
실무자중 저걸 할수 있는 사람이 있나요?
오전출근안하고 법카쓴다고 비난하시는거 같은데 상호 합의와 허락된 상황이라면 문제없지 않나요?
2. 세일즈 해주고 매출을 올려주는건 초기 스타트업에는 정말 엄청난 성과입니다. 아무리 좋은 제품/서비스 만들어도 매출0인곳이 많은데, 영업이익이 적을지언정 매출자체를 만들어주는게 얼마나 큰건데요..
3. 기술특례 상장도 엄청어려운겁니다.. 심사자+상장 대행사들도 바보가 아닌데.. 밸류를 그냥 정하는게 아니죠..
이런글을 보면 기업내에서 자금을 유치하고 이런걸 구성원들이 정말 쉽게보는거 같다는 생각이드네요..
경영진과 근로자는 생각의 차이가 너무 나네요…
실무자에게 나가서 5천만원이라도 투자받아 오라고 하면 못하죠…
하지만 개발은 잘한다면
실무자는 실무자의 일이 경영진은 경영진의 일을 잘하면 됩니다.
익명
산술적으로 실무자들이 가지고 오는 옵션이 2개라면, 고문을 통해 1개의 옵션이 더 검토되고, 그래서 총 3개 중 1개를 선택하는 의사결정을 하면 좀더 리스크가 줄어들거라는 기대 때문 아닐까요? 물론 현실에서는 고문이 제시하는 옵션에 가중치가 너무 실리는게 문제긴 합니다 ㅡ.,ㅡ
익명
전전 직장이었던 스타트업에 언급하셨던 ‘고문님’이 계셨는데, 실제 현업을 수행하는 팀원의 의견보다 고문의 의견을 중시하는 대표를 보고 퇴사할 수 밖에 없었던 기억이 나네요.
Kihong Bae
경험 공유해주셔서 고맙습니다. 실은 이 글은 외부 고문들을 비난하는 방향은 아니었는데요, 어쩌다보니 이런 내용의 답변을 많이 공유해주셨네요. 좋은 advisor들도 가끔 있긴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