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투자자들을 만나면, 한국은 다른 건 다 좋은데, 인구 감소, 그리고 이로 인한 경제력 감소가 가장 큰 걱정이라는 말을 너무 자주 듣는다. 그리고 이어서 나오는 말은 5,000만 인구가 사는 한국이 그렇게 큰 시장이 아닌데, 인구가 하락하면 시장이 더 작아져서, 한국에만 투자하는 스트롱벤처스에 본인들이 투자하면,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스타트업이 과연 앞으로 한국에서 몇 개가 더 나올지 잘 모르겠다고 이야기한다. 즉, 이 분야에서 우리가 자주 언급하는 TAM(Total Addressable Market)이 점점 더 작아진다는 의미다.

며칠 전 대선후보 토론을 초반에만 잠깐 봤는데, 인구 감소가 아주 중요한 국가 아젠다였다. 각 후보들의 대책과 공략은 흥미로웠지만, 내가 개인적으로 봤을 때 현실성은 조금 떨어진다고 생각했다.

나는 국가의 정책을 만드는 사람도 아니고, 경제학을 공부한 사람도 아니다. 그래서 정확한 데이터를 갖고 있지도 않고, 인구 감소가 장기적으로 우리나라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 학술적으로 설명할 순 없다. 하지만, 초기 벤처 투자를 하면서 다양한 나라와 시장을 보고 듣고 느끼고 있고, 운용 자금이 상당히 큰 외국 투자자들과 이 주제에 대해서 꽤 오랫동안 이야기하고 논쟁하기도 했는데, 관련해서 내 개인적인 생각을 여기서 두서없이 공유해보고 싶다.

일단 한국의 인구 감소는 멈추지 않을 것이다. 사람들이 점점 더 결혼을 안 하고 있거나, 그 시점이 늦어지고 있고, 이에 따라 출산을 안 하거나 못 하므로, 우린 인구절벽에 점점 더 가까워지고 있다. 이건 내가 봐도 명확하기 때문에, 앞으로 한국의 출산율이 증가할 것이라는 주장은 현실성이 매우 떨어진다. 그리고 출산 감소를 막기 위한 한국 정부의 출산 장려 정책은 이미 실패하고 있다고 난 생각한다. 아주 깊게 들어가진 않겠지만, 자녀를 많이 출산하면 금전적인 보상을 해주는 건, 애를 낳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돈이라는 일차원적인 사고에 근거한 정책이다. 물론, 경제적인 이유로 애 낳는 걸 포기하는 부부도 있지만, 저출산의 원인은 실제론 매우 복잡하고 다차원적이다. 출산율 감소는 전 세계 모든 선진국이 겪고 있는 전 세계적인 문제이다. 단지, 한국은 다른 나라보다 그 저조함이 더 심각할 뿐이다.

인구 감소를 해결할 방법의 하나는 남북통일인데, 이건 현재로선 쉽지 않다. 다른 방법은 – 그리고 이게 더 쉽고, 현실적이다 – 우리도 외국에서 사람을 수입하는 것이다. 지금도 지방이나 시골에 가면 외국인 노동자들을 많이 볼 수 있는데, 외국인 노동자보단 외국인 지식근로자를 한국으로 많이 수입해야 한다. 이들은 고용 창출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은, 한국이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외국인 체류 조건과 법이 상당히 까다롭고, 외국인 비자도 무려 50가지가 넘게 존재한다. 자국민의 고용 보호 때문에 생겨난 법들인 거로 알고 있는데, 이제 우리도 이런 법들을 빨리 없애고, 외국인들이 한국에 와서 살면서 일할 수 있는 쉬운 환경을 만들어 줘야 한다. 그래서 이들이 한국에서 고용을 창출하고, 생산성을 높이면서 인당 GDP 증가에 기여해야 한다. 실은, 우리 주변을 잘 보면 이미 이런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편의점에도 점점 더 많은 외국인들이 일 하고 있고, 가끔 미용실에도 보면 외국인들이 보조 미용사로 일하고 있다. 그리고 우리가 투자한 창업가들도 외국인들이 몇 명 있다. 이들은 Korean 교포가 아니라 완전히 외국인들인데, 미국과 유럽에서 고등교육을 받았고, 직장 경력도 있는데, 창업하기 위해서 한국에 왔다. 현재 한국에서 수년째 살면서 연 매출 수십억 원의 스타트업을 운영하고, 한국에서 고용을 창출하면서 세금을 내고 있다. 이런 사람들이 우린 훨씬 더 많이 필요하다. (아주) 장기적으론, 한국도 미국 같은 melting pot 사회가 되지 않을까 싶다.

인구가 감소하면 한국 경제가 파탄 날 것이라고 하는 주장에 대해서도 나는 완벽하게 동의할 수가 없다. 노동력이 줄면 생산성이 줄어드는 건 당연하지만, 이제 한국은 과거의 한국이 아니다. 우린 더 이상 물리적인 제품을 제조해서 생산하는 단순노동 체제에 의존하지 않는 나라가 됐고, 충분히 로봇이나 AI와 같은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해서 인당 효율과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고 생각한다. 스타트업이 항상 더 강조하는 doing more with less 개념을 이젠 한국이 국가적인 차원에서 도입해야 하고, 이 전환을 우리가 잘하면 더 적은 인구로 훨씬 더 높은 출력을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래도 머릿수가 5,000만 명에서 2,500만 명으로 줄면, 국내 내수 시장은 큰 타격을 받을 것이다. 이럴수록 우린 해외로 나가야 하고 수출해야 한다. 이미 한국 기업들은 일본, 동남아, 미국, 유럽 등의 해외 시장을 적극적으로 공략하고, 소수 기업은 진출에 성공하고 있다. 즉, 한국의 TAM은 이제 한국인 5,000만 명이 아니라, 이보다 훨씬 더 큰 글로벌 시장이다.

약간 다른 각도로 보면, 우린 처음부터 작은 땅덩어리에 이미 너무 많은 사람들이 살고 있긴 하다. 한국의 인구밀도는 약 530명/km² 인데, 전 세계 인구 밀도 12위이고, 인구 1,000만 명 이상의 나라 중 인구밀도는 3위다. 솔직히 너무 숨 막히게 살고 있기 때문에, 이 작은 땅에서 조금 더 여유롭게 살기 위해선 인구가 좀 줄어도 상관없다고 생각한다. 아니, 오히려 더 쾌적한 나라에서 여유롭고 쾌적하게 살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 면에서는 더 좋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인구가 줄어들수록 사람이 더욱더 중요해진다. 줄어드는 인구지만, 이 줄어든 인구의 평균 교육 수준, 소득수준, 그리고 업무 몰입도는 그 어느 때보다 높아야 한다. 똑똑하고, 열심히 일하는 사람들이 그 어느 때보다 더 중요해지는 시기이다. 결국엔 이들이 이제 한국의 미래를 책임져야 하니까. 내가 과거에 주야장천 주장했던 것처럼, 이럴수록 우린 정말 더 열심히 일해야 한다.