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투자를 시작한 게 2012년인데, 이때부터 ‘한류’라는 말이 있었고, 한국인과 한국 제품이 드디어 한국을 벗어나서 세계 시장으로 나갈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됐다고 이야기했었다. “Taking Korea global”이라는 말을 지난 10년 동안 너도나도 했지만, 솔직히 지금까진 말만큼 멋지게 실현되진 않았다. “지금까진.”
작년, 그리고 올해 내내 미국, 유럽, 동남아, 일본을 여러 번 다니면서 내가 확실히 느낀 건, 이제 정말로 한국이 세계 시장으로 아주 자신 있게 나갈 수 있는 시점이 됐다는 점이다. 전에 ‘제2의 한류’라는 말을 내가 했는데, 이제 한국은 전 세계의 문화에 영향을 주는 global cultural force가 됐다. 인류 역사상 전 세계의 문화에 영향을 주는 cultural force가 된 국가는 아주 오랜 시간 동안 강대국의 지위를 유지했고, 그 기간 더 발전해서 더 강대국이 된 사례가 매우 많다. 나는 한국이 이런 기운과 기회를 잘 활용해서 비록 땅덩어리는 작고 인구도 작지만, 엄청나게 잘 살고, 다른 나라의 존경을 받는 초강대국이 되길 바란다.
한국이 global cultural force가 되면서 한국의 창업가들에겐 좋은 기회가 생기고 있고, 이들을 지원하는 우리 같은 VC에게도 큰 기회가 생기고 있다. 최근에 미국을 2주 정도 돌아다녔는데, 어디 가나 한국 브랜드와 제품이 인기가 많다는 걸 직접 실감할 수 있었다. 심지어 작은 시골 도시에 가도 한국 음악, 드라마, 화장품, 음식, 그리고 자동차에 대한 인기와 관심이 너무 많았는데, 이게 참 놀라웠다. “한국이 어떻게 이렇게 인기 있는 나라가 됐을까?”라는 질문을 스스로에게 여러 번 할 정도였다. 한강 작가의 노벨 문학상 수상도 참 신기한 게, 전 세계 8,000만 명만 하는 비주류 언어인 한국어로 평생 책을 쓴 작가가 노벨 문학상을 받았다는 건, 한국과 한국어가 대단한 global cultural force라고밖에 설명할 수 없다.
왜 이렇게 한국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콘텐츠, 브랜드를 이렇게 잘 만들까? 나는 이게 한국의 DNA에 깊게 박혀 있는 경쟁과 생존본능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한국은 아주 작은 나라다. 이 작은 나라에서 5,000만 명이 다닥다닥 붙어 살면서 남들보다 더 성공하기 위해 정말 빡세게 경쟁한다. 가끔 이 과한 경쟁의식이 부정적인 결과를 만들지만, 어쨌든 한국은 전 세계에서 가장 열심히 일하고, 가장 치열하게 살고, 가장 남보다 더 잘하기 위해서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사는 사람들이 많은 국가이다. 좋든 싫든, 이건 우리의 타고난 기질이자 환경이다.
이렇게 경쟁이 치열한 곳에서 만들어졌고, 이 치열한 시장에서 팔리고 있고, 여기서 살아남을 수 있다면 기본적으로 좋은 제품이다. 그래서 한국에서 잘 되는 제품이 미국과 같은 해외 시장으로 진출하면, 기본적으로 잘 될 가능성이 높다. 엄청 까다롭고, 엄청 치열하고, 엄청나게 경쟁하고, 동시에 엄청나게 잘 사는 소비자들이 많은 한국 시장에서 팔린다면, 제품 자체는 이미 입증된 것이다. 소비자들은 지갑으로 투표하는데, 지갑으로 투표하기 위한 기본 조건은 품질이기 때문이다.
그러면, 왜 모든 한국의 제품이 미국 시장에서 대박 나지 않나? 왜 일부만 잘 되고, 대부분 실패하는가?
어떤 제품과 회사는 한국에서 증명되기도 전에 너무 일찍 해외 진출을 시도하는데, 제품도 준비가 덜 됐고, 이 덜 준비된 제품을 마케팅하고 판매할 사람들도 준비가 덜 된 경우가 많다. 이런 회사는 미국 시장에서 백전백패한다.
하지만, 이미 한국에서 품질이 증명된 제품도 미국 시장에서 실패하는 경우가 너무 많다. 여기서 우리가 말하는 globalization의 어려움이 작용하는 것이다. 제품은 좋지만, 이걸 다른 시장의 다른 소비자들에게 홍보하고 판매하기 위해서는 미세 조정을 많이 해야 하는데, 미국 시장을 잘 모르는 분들은 이 미세 조정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감을 잘 못 잡는다. 이 미세조정에 수백억 원 또는 수천억 원을 투자하고, 결국엔 미국 시장에서 철수한 한국 회사들도 너무 많은 걸 보면, 이게 참 어려운 일인 것 같다.
하지만, 내가 이번에 미국 시장에서 봤던 가능성은, 위에서 말했듯이 Korea라는 나라의 이미지 자체가 너무 좋아지고, 동시에 global cultural force가 되고 있기 때문에, 한국 제품과 브랜드가 미국 시장에서 거쳐야 하는 미세조정의 폭이 점점 더 좁아지고 있다는 점이다. 심지어 어떤 제품은 포장지에 한글이 그대로 적혔는데도 불티나게 팔리고 있었다.
지난 20년 동안 말만 많고 결과는 별로였던 “Taking Korea global”. 이제 정말 그 타이밍이 온 것 같다. 제2의 한류를 타고 더 많은 한국 회사와 제품이 해외 시장을 – 특히 북미 시장 – 쓰나미같이 강타해서 글로벌 무대를 찢어버리는 이 움직임에 스트롱도 큰 기여를 할 수 있길 바란다.
khlee1108
스트롱 화이팅~~!!
Kihong Bae
항상 응원해주셔서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